• 제목/요약/키워드: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199초

두경부종양환자에서 시행한 상부위장관검사의 유용성 (The Role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in Evaluation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 장지영;조문준;김준상;김병국;정현용;김재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2-165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Multiple primary tumor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re not unusual. We examin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o discover the presence of second primary cancer in their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using esophagogastroscopy. Materials and Methods: Endoscopic examination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as performed on 51 patients whose head and neck cancers were treated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from August 1996 to April 1999. Two of all patients had been studied by barium swallowing study. In 51 patients, twenty-four had a primary tumor in the larynx, 8 in the oropharynx, 6 in the nasopharynx, 6 in the oral cavity, 6 in the hypopharynx, and 1 in the nasal cavity. Endoscopically pathologic lesions were biopsied. In control group, endoscopy was performed on 1097 patients who didn't complain any symptoms. Results: Endoscopy showed early malignant lesions in 4 cases(7.7%). Histology of esophageal cancers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Malignant lesions of stomach in 2 cases were histologically identified as adenocarcinoma. Two esophageal cancers occurred in patients whose primary lesions had oropharynx and hypopharynx. Two cases of gastric cancer were also accompanied by oropharynx and hypopharynx. The incidence of second primary cancer was 2 in oropharynx and 2 in hypopharynx. In all cases, second primary cancers were found simultaneously. In control group, 9(0.8%) of 1097 patients were confirmed as early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s. Conclusion: The majority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detected by endoscopy were early stage in both head and neck cancer and control group. The incidence of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was 10 times as high as that of control group. Although followup period was short, all second primary cancers were detected simultaneously. We would recommend that endoscopic evaluation be included in the workup and followup of all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head and neck cancer.

  • PDF

두경부 암 환자의 경부 림프절 전이 분석 (Nodal Status of the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 양대식;최명선;최종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21-329
    • /
    • 1997
  • 목적 :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원발병소의 해부학적위치 및 특성, 원발병소의 크기 즉 병기와 조직병리학적 종류 따라 영향을 받는다.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의 전이 양상은 다른 나라에서 분석, 연구되어 있고, 현재 두경부 암 환자 치료와 처치를 이를 기조로 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두경부 암 환자에 대한 경부 림프절 전이에 대한 우리나라 환자의 통계는 없어 이번 통계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본 병원 방사선 종양학과에 내원한 환자중초사가 가능한 9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는 방사선 종양학과에 내원시 면밀한 경부 촉진과향께 컴퓨터 단층 촬영영상 상에서 확인을 하였다. 환자는 크게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과 전이가 없는 군으로 나누었고, 경부 림프절의 병기는 미국 암 연합회에서 추천한 방식에 의하였다. 원발병소의 위치 및 주위로의 침윤 등은 면밀한 관찰과 촉진,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 수술소견 및 조직병리학 소견을 참조하였다. 결 과 :방사선 종양학과에 방사선 치료를 위해 내원한 997명 중 416명$(42\%)$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를 뽀였고, 581명$(58\%)$에서 전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부 림프절 전이를 보인 림프절의 병기분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Hl : 106$(25.5\%)$, N2a 100$(24\%)$, N2b :68$(16.4\%)$, N2c : 69$(16.6\%)$, N3 :73$(15\%)$. 두경부 암 환자에서 원발병소의 빈도는 다음과 같다. 후두암 : 283$(28.5\%)$, 부비동암 : 152$(18\%)$, 구인두암: 144$(14.5\%)$, 비인강암: In$(12\%)$, 구강암 :92$(9\%)$, 하인두암:71$(7\%)$, 타액선암:$58(6\%)$, 미지원발부위암:31$(3\%)$, 피부암: $14(2\%)$. 두경부 암 환자 중 가장 경부 림프절 전이가 높은 원발병소는 비인강암$(71\%)$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하인두암$(69\%)$, 구인두암$(64\%)$, 구강암$(39\%)$ 순이었다. 경부 림프절 전이를 보였던, 416명 중에서는 구인두암 92명$(22\%)$, 비인강암 8f명$(21\%)$, 후두암 79명$(19\%)$의 순이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가장 빈도가 높을 것은 편평상피암증으로 전체 환자 중 $65.4\%$을 차지하였고, 다음은 악성 림프종이 109명으로 $11\%$였다. 결론 : 두경부 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의 양상이 외국 통계와 비교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원발병소의 해부학적 특성에 따라 경부 림프절 전이가 좌우되며 원발병소의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경부 림프절 전이 빈도도 증가 되며 또한 경부 림프절의 병기도 증가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