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ometry clinic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서울시내 일부여고생들의 안경착용률 및 시력보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rls' High School Students for Knowledge and Practice of Eyesight Care)

  • 김윤희;곽정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eyesight care-preventing refractive error and actual conditions of wearing glasses(or contact lenses) to help school health education, For this study, 1,216 freshmen were sampled from lib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survey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results of this study: 1. The percentage of the freshmen wearing glasses in girls high school were 57.5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41.7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2. The percentage of both the students and parents wearing glasses were 49.9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33.8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3. From the survey,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began to wear glasses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The percentages were 46.6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62.1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4.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got their glasses prescribed from an ophthalmic clinic were 60.6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31.5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rest got their glasses from the optician.. 5.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earing glasses who didn't have optometry check-up for 6 months were 57.2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38.4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not wearing glasses in the same situation were 61.9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41.5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6.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believe that the health education in school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amblyopia were 79.2 percent of strdents attending in liberal high school, 82.9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81.5 percent of students wearing glasses and 80.8 percent of students not wearing glasses.

  • PDF

근시에서의 라섹과 TransPRK라섹 수술 후 고위수차 비교 (After Lasek Surgeried and TransPRK Surgeried for Myopia, Comparison of High-order Aberrations)

  • 박준성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72-377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otal high order aberrations between surgery which uses TransPRK and general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Methods: The patients who had general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and TransPRK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by visiting ophthalmic clinic in Ulsan from January 2014 to August 2014 was researched. Results: When comparing total high order aberrations before and after operation, it was found that total high order aberration in general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group increased to $0.222{\pm}0.078{\mu}m$ from $0.074{\pm}0.019{\mu}m$ while that in TransPRK assisted sub-epithelial group increased to $0.179{\pm}0.045{\mu}m$ from $0.076{\pm}0.032{\mu}m$. When comparing the increment in total high order aberrations between two groups after surgery, it was found that the increments of TransPRK assisted sub-epithelial group were statistically smaller than that of general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group (p<0.05). Conclusions: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otal high order aberrations between general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and TransPRK assisted sub-epithelial which was introduced recently and the resul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ansPRK assisted sub-epithelial can be used widely in simply improving eye sight and quality of vision by reducing an increase in high order aberration caused by orthokeratology surgery. It is expected that TransPRK assisted sub-epithelial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understanding quality of eye sight which occurs by several methods of vision correction surgery.

근로자의 구강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Morphology of Workers and Risk Factors of Chronic Disease)

  • 구인영;문원숙;강지훈;류혜겸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20
    • /
    • 2013
  • Purpose. A huge proportion of adults in korea, workers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have been growing every year,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oral health. thus, through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oral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Methods. The subjects were 4,600 workers volunteering at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part of the industrial health education of some area work plac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R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chronic disease risk factor according to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s show that currently drinking and smoking, not visiting to the dentist for last year, fewer toothbrushing were associated with chronic disease risk factors.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p<0.05). Risk factors influencing chronic disease were gender, age, job period, dental clinic visiting, the number of toothbrushing, perceived oral health state, smoking, and drinking, the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p<0.05). Conclusions. Chronic disease that could threaten workers health was related with the oral health practice behavior. Therefore through factors identification affecting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dental care providers aims to increase workers awareness of health care behavior and lifestyle and to suggest periodical health education promotion program for high risk workers who exposed to risk factors of disease within workplace.

  • PDF

대학생의 안보건 정보경로와 실천률 (Route of the Information and the Practical Rate on Eye-Health for College Students)

  • 이옥진;신진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3-67
    • /
    • 2008
  • 목적: 대학생의 안보건 정보습득경로와 실천률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대학생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은 안보건 정보를 안경원(45.21%), 매스컴(27.74%), 안과 (14.38%)에서 주로 얻었다. 이들 경로의 정보 만족률은 높았으며 특히, 안경원에서의 만족률(85.60%)이 매우 높았다. 시력을 교정한 대학생의 안보건정보습득 경로는 안경원에서가 55.50%로 가장 많았고 시력교정을 하지 않는 대 학생의 안보건 정보습득 경로는 매스컴(43.56%)을 통해서가 가장 많았다. 정보에 대한 실천률은 70.21%로 높았고 안경원에서 정보를 습득한 대학생의 실천률이 76.52%로 매우 높았다. 결론: 대학생들은 안보건 정보를 안경원에서 가장 많이 습득하며 타 경로에 비해 만족률과 실천률이 높았다.

  • PDF

안과검안인력의 근무 환경 및 업무 범위에 관한 조사 (Investigation of the Environment and Working Scope of Optometric Personnel in Ophthalmology)

  • 한민호;박준범;전옥환;황을성;박현진;이민우;김기봉;구본경;안영회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24-238
    • /
    • 2022
  • 안과검안인력의 근무 환경 및 업무 범위에 대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우리는 온라인 설문 조사를 이용하여 이러한 점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병리사 관점에서 대학-협회-학회에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20대가 40.7%로 가장 많았고, 30대(28.4%), 40대(23.5%), 50대(7.4%) 순이었다. 대상자의 56.0%가 여성이었으며, 임상 경력은 1년 미만에서 15년 이상까지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다. 안과검안인력의 업무 스트레스는 높았고, 직업병은 빈번하였으며, 업무 범위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최적의 방안은 인력 확충이었다. 검사실 내 임상병리사가 선임 직종인 경우는 48%로 다른 직종에 비해 높았고, 검사실 내 직종 분포는 선임의 직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P<0.001). 임상병리사는 약 30가지의 안과검사를 담당하고 있었다. 하루에 가장 많이 시행되는 검사는 굴절검사였으며, 색각경검사가 27분으로 가장 긴 소요시간을 보였다. 종합하면, 임상병리사는 매우 다양한 안과 검사를 수행한다. 검안에서 임상병리사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대학-협회-학회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도수 수경 착용시 실내와 수중에서의 시각적 만족도 및 시력 평가 (Assessment of Visual satisfaction & Visual Function with Prescription Swimming goggles In-air and Underwater)

  • 추병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57-363
    • /
    • 2013
  • 목적: 실내수영장에서 도수 수경 착용에 따른 주관적 만족도 평가와 실내 검사실 및 수중에서의 시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에 참여한 대상자는 평균나이가 $22{\pm}1.54$세인 15명의 대학생이었으며,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의 평균 굴절이상은 각각 RE: S-1.67 D/C-0.40 D, LE: S-1.70D/C-0.37 D이었다. 모든 참여자는 기초적인 안과검사를 마쳤으며, 굴절이상을 교정하기 위한 콘택트렌즈 착용이 가능하고 수영이 가능한 자로 한정하였다. 모든 피실험자의 굴절이상은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정시상태로 교정을 하였다.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원주도수 수경(C+1.50 D, Ax $90^{\circ}$)을 착용하였을 때와 도수가 없는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 안정피로, 그리고 수영장 주위를 걸을 때의 균형감각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시력 평가는 처방 S+3.00 D ~ S-3.00 D까지 0.50 D단위로 준비된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무작위의 순서로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장내의 수중과 실내의 검사실에서 ETDRS 시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난시가 인위적으로 유발된 상태에서는 시력, 안정피로, 균형감각에 대한 3가지 만족도가 모두 유의하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도수의 수경을 착용하였을 때 시력은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실내 검사실과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의 차이는 없었다(p=0.173). 일부 도수 수경(+3.00, +1.00, +0.50, 0, -1.00, -2.00 D)에서는 실내 검사실에서 측정된 시력이 수중에서 측정된 시력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중에서 수경을 착용하는 것은 시력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저하되는 시력의 정도는 스넬렌 시력기준 1라인 이내 차이로써 실제 임상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을 정도로 적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난시의 미교정은 시각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수영장의 미끄러운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수 수경의 도수의 정확성과 더불어 난시의 교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역기하학 렌즈의 유효성과 각막에 미치는영향 (The Efficacy and Effect of Reverse Geometry Contact Lens on Cornea)

  • 김광배;김영훈;박상배;선경호;정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2
    • /
    • 2007
  • 본 연구는 학동기 아동에서 근시교정용 콘택트렌즈인 역기하학 콘택트렌즈(RGL, reverse geometry contact lens)에 대한 근시교정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3월부터 2005년 7월 사이에 근시굴절교정술을 목적으로 역기하학렌즈를 처방 받은 7세부터 18세사이의 학동기 환자 중 착용 후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중등도 이하의 근시(-1.00~-5.00 D(Diopter))를 갖는 남녀 53명 106안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렌즈처방을 위한 검사로는 세극동 현미경, BUT(Break Up Time), 직상검안경, 검영기, 나안시력, 최대 교정시력, 자동굴절검사, 각막곡률측정, 각막지형도검사를 착용 전과 착용 후 1일, 1주일, 2주일, 1개월, 2개월, 3개월 째 각각 시행하여 근시교정 효과와 합병증 발생 여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렌즈 착용 전 평균 나안시력은 $0.0938{\pm}0.378$에서 착용 후 1일에 $0.3136{\pm}0.283$이었고, 1주에는 $0.7925{\pm}0.301$으로 급격한 시력향상을 보였으며 2주후부터는 약간씩이었지만 계속되는 추이를 보였다(p<0.01). 각막지형도검사 상 편심율은 역기하학 렌즈 착용 전 평균 $0.548{\pm}0.099$에서 착용 후 3개월에는 $-0.257{\pm}0.283$(t=2.321, p=0.022)으로 감소하였다. 렌즈 착용 후 1일부터 2개월 사이에 급격한 편심율 감소를 보였으며(p<0.01) 2개월 후부터는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역기하학 렌즈는 중동도 이하의 근시를 가진 환자에 있어 일시적으로 굴절이상을 교정하고 근시진행을 조절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미미하였으나 장기적으로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렌즈의 처방은 편심율(eccentricity)과 각막지형도의 분포도를 고려한 주문제작 피팅법이 매우 높은 성공률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