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um seeding rat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2초

삼차망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재배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Sowing Ratios Between Whole Crop Barley with Hooded Type and Forage Pea on the Forage Yield and Quality)

  • 주정일;박종민;이정준;김창호;구한모;오태석;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1-178
    • /
    • 2009
  • 본 연구는 청보리와 월동 콩과작물인 사료용 완두와의 혼파재배를 통해 사료작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작부체계로서의 혼파비율을 구명하고, 조단백질, ADF, NDF 등과 같은 사료가치와 수량을 만족하는 적정한 혼파비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청보리의 생육특성에서 출수일과 초장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청보리의 경수는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지만, 사료용 완두의 개체수는 증가하였다. 청보리의 도복지수는 $0{\sim}3$의 분포로 나타냈는데, 그 중 사료용 완두의 혼파 없이 청보리 20kg/10a만을 파종하였을 때에 도복지수가 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료용 완두의 생육특성에서 월동률은 모든 파종구에서 90% 이상의 월동률을 보였고, 완두의 초장은 청보리의 파종량에 상관없이 사료용 완두의 파종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를 혼파재배하였을 때 생초수량은 청보리 14kg/10a 파종구와 20kg/10a 파종구 모두에서 10a당 3,000kg 이상의 수량을 나타냈으며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건물수량은 생초수량과는 반대로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청보리 20kg/10a만을 단일 파종하였을 때 1,266 kg으로 가장 많은 건물수량을 나타냈다.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 재배했을 때, 조단백질, ADF 및 NDF 함량은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RFV는 청보리만을 14 kg/10a 파종구에서 183.8로 가장 높았으며 사료용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표준화 점수의 크기로 본 가장 적합한 혼파조합은 청보러 20 kg/10a와 사료용 완두 7.5kg/10a 혼파 조합이 2.309로 가장 좋았고, 그 다음으로는 청보리 20kg/10a와 사료용 완두 5.0kg/10a 혼파구가 좋았으며 청보리 14 kg/10a 파종구에서는 청보리 14kg/10a와 사료용 완두 10.0 kg/10a를 혼파한 파종구가 0.354로 좋게 나타난 것으로 유추하여 보면 청보리 20 kg/10a에 사료용 완두를 7.5kg/10a를 파종하는 것이 생산성과 사료가치측면에서 합리적인 혼파비율로 판단되었다.

도시 생활하수 슬러지의 퇴비화를 위한 부숙공정지표 설정 (Development of Operating Parameters for Composting of Municipal Sewage Sludge)

  • 이홍재;조주식;최형섭;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82-389
    • /
    • 1997
  • 하수슬러지를 퇴비화하여 농지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소형 퇴비화조에서의 하수슬러지에 수분조절제로 톱밥 또는 왕겨를 사용하여 미생물 처리유무, 초기 C/N율, 공기 및 초기 수분함량조절등 조건을 달리 처리하여 퇴비화과정중 온도변화 및 $CO_2$발생량 등을 조사함으로써 하수슬러지의 최적 퇴비화조건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퇴비화과정중 온도는 퇴비재료에 미생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높았으며, 수분조절제로 왕겨를 사용한 경우가 톱밥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온도가 높았다. 또한 퇴비재료의 초기 C/N율을 21${\sim}$22, 공기주입량을 $200ml/l\;{\cdot}\;min$., 초기수분함량을 64${\sim}$65%로 조절하였을 경우가 전반적으로 다른 조건에 비하여 온도가 높았다. 퇴비화과정중 $CO_2$발생량은 퇴비화 재료에 미생물을 처리하였을 경우가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많았고,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사용한 경우가 왕겨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많았다. 초기 C/N율을 21${\sim}$40으로 조절하였을 경우에 12${\sim}$14로 조절하였을 경우에 비하여 $CO_2$발생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하수슬러지 퇴비화의 최적조건은 퇴비원료에 미생물을 5%정도 첨가하고, 초기 C/N율을 약 21${\sim}$22로, 퇴비화조내 공기주입량은 $200ml/l\;{\cdot}\;min$.로, 그리고 초기 수분함량은 64${\sim}$65%로 각각 조절하는 것이라 판단되었다.

  • PDF

마 주아를 이용한 종묘생산 재배기술 (Cultural Practices of Bulbils for Seed-Tuber Production in Dioscorea batatas Decne)

  • 신종희;박상구;박상조;이봉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63-167
    • /
    • 2006
  • 본 연구는 마의 지상부에서 형성되는 주아를 이용하여 이듬해 종서로 사용 가능한 씨마 생산을 위한 주아 재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파종기, 파종량, 파종주아 크기에 따른 씨마 수량을 검토하였다. 1. 주아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생장 일수가 짧아져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졌다. 5월 11일 파종의 경우 씨마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무게가 20g 이하 되는 괴경수가 많아짐으로 파종은 늦어도 5월 1일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파종량이 많을수록 괴경장이 짧아지고 평균 괴경중이 가벼워지는 등 괴경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마로 사용 가능한 $21{\sim}4kg$ 크기의 괴경수를 고려할 때 200kg/10a가 파종 적량으로 판단되었다. 3. 파종주아의 크기가 클수록 출아율과 평균 괴경중이 높아져 단위 면적당 괴경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톨 페스큐의 종자생산에 관한 연구. II. 휴폭 및 파종량이 톨 페스큐 ( Festuca arundinacea S. ) 의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Seed Production of Festuca arundinacea Schreb II. Effect of ridge and seedin rate on the seed production of Festuca arundinacea S.)

  • 양종성;박근제;권두종;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6-110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톨 페스큐의 채종재배(採種栽培)를 위(爲)한 적당(適當)한 휴폭(畦幅)과 파종량(播種量)을 구명(究明)코자 휴폭(畦幅) 3 수준(水準)(12, 18 및 24cm), 파종량(播種量) 4 방법(方法)(10, 15, 20 및 25kg/ha)으로 분할구(分割區) 4반복(反覆)으로 포장(圃場) 배치(配置)하여 1979년(年) 9월(月)부터 1981년(年) 10월(月)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에서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略)하면 다음과 같다. 1. 톨 페스큐의 출수기(出穗期)는 5월12일이며 개화기(開花期)는 6월 2일경이었고 출수기(出穗期)로부터 채종일(採種日)까지는 약(約) 43일(日)이 소요(所要)되었다. 2. $1m^2$당(當) 평균(平均) 이삭수(數)는 휴폭(畦幅) 18cm에 파종량(播種量) 15kg/ha로 한 것이 157개(個)/$m^2$로서 가장 많았으며 채종(採種)된 종자(種子)의 1000립중(粒重)은 10kg/ha의 종자(種子)를 12cm로 조파(條播)한 것이 2,79g로서 가장 무거웠다. 3 2년간(年間)의 평균(平均) 채종량(採種量)은 681kg/ha였으며, 25kg/ha의 종자(種子)를 휴폭(畦幅) 18cm로 조파(條播)한 것은 831kg/ha 로서 가장 많았다. 4 수확(收穫)된 종자(種子)의 평균(平均) 발아율(發芽率)은 90.7% 였으며 이같은 발아율(發芽率)은 파종량(播種量)이 적을수록 높았다. 5. 채종후(採種後) 2회(回) 예취(刈取)한 재생목초(再生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전체(全體) 평균(平均) 6715kg/ha였으며 파종량(播種量)이 증가(增加)할수록 또 휴폭(畦幅)이 좀을수록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은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 PDF

훼손비탈면의 한지형 잔디 파종량에 따른 자생식물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Native Plants by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on the Disturbed Slope)

  • 김재환;심상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1-12
    • /
    • 2009
  • This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the revegetation characteristics under the seeding amount treatme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on the disturbed slope. 4 different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0.0 $g/m^2$, 1.5 $g/m^2$, 3.0 $g/m^2$, 6.0 $g/m^2$) with the same seeding amounts of native woody (Rhus chinensis, Albizzia julibrissin) and herbaceous plants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Dianthus sinensis, Aster yomena) were treated with 3 replications on the experimental disturbed slope. Data such as soil hardness (mm), moisture content (%), surface coverage rate (%), the number of each germinating plant and plant height were analyzed. There were no statistic differences observed in the soil hardness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while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face coverage rates. The surface coverage rates were higher in 3.0 $g/m^2$ and 6.0 $g/m^2$ plots compared to the rest two plots of cool-season turfgrasses. However, the emergence of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was relatively low in 3.0 $g/m^2$ and 6.0 $g/m^2$ plots of high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high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could decrease the emergence of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We concluded that 1.5 g~3.0 $g/m^2$ seeding amounts of cool-season turfgrasses was optimum level for the balanced emergence of cool-season turfgrasses, native woody and herbaceous plants in the viewpoint of the ecological disturbed slope revegetation.

Effects of seeding methods and harvesting time on yield of perilla seeds

  • Jeon, Weon-Tai;Kwak, Kangsu;Bae, Jin-Woo;Han, Won-Young;Lee, Myoung-Hee;Ryu, Jong-Soo;Kang, Hang-Won;Jeong, Gun-Ho;Shim, KangBo;Heu, Sungg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97-197
    • /
    • 2017
  • In order to reduce the loss of perilla seeds at harvesting stage,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harvesting time had been applied to upland soil in NICS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Milyang, Korea. The seed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hill and drill seeding, and harvesting time were 40%, 60%, 80%, and 100% color-changing of top cluster perilla (cv Deulsaem) seeds. Higher plant height and lowest flower cluster, thinner culm thickness was observed in drill seeding treated plot than hill seeding treated plot. However, field lodging occurred lower at drill seeding treatment (lodging degree 3) than hill seeding plot (lodging degree 5). Harvesting time affected the loss of perilla seeds and the loss rate of perilla seeds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color-changing of top flower cluster. When seeds were harvested at 40%, 60%, 80%, and 100% color-changing of top cluster perilla seeds, the loss rate of hill and drill seed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 loss rated of 40, 60, 80, and 100 % color-changing of top flower cluster were 1.9% to 3.0%, 3.8% to 3.9%, 8.0% to 10.2%, and 16.1% to 22.7%, respectively. The harvesting time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yield of perilla s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ptimum harvesting time of perilla could be recommend at the 60% color-changing of top cluster to reduce the loss of perilla seeds.

  • PDF

소립종자용 평면배열 진공노즐식 반자동 파종기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Semi-automatic Seeder with Vacuum Nozzles of Quadratic Arrangement for Small-sized Seeds)

  • 김동억;이공인;강동현;김유호;이혜진;김현환;김종구;김용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6호
    • /
    • pp.434-443
    • /
    • 2011
  • A large scale seeding system was stable in terms of techniques but a convenient seeding system of small size was unsettl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emi-automatic seeder for small and medium sized scale farm. To investigate optimum needle diameter and vacuum pressure was used vacuum suction needle seeder. Although the needle diameter according to the kinds of seed was different, the needle diameter for salvia and lettuce seed was suitable for 0.34 mm needle nozzle and 0.4 mm taper nozzle. The prototype consisted a seeding frame attached with needle nozzle, seed hopper, vibrating device, seeding part, vacuum ejector, seed tube etc.. As the result with the experiments, the seeding rate of the seeder was 92% and more at 0.34 mm diameter needle nozzle and 0.4 mm taper nozzle. Eccentric weight for seed hopper vibration was suitable that weight is 11 g and eccentric distance is 0.5 mm. Vibration acceleration of upward direction was 0.363 m/$s^2$. Working capacity of the seeder was possible 160 trays per hour. It was possible for sowing small seeds but it was required to make compact and simple model.

The impact of cardinal temperature variation on the germination of Haloxylon aphyllum L. seeds

  • Taghvaei, Mansour;Ghaedi, Masoumae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3호
    • /
    • pp.187-193
    • /
    • 2010
  • Seed germination is a biological process that is affected by a variety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cardinal temperature and thermal time are required for germination.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haracterize variations in the base, optimum, and maximum germination temperatures of Haloxylon aphyllum L. from two seed 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models for use in predicting seeding dates. Mature H. aphyllum seeds were germinated at temperatures between 5 and $35^{\circ}C$. The germination behavior of H. aphyllum seeds to different temperature regimens in light was evaluated over a temperature range of $5-35^{\circ}C$ at intervals of $5^{\circ}C$. The rate of germination increased between base and optimum thermal conditions, and decreased between optimum and maximum thermal conditions; the germination rate varied in a linear fashion at both sub-optimal and supra-optimal temperatures. The linear regression fit the range of germination rates at $5^{\circ}C$ to $25^{\circ}C$ and $25^{\circ}C$ to $30^{\circ}C$, and thus the base temperature, optimum temperature, and maximum temperature for the germination of H. aphyllum were measured to be $0.6^{\circ}C$, $25.69^{\circ}C$, $37.90^{\circ}C$, and $1.76^{\circ}C$, $21.56^{\circ}C$, $37.90^{\circ}C$ for Qom and the Fars dune desert respectively.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Changes of Green Manure and Nitrogen Yield of Hairy Vetch According to Seeding Date in Autumn)

  • 서종호;이호진;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00-404
    • /
    • 2000
  • 헤어리베치의 추계 파종시기별 이듬해 4월 하순의 녹비량 및 녹비질소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1996년 및 1997전 파종기 9월 10일, 10월 1일 및 10월 20일에 각각 파종량 10, 20, 30 및 40kg/ha의 처리를 두어 이듬해 1997년 및 1998년의 5월 1일에 각각 수확하였고, 둘째 1999년의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파종하고 이듬해 4월 22일, 4월 27일, 5월 2일의 3회에 걸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7년 및 1998년 5월 1일 수확시 헤어리베치의 질소함량은 4% 내외, 2000년 수확시는 3.5% 내외를 나타내었는데 파종이 빠를수록 수확시 질소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헤어리베치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녹비의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2년 모두 파종량 30 kg/ha와 40 kg/ha간에 차이가 없어 적정 파종량은 30 kg/ha로 생각되었다. 적정 파종량에서 녹비건물중 이 9월 10일 파종은 5.5-7 ton/ha, 10월 1일 파종은 4-4.5ton/ha, 順월 20일 파종은 1.3-2.2 ton/ha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파종기 10월 이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녹비의 질소량은 녹비건물중과 거의 비례하였는데 지상부에 포함된 질소량(파종량 30-40 kg/ha)은 9월 10, 10월 1일 및 10월 20일 파종이 각각 220-280, 160-180, 60-100 kg/ha로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2000년의 4월 하순 수확에서는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7-8, 6-7, 4-5 및 2-3 ton/ha의 녹비건물중을 나타내어 파종이 8월 하순이 9월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녹비질소량 역시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혼파초지에서 모형의 단계적 적용을 통한 수량예측 연구 (A Research on Yield Prediction of Mixed Pastures in Korea via Model Construction in Stages)

  • 오승민;김문주;팽경룬;이배훈;김지융;김병완;조무환;성경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0-91
    • /
    • 2017
  • 본 연구는 기후요인을 이용한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을 기초로 하여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 해석력이 높은 모형을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혼파초지 수량예측모형 구축 과정은 자료(풀사료 및 기상자료)수집, 가공, 분석 및 모형 구축의 순이었다. 여기서 수량예측모형은 기후, 시비, 파종 및 조성연차 요인을 고려하여 6가지를 구축하였으며, 해석력 및 풀사료 생산 이론 측면의 검토를 통해 최적의 모형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기후, 시비 및 파종과 조성연차(조성연차의 그룹화) 요인을 고려한 Model VI이 선택되었다(해석력=53.8%). Model VI의 요인 별 해석력은 기후요인이 가장 크고(24.5%) 시비(17.8%), 파종(10.7%) 및 조성연차(0.8%) 요인의 순이었다. 그러나 건물수량과 하고일수 간에 나타난 정(+)의 상관관계는 지역별 및 적산변수 등의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시비량 및 파종량은 특정값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이차항(Quadratic term)을 이용하여 적정 수준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