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검색결과 780건 처리시간 0.036초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생성 천연색소의 섬유 염색 효과 (Dyeing effects of natural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PPB12)

  • 이가은;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7-533
    • /
    • 2017
  • 의류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염료를 이용한 염색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합성색소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하여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미생물 색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가 생산하는 보라색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다섬교직포에서 염색 효과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보라색 색소는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를 Marine broth 2216을 이용하여 3일 동안 배양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20% 에탄올에 녹인 보라색 색소는 다섬교직포의 면, 아세테이트 특히 나일론에 우수한 염착력을 나타내었고, 최적의 염색조건은 염색온도 $80-90^{\circ}C$, 염색시간 1시간 이상, pH 4-6, 욕비 1:25로 나타났다. 매염처리는 $Na_2SO_4$를 사용하여 염색 10분 후 후매염 처리 하는 것이 색상 발현에 더 적합하였으나 매염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라색 색소는 B. subtilis에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본 해양 세균 색소는 항균성이 부가된 천연 섬유 염색제로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Enterobacter agglomerans CBNU45로부터 분리된 제한효소 EagBI 의 특성 (Characterizations of Restriction Endonuclease EagBI from Enterobacter agglomerans CBNU45)

  • 최영주;김성재;황혜연;임정빈;김영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95
    • /
    • 1994
  • 토양에서 분리된 Enterobacter agglomerans CBNU45는 type II 제한효소인 EagBI을 생산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EagBI을 DEAE-cellulose, phosphocellulose P11, hydroxylapatite column chromatography를 거쳐 부분 정제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EagBI은 여섯개의 염기배열 5’-CGAT${\downarrow}$CG-3’을 인식하고 T 와 C 사이를 절단하여 두개의 염기가 3’-말단쪽으로 돌출된 cohesive end를 형성하였다. EagBI의 반응 최적조건은 10mM Tris-HCl(pH 7.8), 6~10mM $MgCl_2$, 37${\circ}C$이었으며 NaCl이 없는 반응 완충용액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보였다. EagBI은 $dam^-$$dam^+$ 메칠화 DNA도 절단할 수 있으며 65${\circ}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였을 때 효소의 활성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EagBI은 PvuI의 isoschizomer이나 NaCl 요구성과 열안정성에서 PvuI보다 편리한 제한효소로 확인되었다.

  • PDF

MA법으로 제조된 CrSi2 열전화합물의 평가 및 치밀화 (Characterization and consolidation of thermoelectric CrSi2 compound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 이충효;김영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5-1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rSi_2$ 열전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순금속 $Cr_{33}Si_{67}$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 처리하였다. 초미세 $CrSi_2$계 열전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최적 볼밀조건 및 열처리 조건을 X선 회절분석과 시차주사 열량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순금속 $Cr_{33}Si_{67}$ 혼합분말을 70시간까지 볼밀 처리 후 $650^{\circ}C$까지 열처리함으로써 평균 결정립 크기가 70 nm 인 초미세 $CrSi_2$ 열전화합물을 얻을 수 있었다. MA 분말시료의 벌크화를 위하여 소결온도 $600{\sim}1000^{\circ}C$, 압력 60 MPa에서 SPS 소결을 실시하였다. SPS 과정에서 MA 분말의 수축은 소결 개시 후 $600^{\circ}C$ 전후에서 크나 전반적으로 급격하게 발생하지 않으며 $1000^{\circ}C$까지 비교적 단조롭게 수축함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수축이 $600^{\circ}C$ 부근에서 큰 이유는 열분석 결과에서도 보여주듯이 $CrSi_2$ 화합물의 생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PS 성형체의 전기전도도 및 제벡계수는 $900^{\circ}C$까지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제벡계수는 $400^{\circ}C$에서 $125{\mu}V/K$ 및 파워팩터는 $350^{\circ}C$에서 $4.3{\times}10^{-4}W/mK^2$의 최대값을 각각 나타내었다.

MA법에 의한 Heusler Fe2VAl 합금분말의 제조 및 치밀화 (Fabrication and densification of Heusler Fe2VAl alloy powders by mechanical alloying)

  • 김광덕;이충효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Heusler $Fe_2VAl$ 열전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순금속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기계적 합금화 처리하였다. $Fe_2VAl$ 열전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최적 볼밀조건 및 열처리 조건을 X선 회절분석과 시차주사 열량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60시간까지 볼밀 처리한 경우 bcc 구조의 ${\alpha}$-(Fe,V,Al) 고용체가 얻어졌다. 단상의 Heusler $Fe_2VAl$ 화합물은 $Fe_{50}V_{25}Al_{25}$ 혼합분말을 60시간 동안 MA 처리 후 $700^{\circ}C$까지 열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MA 분말시료의 치밀화를 위하여 인가압력 60 MPa 및 소결온도 $900{\sim}1000^{\circ}C$에서 흑연다이를 사용하여 SPS 소결을 실시하였다. $1000^{\circ}C$에서 SPS 소결 후 얻어진 벌크체의 Vickers 경도는 870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SPS 법으로 얻어진 벌크체의 밀도측정 결과, 모든 시료에서 상대밀도 90 % 이상의 금속광택을 나타내는 치밀한 소결체임을 알 수 있었다.

기계적 합금화에 의한 Mg-Si계 열전화합물의 합성 및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g-Si thermoelectric compound subjected to mechanical alloying)

  • 이충효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1-12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나노결정립의 $Mg_2Si$ 열전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계적 합금화(MA)를 적용하였다. 단상의 초미세 $Mg_2Si$ 열전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최적 볼밀조건 및 열처리 조건을 X선 회절분석과 시차주사 열량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Mg_{66.7}Si_{33.3}$ 혼합분말을 $20{\sim}180$시간까지 볼밀 처리한 경우 모든 시료에서 $220^{\circ}C$$570^{\circ}C$ 근방에 broad한 발열 반응이 관찰되었다. 한편 $Mg_{66.7}Si_{33.3}$ 혼합분말을 260시간 동안 볼밀 처리한 경우 $230^{\circ}C$에 예리한 발열피크를 보였다. 단상의 $Mg_2Si$ 화합물은 $Mg_{66.7}Si_{33.3}$ 혼합분말을 60시간 동안 MA처리 후 $620^{\circ}C$까지 열처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었다. MA분말시료의 치밀화는 50MPa, $800{\sim}900^{\circ}C$에서 흑연다이를 사용하여 SPS 소결을 실시하였다. Mg-Si계 MA 분말시료의 SPS 소결시 수축은 $200^{\circ}C$ 근방에서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SPS법으로 고화된 성형체의 밀도측정 결과, 모든 시료에서 이론밀도의 94% 이상 금속광택을 나타내는 치밀한 소결체임을 알 수 있었다.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한 황련 추출물 항산화 활성 최적화 추출공정 (Optimization of the Extraction Proces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Coptis chinensis Franch Extract through Cluster Analysis)

  • 부민민;현송화;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9권5호
    • /
    • pp.604-612
    • /
    • 2018
  • 황련은 여러 가지 질병 치료에 사용되는 효과적인 전통약용식물이다. 하지만 황련 추출물의 생리활성성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 및 생리활성성분과 항산화 효능의 상관관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용매, 온도 및 추출 시간이 황련 추출물의 생리 활성성분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클라스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5^{\circ}C$에서 추출시간 30 min인 에탄올(50% 에탄올 : 50% 물) 조건으로 추출 시, 생리활성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제일 높으므로 공장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추출조건임을 확인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DPPH소거 활성에 기여하였으며 총 알칼로이드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FRAP활성에 기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황련의 추출 조건이 생리 활성 화합물의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조절가능하며, 이는 공업적인 응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배양에 의한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대량번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Mass Propagation of Pinellia ternata (Thunb.) Breit in Vitro)

  • 최정식;나의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0-42
    • /
    • 1986
  • 반하〔Pinellia ternata(Thunb.) Briet〕의 조직을 기내배양하여 callus 유기, 기관분화 및 자구를 증식시키는데 적합한 배지와 배양부위를 선정코저 Mur-ushige & Skoog 배지에 2,4-D와 kinetin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검토하였고 또한 배양온도 및 배지의 pH 영향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allus 유기는 배양 5~7일 후에 엽조직 및생장점조직의 절단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2,4-D 2.0mg/$\ell$+kinetin 0.2mg/$\ell$을 첨가한 구에서 callus의 형성 및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2. 자구의 형성은 엽조직 및 생장점조직을 2,4 -D 2.0mg/$\ell$+kinetin 0.2mg/$\ell$ 또는 2.4-D 2.0g/$\ell$+kinetin 2.0mg/$\ell$을 첨가한 배지에서 양호하였고 근 및 괴경조직에서는 자구가 전혀 ?성되지 않았다. 3. 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Petiole이 자구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에 있어서 marginal meristem, minor vein area 및 intercostal area 보다 양호하였다. 4. 경의 부위별 자구형성능력은 상부위 조직일수록 자구의 형성수 크기, 엽면적 및 생체중이 양호하였으나 하부위일수록 불량하였다. 5. 배양온도는 $25^{\circ}C$에서 callus 유기, 크기 및 생체중이 가장 양호하였다. 6. 배지의 pH는 4.5~7.5에서 모두 callus가 유기되었으나 그중 pH 6.0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7. 재생되는 식물체 일부가 광엽화되는 경향이었으며 소수의 albino 식물체와 변이체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Penicillium sp. KJ81이 생산하는 Erythritol 4-Phosphate Dehydrogen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rythritol 4-Phosphate Dehydrogenase from Penicillium sp. KJ81)

  • 윤나래;박상희;임재윤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0-207
    • /
    • 2009
  • Erythritol 생합성에 중요한 효소인 erythritol 4-phosphate dehydrogenase를 Penicillium sp. KJ81로부터 분리 정제하여 효소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Erythritol 4-phosphate dehydrogenase의 최적 생산 조건은 30% sucrose, 0.5% yeast extract, 0.5% $(NH_4)_2SO_4$, 0.1% $KH_2PO_4$ 그리고 0.05% $MgCl_2$ (pH 7.0) 배지에서 1 vvm aeration, 교반속도 200 rpm, $37^{\circ}C$로 Penicillium sp. KJ81을 배양한 결과 8일 배양 시 최대의 생산량을 보였다. Penicillium sp. KJ81주의 균체 추출액으로부터 ultrafiltration, 조제용 disc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erythritol 4-phosphate dehydrogenase를 분리 정제하였다. 최종 수율은 33%이었으며 정제배수는 39.5였다. 정제된 효소의 pI값은 4.6으로, erythrose 4-phosphate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였으며, Km값은 1.07mM이었다. Native-PAGE에서 single band를 보인 효소의 분자량은 약 1,500 kDa이었다. 효소활성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7.0, $30^{\circ}C$였으며, 효소는 pH 4.0~9.0, 그리고 $30^{\circ}C$까지 안정하였다. 다양한 금속이온 중 $Cu^{2+}$, $Zn^{2+}$에 의하여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었다. 다양한 아미노산 반응 잔기 변형시약 중 iodine과 NBS에 의해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갑오징어갑 칼슘을 이용한 Surimi 가공폐수로부터 단백질의 회수 (Recovery of a High Molecular Soluble Protein from Surimi Wastewater Using Calcium Powder of Cuttle Bone)

  • 김진수;조문래;허민수;최영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0-87
    • /
    • 2003
  • 수산가공부산물인 갑오징어갑과 수산가공 폐수 유래 수용성 단백질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일련의 연구로 유기산 처리 갑오징어갑 칼슘제 (이하 칼슘제)를 이용한 surimi의 가공폐수로부터 고분자 수용성 단백질의 분리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분리된 고분자 수용성단백질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총질소, pH, COD, 탁도 및 수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surimi의 가공폐수로부터 수용성 단백질의 회수를 위한 칼슘제의 최적 처리농도는 $1.0\%$로 판단되었다. SDS-PACE의 결과 칼슘제 처리에 의해 대부분의 고분자화합물 만이 회수되었고, 저분자 화합물의 잔존으로 COD는 높아 칼슘제 처리에 의한 폐수처리 효과는 미미하여 열처리 등의 병행처리가 있어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회수 단백질의 일반성분은 수분이 $78.4\%,$ 단백질이 $14.1\%,$ 지방이 $1.0\%,$ 회분이 $5.7\%$를 나타내었고, 시판 surimi와 비교하였을 때 회분이 높았으나, 기타 성분의 경우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회수 단백질의 백석도는 시판 surimi보다 높았으며, 구성아미노산의 조성도 유사하였다. 시판 surimi에 대하여 회수 단백질을 $5\%$ 대체하여 어묵을 제조한 결과 관능적으로 백색도 및 조직감에서 차이가 인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칼슘제 처리에 의해 수산가 공폐수로부터 회수한 단백질의 경우 어묵의 증량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증의 수술적 기법 적용 후 괴사 망상골 내에서의 응력 변화 해석 (An Analysis of Stress Transfer Behaviors within the Necrotic Cancellous Bone following Surgical Procedures or the Management of the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 정성;이성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5-248
    • /
    • 1997
  • Operative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ONFH) include core drilling, with or without vascularized fibular bone grafting. Nevertheless, their clinical results have not been consistently satisfactory. Recently, a new surgical procedure that incorporates cementation with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fter core drilling has been tried clinically. In this study, a biomechanical analysis using a finite element method(FEM) was undertaken to evaluate surgical methods and their underlying surgical parameter. Our finite element models included five types. They were (1) normal model (Type I), (2) necrotic model (Type II), (3) core decompressed model (Type III). (4) fibular bone grafted model (Type IV), and (5) cemented with PMMA model (Type V). The geometric dimensions of the femur were based on digitized CT-scan data of a normal person. Various physiological loading conditions and surgical penetration depths by the core were used as mechanical variables to study their biomechanical contributions in stress transfer within the femoral head region. In addition. the peak von Mises stress(PVMS) within the necrotic cancellous bone of the femoral head was obtained. The fibular bone grafted method and cementation method provided optimal stress transfer behaviors. Here. substantial increase in the low stress level was observed when the penetration depth was extended to 0mm and 5mm from the subchondral region. Moreover, significant decrease in PVMS due to surgery was observed in the fibular bone grafted method and the cementation method when the penetration depths were extended up to 0 and 5mm from the subchondral region. The drop in PVMS was greater during toe-off than during heel-strike (57% vs. 28% in Type IV and 49% vs. 22% in Type V). Both the vascularized fibular bone grafting method (Type IV) and the new PMMA technique (Type V) appear to be very effective in providing good stress transfer and reducing the peak Von-Mises stress within the necrotic region. Overall results show that fibular bone grafting and cementation methods are quite similar. In light of above results, the new cementation method appears to be a promising surgical alternative or the treatment of ONFH. The use of PMMA for the core can be less prone to surgical complication as opposed to preparation of fibular bone graft and can achieve more immediate fixation between the core and the surrounding reg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