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al Isom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9초

흰쥐에서 펜플루라민이성질체의 뇨중 배설 (Urinary Excretion of Racemic Fenfluramine in Rat)

  • 정희선;박미정;진원택;양원경;최화경;유영찬
    • 약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76-582
    • /
    • 1998
  • Fenfluramine, an anorectic agent, is widely abused as a diet pill in Korea because it is freely marketed in China without any regulation. The optical isomers of fenfluramine hav e different phamacological actions: d-form is used as an anorectic agent, while l-form as a neuroleptic agent. To investigate the metabolism when racemic fenfluramine was administered orally, the urinary excretion of fenfluramine was studied in rats. The enantiomeric separation of fenfluramine was performed on achiral column by gas chromatography using (S)-N-(trifluoroacetyl)-l-prolyl chloride (TFP) as a derivatizing agent. After administration of 15mg/kg of racemic fenfluramine to rats, d-, l-fenfluramine and its metabolites d- and l norfenfluramine in urine were determined by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FP derivatives on DB-1 at retention time of 11.2, 11.8, 8.4 and 8.6 min respectively. Urinary recoveries of d and l-fenfluramine in rat were 0.42-5.9O% and 0.18-1.20% respectively in urine specimens collected during first 24hr. The comparison in the levels of isomers showed that d- fenfluramine were higher than l-form, while d-norfenfluramine were lower than l-form. The ratios between parent compound and metabolite revealed that d-norfenfluramine to d-fenfluramine ranged from 1.0 to 4.4, while the ratio of l-norfenfluramine to l-fenfluramine was 8.2-21.1 indicating that l-fenfluramine is metabolized faster than the d-isomer.

  • PDF

전이금속염 함유 키랄 살렌 촉매에 의한 광학선택적 에폭사이드의 합성 (Enantioselective Epoxide Synthesis on the Chiral Salen Catalyst having a Transitional Metal Salt)

  • 곽소봉;키테라 라올;김건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69-776
    • /
    • 2008
  • 키랄성 말단기의 에폭사이드는 키랄중간체나 여러 출발물질로서 다양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그 선택적인 합성법은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화코발트(II), 염화철(III) 및 질산아연(II)을 각각 함유한 키랄 코발트 살렌 촉매를 새로이 합성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질량분석과 EXAF분석을 통하여 형성된 촉매 착체의 구조를 평가하였다. 합성한 촉매는 방향족 에폭사이드인 스타이렌 옥사이드와 페닐글리시딜 에테르의 속도차에 의한 비대칭 가수분해적 고리열림반응과 글리시틸부틸레이트의 합성반응에 적용하여 그 활성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합성이 용이한 전이금속염함유 살렌착체 촉매는 물을 친핵체로 하는 라세믹 에폭사이드의 고리 열림을 통하여 99%ee 이상을 나타낼 정도의 매우 높은 광학선택성을 보였으며, 적은 양의 첨가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촉매씨스템은 키랄 에폭사이드 및 1,2-디올 중간체의 제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컬럼스위칭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뇨중 플루비프로펜의 광학이성질체의 미량분석 (Trace Analysis of Racemic Isomers of Flurbiprofen in Human Urine using Column Switching-HPLC)

  • 최현철;강신정;윤미옥;이수정;김호정;박창훈;차기원
    • 분석과학
    • /
    • 제15권6호
    • /
    • pp.529-533
    • /
    • 2002
  • 광학이성질체 분리 컬럼, 시료처리 및 농축 컬럼이 부착된 컬럼스위칭-HPLC를 이용하여 뇨시료에서 미량의 플루비프로펜 광학이성질체를 분리 정량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분리된 각 이성질체의 고유광회전도를 구하고,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를 확인하였다. 이들의 검정선의 농도범위는 각각 $0.11{\sim}5.4{\mu}g/mL$이었으며, 검출한계는 d-이성질체의 경우 $0.027{\mu}g/mL$이고, l-이성질체의 경우 $0.031{\mu}g/mL$이며, 날자간 및 날자내의 정밀도의 CV값은 각각 1.84% 이하였다. 본 분석법은 플루비프로펜 약물을 복용한 살마의 뇨중에 존재하는 플루비프로펜의 분석에 적용하였다.

$^{99m}Tc$-HMPAO의 광학이성체 d-, l-Form의 합성과 뇌섭취율 비교 (Synthesis of d- and l-Form of $^{99m}Tc$-HMPAO, and Comparison of Brain Uptake)

  • 강찬순;장영수;정재민;이동수;정준기;이강춘;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9-74
    • /
    • 2001
  • 목적: $^{99m}Tc$-HMPAO는 뇌혈류영상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으로, HMPAO (RR,SS)-4,8-diaza-3,6,6,9-tetramethylundecan-2,10-dione bisoxime)는 3개의 입체이성체(meso-, d-, l-HMPAO)가 존재한다. $^{99m}Tc$표지 meso-HMAPO와 d,l-HMPAO는 체내에서 뇌섭취에 차이를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d,l-HMPAO 입체이성체 혼합물을 d-형과 l-형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99m}Tc$으로 표지하여 생체내분포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및 방법: 2,3-Butanedione monooxime과 2,2-dimethyl-1,3-propanediamine을 반응시켜 imine 형태의 중간화합물(수율: 54%)을 얻었다. 이를 환원시켜 d,l-과 meso-HMAPO 혼합물을 얻었다(수율 : 31%). 이것을 4번 분별결정하여 miso-HMPAO를 분리하였다(수율: 11%). d,l-라세미 혼합불은 (+)-타르타르 산과 (-)-타르타르 산을 이용하여 d-형과 l-형을 분리하였다(수율 25%, 5%). 합성한 각 입체이성체 HMPAO를 환원제로 $SnCI_2{\cdot}2H_2O$를 이용하여 $^{99m}Tc$으로 표지한 후, 마우스에 투여하여 1 시간 후 생체내분포를 확인하였다. 결과: 우리는 각 입체이성체 HMAPO를 합성하고 핵자기공명분광기와 선광도측정기를 이용하여 구조를 확인하였다. $^{99m}Tc$ 표피후 지용성 $^{99m}Tc$HMPAO의 방사화학적 순도는 80% 이상이었다. 각 입체이성체(d,l-, d-, l- HMPAO)의 뇌섭취율은 1.34, 1.12, 1.67% ID/g으로, l-형이 d-형보다 1.5 배 더 높았다. 결론: 우리는 각 입체이성체 HMPAO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l-HMPAO를 분리하여 사용할 경우 보다 나은 영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이량체구조를 갖는 키랄 살렌 촉매를 이용한 고 광학순도의 에폭사이드 화합물 합성 (Synthesis of Enantiopure Epoxide Compounds Using Dimeric Chiral Salen Catalyst)

  • 김건중;김성진;이문희;진숙위;신창교;타쿼 산토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6호
    • /
    • pp.647-661
    • /
    • 2005
  • 키랄성 말단기의 에폭사이드는 키랄중간체나 여러 출발물질로서 다양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입체선택적인 합성방법은 학술적으로나 산업적인 관점에서 대단히 흥미롭다. 본 총설에서는 키랄성 코발트 살렌을 이용한 비대칭 고리열림 반응에 대한 연구개발동향을 고찰하였다. 여러 가지 가능한 합성방법 중에서 가수분해의 속도차에 의한 분리반응기술은 높은 광학순도의 터미널 에폭사이드를 합성할 수 있는 탁월한 방법이다. 본 저자들은 균일계 및 불균일계의 키랄성이핵성 살렌 착체를 합성하여, 에폭사이드의 고리를 여러 종류의 친핵체로 광학선택적으로 열고 다시 선택적으로 고리화시키는 한 단계의 반응에 대하여 그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촉매와 염기 존재하에서 고리 열림과 닫음 반응을 조합시킴으로써 고수율로 높은 광학순도의 에폭사이드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들 촉매는 공업적인 규모로 키랄 중간체를 생산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수분해 속도차이에 따른 분리반응 기술을 적용하여 여러 종류의 키랄성 화합물을 제조한 연구실험 결과를 서술하였다.

극성용매에서 거대고리 Ni (II) 착물의 광흡수와 폴라로그램 (Optical Absorption and Polarogram of Macrocyclic Nickel (II) Complexes in Polar Solvents)

  • 박유철;변종철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8-177
    • /
    • 1987
  • 극성용매(L; ANT, MFA, DMSO, DMF, DMA)에서 $\alpha$-Ni(rac-[14]-decane)$^{2+}$의 화학평형 관계를 상온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연구하였다. ANT, MFA, DMSO, DMF, DMA일 때 평행상수 $K_1$은 각각 31.0, 27.5, 21.3 15.9, 6.4이었으며 $K_2$$K_1$보다 적은 값이었다. $\alpha$-Ni(rac-[14]-dacane)$^{2+}$ + L $\leftrightharpoons$ [$\alpha$-Ni(rac-[14]-decane){\cdot}L]$^{2+}$ : $K_1$[$\alpha$-Ni(rac-[14]-decane){\cdot}L)$^{2+}$ + L $\leftrightharpoons$ [$\alpha$-Ni(rac-[14]-decane){\cdot}$L_2$)$^{2+}$; $K_2$.ACT에서 Ni(II)-macrocycle 착이온의 d-d흡수에너지 ($cm^{-1}$와 환원 반파전위 ($E_{1/2}$, V vs. SCE)사이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d-d 전이에너지를 크게하는 거대고리 리간드일수록 착이온의 반파전위는 좀더 양의 값으로 이동하였다. Ni(rac-1[14]7-diene)$^{2+}$, Ni(meso-1[14]7-diene)$^{2+}$, Ni(1[14]4-diene)$^{2+}$, $\alpha$-Ni(rac-[14]-decane)$^{2+}$, $\beta$-Ni(rac-[14]-decane)$^{2+}$, Ni(meso-[14]-decane)$^{2+}$ 착이온의 환원반파전위는 각각 -1.419, -1.431, -1.450, -1.473, -1.480 (V vs. SCE)이었다. 몇 가지 용매에서 Ni(meso-[14]-decane)$^+$ 이성질체의 d-d전이에너지($\nu_{max},\;cm^{-1}$) 변화와 용매의 유전상수(${\varepsilon}/{\varepsilon}_0$) 관계를 고찰하였으며 ${\varepsilon}/{\varepsilon}_0$가 클수록 $\nu_{max}(cm^{-1})$는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