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culum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19초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Head Lice Eggs Detected in Korean Children

  • Park, Mi Soon;Chang, Byung Soo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2호
    • /
    • pp.47-52
    • /
    • 2014
  • Fin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eggs (nits) found on the scalp hairs of Korean children were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 egg is structurally composed of four parts: the cementum, nit body, operculum, and aerophyle. The total length of an egg is about 1.5 mm. The glue secreted from the female louse completely surrounds the 1 mm hair shaft and forms the cementum. The thickness of the cementum at the end of the nit body was found to be more than 5 times the thickness at the end toward the scalp. The nit body is shaped like a goblet with a very smooth surface. The operculum and aerophyles are located at the apiculus area. In the circular operculum, there are 10 aerophyles concentrated on the side of the hair shaft surface that are shaped like a dome. Three aerophyles in the center are surrounded by 7 aerophyles. Each aerophyle is dome shaped with a diameter of $65{\mu}m$ and a respiratory pathway with a $15{\sim}25{\mu}m$ opening at the center. On the cut surface where the operculum is separated as the egg hatches, long grooves about $1{\mu}m$ thick are uniformly formed transversely. These long grooves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operculum through body expansion at the time of hatching.

Comparative Analysis of Fluctuating Asymmetry between Ploidy and Sex in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 Park, In-Seok;Gil, Hyun Wo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3호
    • /
    • pp.275-28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luctuating asymmetry of eye diameter, maxilla length, operculum length, and the number of pectoral fin ray and pelvic fin ray between ploidy and sex in diploid and triploid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In all experimental groups, eye diameter and maxilla lengt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ft side and right side (p>0.05). Result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male group showed similarity ones with results of operculum length in tr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diploid female group (p<0.05). However, the operculum length in diploid male group and pectoral fin ray's number in triploid male group showed consinderable difference with those of operculum length in diploid female group and pectoral fin in triploid female group. Findings of pelvic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were similar to those of pectoral fin ray's number in all groups (p<0.01).

한국 서해안 갈색띠매물고둥,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Neptunea (Barbitonia) arthritica cumingii in the West Sea of Korea)

  • 안정은;최종덕;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14
  • 본 연구는 2007년 10월부터 2008년 9월까지 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서 통발어구로 채취된 갈색띠매물고둥을 조사하였다. 갈색띠매물고둥의 뚜껑에 나타난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7월에서 8월로 조사되었으며, 초륜 형성기간은 12개월 (1년) 로 나타났다. 각고 (SH) 에 대한 각폭 (SW) 의 성장식은 SW = 0.5757 SH + 0.222 ($R^2$ = 0.8723), 총중량 (TW) 의 상대성장식은 TW = 0.0002 $SH^{2.8162}$ ($R^2$ = 0.9121) 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연령 (t) 에 대한 각고 (SH) 와 총중량 (TW) 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_t=173.964(1-e^{-0.164(t+1.173)})$$ $$TW_t=407.952(1-e^{-0.164(t+1.173)})^{2.8162}$$

염분 변화에 따른 자바틸라피아(Oreochromis mossambicus)의 산소소비, 아가미 호흡수 및 암모니아 배설 (Oxygen Consumption, Operculum Movement Number and Ammonia Excretion of Cultured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by Salinity Changes)

  • 이춘희;한상우;허준욱;이정열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138-1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자바틸라피아(체장 10$\pm$1.0cm, 체중 173$\pm$4.2g)를 사용하여 염분의 변화에 따른 산소소비율, 아가미 호흡수 및 암모니아 배설률을 조사하였다. 담수(0 psu)에서 사육하던 자바틸라피아를 염분 0(대조구), 3, 9. 15, 21 및 32 psu로 이동하였을 때 시간경과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단계적 인 염분변화는 담수(0 psu, 대조구)로부터 염분을 1일 3psu씩 증가시켜 3, 9, 15, 21 및 32 psu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급격한 변화는 각 사육 염분(0, 9, 15, 21, 32 psu)에서 각각 4개의 다른 염분으로 순화 없이 바로 옮겨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갑작스런 염분변화는 96시간 반수치사농도(96 hr-TL$_{50}$)는 23.3 psu로 나타났다. 단계적으로 염분을 옮겼을 때 3 psu로부터 27 psu까지 염분증가에 따라 산소소비율과 호흡수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2 psu에서는 0 psu보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모니아 배설량은 15 psu에서 가장 높은 배설률을 보이고 21 psu이상에서는 불규칙한 배설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담수에서 15 psu 이상으로 갑작스런 이동은 항상성 유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분에 적응사육한다고 할 때 15 psu 이하에서 단계적인 순화를 거쳐서 사육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되어진다.

한국 서해산 피뿔고둥, Rapana venosa (Valenciennes, 1846)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Purple whelk, Rapana venosa (Gastropoda: Muricidae) in the West Sea of Korea)

  • 최종덕;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6
    • /
    • 2009
  • 본 연구는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서 통발어구로 채취된 피뿔고둥을 조사하였다. 피뿔고둥의 뚜껑에 나타난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7월에서 8월로 조사되었으며, 초륜 형성기간은 13개월(1.08년)로 나타났다. 각고(SH)에 대한 각폭(SW)의 성장식은 SW = 0.7867 SH - 6.3988 ($R^2$ = 0.8604), 총중량(TW)의 상대성장식은 TW = 0.0000626 $SH^{3.206}$ ($R^2$ = 0.8324)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연령(t)에 대한 각고(SH)와 총중량(TW)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_t=199.653(1-e^{-0.104(t+2.478)}$ $TW_t=1484.105(1-e^{0.104(t+2.478)})^{3.206}$.

  • PDF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와 부세(L. crocea) 간의 외부계측형질 비교 (Comparison of morphometric traits between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croaker(L. crocea))

  • 박인석;오지수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07-51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외부형태적으로 매우 비슷한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와 부세(L. crocea)의 두 종 간 구분을 위해 계측형질 분석을 포함한 몇가지 기법들을 수행하였다. 총 48개의 계측형질 중 4개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이 파악되었으며(p<0.05) classical dimension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형질은 없었다(p>0.05). 오히려, 2가지의 truss dimension(Insertion of dorsal fin base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Origin of anal fin base - origin of pectoral fin base)와 2가지의 head part dimension (Most anterior extension of the head - above of eye와 Above of eye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하지만, 이러한 4가지 계측형질 중 head part dimension의 Above of eye - posterior aspect of operculum의 계측형질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 계측형질들에서 부세가 참조기에 비해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X-ray 분석 결과 curved vertebral column에서 부세는 45.1±2.34°로 참조기의 38.4±1.82°에 비해 8.4% 더 큰 수치를 나타내었다(p<0.05). 머리부위의 표피를 제거한 후의 유상돌기는 두 종에 모두 존재하여 일반적으로 참조기에서만 유상돌기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바와는 달리, 유상돌기는 두 종을 구분하기 위한 형질로 볼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참조기와 부세에서 일부 외부 체형에 의해 명확히 구분 가능함을 시사한다.

한국산 여을멸과(여을멸목) 어류 1미기록종, Albula glossodonta (Forsskål, 1775) 엽상자어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Newly Recorded Albula glossodonta (Forsskål, 1775) (Albulidae, Albuliformes) Leptocephalus in Korea)

  • 이연명;지환성;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68-573
    • /
    • 2021
  • A single leptocephalus specimen of Albula glossodonta belonging to the family Albulidae under the order Albuliformes, was collected from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May 21, 2019.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A. vulpes in the number of melanophores at the base of the caudal fin. In addition, our specimen was readily distinguished from A. argentea in having no melanophores on the operculum, at the base of the dorsal fin and in front of the pectoral fin. Also it was well distinguished from A. gilberti in having no melanophores on the operculum, in front of the pectoral fin and on the lateral body. A molecular analysis based on 467 bp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DNA 16S rRNA shows that the leptocephalus is well matched to A. glossodonta adult (K2P distance=0.002).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A. glossodonta leptocephalus in the Korean waters, and propose it's new Korean name, "Nam-bang-yeoeul-myeol".

광절열두조충감염 5예 (Five Cases of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 이순형;서병양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2호
    • /
    • pp.150-156
    • /
    • 1983
  • 1975년부터 1983년까지 치료를 위해 서울의대 기생충학교실로 의뢰된 광절열두조충 충란양성자 5명에 대하여 bithionol, niclosamide 또는 praziquantel을 투여 하고 하제를 사용하여 충체를 얻은바 Diphyllobothrium latum으로 동정되었다. 충자는 서울 및 전남 완도군에 거주하고 있는 10~64세 남(4명) 여(1명)로 그중 2례는 농어를 생식한 경험이 있으며 나머지 3례는 바다생선회를 생식하였으나 그 종류를 기억할 수 없다고 한다. 또 그중 3례는 심한 복통과 소화기증상을 경험하였고, 2례는 편절이 자연배출된 일이 있다고 하나 빈혈소견은 전례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대편검사에서 발견된 충란은 명 열별로 크기 평균 $59~67{\times} 41~48{\mu}m$이고 황갈색 유란원형 또는 타원형이 있으며 operculum과 abopercular protuberance가 뚜렷하였다. 충체는 4례에서 두절을 포함한 걸이 320~680cm의 완전한 것이 배출되었고 l례에서는 투약후 충체 배출여부를 확인하지 못하고 자연배출된 길이 30cm정도의 체절을 동정에 이용하였다. 특징적인 편절의 형태인 rosette형 자궁, vaginal pore가 cirrus sac에 포함되어 개구된 점, 재정과 cirrus sac의 분리 등으로 보아 Diphyllobothrium latum으로 동정되었다. 본 5례는 우리나라에서 1971년 이후 충체가 확인된 6례에 이어 제 7례-제11례의 인체기생례가 된다.

  • PDF

Gross Abnormalities in Tilapia

  • Tave, Douglas;Jo, Jae-Yoon;Kim, D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148-160
    • /
    • 2011
  • Thirty-one gross abnormalities that have been observed in tilapia are described: 10 fin, five eye, five jaw, four body shape, three head, two yolk sac, one operculum, and conjoined twins. Twenty-one have been described in published papers; the others were obtained from a survey. Breeding experiments revealed that three were heritable, while six were not heritable. Five could be caused by a bacterial infection, and one could be produced by a fungus. Four deformities were in offspring of males that had been injected with methyl methane sulphonate. Three were produced when sperm was treated with methyl methane sulphonate. Six were observed during sex reversal studies, and one was found following heat shock of fertilized eggs. Three were observed in polluted river water. The cause of other deformities is not known.

꼬리지느러미가 없는 긴꼬리벵에돔 [Girella leonina (농어목, 황줄깜정이과)]의 출현 (Occurrence of Small Scale Blackfish Girella leonina (Perciformes: Kyphosidae) Lacking a Caudal Fin)

  • 권혁준;박진순;김혜선;김주희;배한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675-677
    • /
    • 2016
  •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a tailless Girella leonin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July 2016. This specimen has 10 scales below the median spinous portion of the dorsal fin, a black posterior margin of the operculum, and no pale vertical band on the body, and is therefore similar to the normal species, except that it has no caudal peduncle or caudal fin. The posterior parts of the dorsal and anal fins are gathered vertically at the posterior end of the body. A radiograph indicates that this abnormal specimen is lacking the vertebrae after vertebra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