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rative risk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5초

대동맥궁 단절증 수술 사망 원인과 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and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the Surgical Repair of Interrupted Aortic Arch)

  • 곽재건;반지은;김웅한;진성훈;김용진;노준량;배은정;노정일;윤용수;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99-105
    • /
    • 2006
  • 배경: 대동맥 단절증은 드문 선천성 심기형으로 여전히 높은 수술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망의 원인과 위험인자를 분석하여 사망률이 높은 이 질환의 수술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04년까지 대동맥궁 단절증으로 진단 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수슬 당시의 체중, 수술 전 진단, 수술 전 PGE1의 사용여부, 대동맥궁 단절증의 형태, 수술 전 좌심실 유출로 협착의 정도, 인공심폐기 가동시간, 대동맥 겸자 시간 등을 사망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후보 요소들로 가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4명의 수술 사망이 있었다. 사망원인은 페동맥 밴딩으로 인한 저산소증 및 이로 인하여 초래된 양심실 유출로의 협착, 감염, 승모판 역류, 장시간의 체외순환으로 인한 심근 손상, 대혈관 전위증 환자에서의 관상동맥 전위의 실패 등이었으며, 수슬 전 PGE1의 사용 여부, 인공심폐기의 보조 기간과 대동맥 결찰 시간 등이 사망과 관련된 위험인자로 분석되었다. 수술 전 좌심실 유출로의 협착 정도는 통계학적인 의미를 얻어내지는 못했지만, 협착 정도가 심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value=0.61). 결론: 이 연구에서 저자들은 수술 전 PGE1의 사용유무, 인공심폐기의 가동 시간과 대동맥 결찰 시간 등이 수술 사망을 높이는 인자임을 밝혔다. 작은 크기의 대동맥 하 좌심실 유출로는 수술 사망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수술 사망률의 증가에 따라 협착의 정도가 심해지는 소견은 보였다. 수술 전 환자 상태와 보다 짧은 수술 시간이 위험인자로 밝혀진 만큼, 수술 전 환자에 대한 적절한 처치와 정확한 수술적 전략을 통한 수술 시간 단축이 보다 나은 수술 성적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조기 위암에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Morbidity of Laparoscopic Assisted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 최지은;정오;육정환;김갑중;임정택;오성태;박건춘;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52-159
    • /
    • 2007
  • 목적: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이 조기 위암의 치료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복강경 술식이 개복술과 비교하여 장정이 많다는 연구는 많지만 술식의 안전성 및 위험도에 대하여 연구된 바는 많지 않다. 이에 연구자들은 본원에서 조기 위암으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치료를 조사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과 연관된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수술 전 조기 위암을 진단받고 본원에서 복강경 보조 하 원위부위 절제술을 시행한 332명, 전 절제술을 시행한 44명을 합한 376명의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합병증은 총 40명(10.6%)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중 합병증은 4명(1.1%), 수술 후 합병증은 36명(9.6%)의 환자에서 39가지 경우가 발생했으며 수술에 의하여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술 후 대합병증은 문합부 출혈 8명(2.1%), 문합부 협착 7명(1.9%), 복강 내 체액 저류 5명 (1.3%), 문합부 누출 3명(0.8%), 복강 내 출혈 3명(0.8%), 장 폐색 2명(0.5%)의 순이었다. 그 외 소합병증은 11명(2.9%)에서 나타났고 모든 합병증은 장 폐색으로 수술을 시행한 2예를 제외하고 보존적 치료로 해결되었다. 합병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단변량 분석에서 연령(P=0.004), 체질량지수(P=0.037), 동반 질환 유무(P=0.045)가 통계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연령(P=0.021) 만이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조기 위암 치료를 위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의 술 후 합병증은 높지 않으며(10.6%), 대부분 보존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기라고 생각한다.

  • PDF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in Elderly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 송석원;이현성;김문수;이종목;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28-433
    • /
    • 2005
  • 식도암의 수술 시 고령은 수술 합병증 및 사망의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술 술기와 수술 전후 환자 관리의 발전으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절제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이 많이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70세 이상의 식도암환자에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후 결과를 70세 미만의 군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국립암센터 폐암센터에서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한 1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를 70세 이상$(제1군,\;n=27,\;15.5\%)$과 70세 미만$(제2군,\;n=147,\;84.5\%)$으로 나누어 수술전 상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수술 사망 및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63_4세였으며, 남자가 159명이었다. 병리조직 소견은 $93.1\%$가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78.8\%$에서 중부 및 하부 식도였다. 근치적 절제는 162명$(93.1\%)$에서 가능하였다 평균 재원기간은 19.4일이었으며,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61명$(35.1\%)$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호흡기계 합병증이 33예$(19.0\%)$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1군에서 수술 전 고혈압 및 심장과 폐기능의 저하가 더 많았으나(p=0.064, p=0.002, p=0.057),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44.4\%\;vs.\;33.3\%,\;p=0.28)$. 수술 사망은 7명$(4.0\%)$이었으며,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3.7\%\;vs.\;4.1\%)$. 평균 생존은 26.5개월로, 1년 생존율 $81.0\%$, 3년 생존율은 $40.5\%$이었고, 생존율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64). 걸론: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조기 결과로 안전하게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의 B형, C형 간염에 관한 혈청역학적 연구 (Seroepidemiologic Study of Hepatitis B Virus (HBV) and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among Koreans in Rural Area, Korea)

  • 신해림;김준연;송주복;서병성;김정만;이부옥;김수량;양무관;이채언;전진호;유근영;안윤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1997
  •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epatitis B virus (HBV) and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and to determine associated risk factors, a population-based seroepidemiologic study was carried out. In 1993, a health examination survey of the population was carried out in rural area known to have a high incidence of liver cancer. The study population were thos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health survey over 10 years of age. Examinees were interviewed by specially trained staffs. Sera from 1,033 study subjects were tested fo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by .everse passive hemagglutinin (RPHA) estimation and for hepatitis C virus antibody (anti-HCV) by 2nd generation passive hemagglutinin (PHA) estimation. The age and sex standardized prevalence of HBsAg was 6.3% which was similar to national average, but that of anti-HCV was 5.1% which was 4 to 5 times higher than that of blood donors or other health examinees in Korea. In a multivariate analysis, transfusion history, surgical operative history, and acupuncture history were not associated with HBsAg positivity. In contrast, acupuncture history (adjusted odds ratio[OR]=2.2 : 95% Confidence interval[CI] 1.0-4.7) and surgical operative history(adjusted OR=2.0 : 95% CI 1.0-4.1) were associated with anti-HCV positivity.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n highly endemic area of HCV infection in Korea and probably this endemicity is associated with a parenteral source of HCV infection other than blood transfusion.

  • PDF

온전한 심실중격을 갖고 있는 폐동맥폐쇄증의 수술 후 조기 및 중기 성적 (Early and Mid-Term Results after Operations for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 성시찬;전희재;조광조;우종수;이형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476-486
    • /
    • 2000
  • Background: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PA/IVS) is an anatomically heterogenous anomaly with a variety of surgical strategies possibl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right ventricular size on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surgical repair of PA/IVS. Material and method: Medical records of 20 consecutive patients with PA/IVS operated on between January 1993 and August 1999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re were 12 boys and 8 girls whose ages ranged from 2 days to 14.5 months (median 6 days). Their body weight ranged from 2.52kg to 9.35 kg(median 3.18kg). The preoperative Z-value of the diameter of the tricuspid valve(T-valve) was less than or -4 in 5 patients, between -4 and -2 in 1, between -2 and 0 in 7, between 0 and 2 in 6, and greater than or 2 in 1. All patients who had z-value of tricuspid valve greater than -2.05 were attempted biventricular repair(n=15) and all patients who had it smaller than -4.4 underwent systemic-pulmonary shunt operation only(n=3) or bidirectinal cavopulmonary shunt with right ventricular reconstruction(n=2). Result: Two early deaths(2/20, 10%) occurred. Both were infants who underwent transannular patch with shunt. One of these two had huge right ventricle(Z-value of tricuspid valve = 5). There were 2 late non-cardiac deaths 3 and 7 months after operations respectively. Follow-up was completed in all children at a mean of 35.3 months(range, 5 to 54 months). 10 of 11 survivors who underwent transannular patch or valvotomy with or without shunt procedure were in NYHA functional class I even though some of them had small interatrial communication or patent shunt. All three patients who had shunt procedure only at initial palliation completed Fontan procedures with no death. Two patients who underwent right ventricular outflow reconstruction with 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 were also in good condition. Conclusion: The transanular RVOT patch or valvotomy with or without systemic-pumonary shunt as an initial palliative procedure to achieve biventricular repair for the patients who had neither too small nor too large right ventricle(-2.05$\leq$Z-value of T-value of T-valve$\leq$2) could be performed at low operative risk(1/14 7.1%). Systemic-pulmonary shunt procedure and bidirectional cavopulmonary shunt procedure for the patients who had small right ventricle(Z-value of T-valve$\leq$4.4) could be also performed with low risk. But a patient with huge right atrium and ventricle(Z-value of t-valve=5) had poor operative result.

  • PDF

3mm와 3.5mm PTFF graft를 이용한 변형 B-T 단락술의 임상적 분석 (The Clinical Analysis of Modified B-T Shunt Using 3 mm and 3.5 mm PTFE graft)

  • 정성호;윤태진;임한중;민경석;서동만;윤소영;김영휘;고재곤;박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9호
    • /
    • pp.716-722
    • /
    • 2000
  • Background: Modified Blalock-Taussig shunt using 3mm or 3.5mm PTFE graft has been performed in patients with small body weight or in candidates for single ventricle palliation.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concerning clinical outcomes in terms of pulmonary artery growth and shunt patency rate after shunt operations using such a small graft. Material and Method: Twenty-five patients rate after shunt operations using 3 or 3.5 mm sized grafts from September 1996 to August 1999. We retrospectively assessed the pulmonary artery growth and the shunt patency rate by reviewing the pre-and post-operative pulmonary angiograms. The risk factors for late death and second shunt operations were also analyzed. To assess the presence of any correl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selection of the graft siz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in 81 cases of shunt operations performed during the same period. Result: There were 1(4%) early death and 5(20%) late deaths. The survivor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7.34 months. The pulmonary artery index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29$\pm$66$\textrm{mm}^2$/$m^2$ to 213$\pm$114 $\textrm{mm}^2$/$m^2$(p=0.002). The shunt patency rate assessed at postoperative 2, 4, 6 and 8 months were 82.5%, 77%, 73% and 42% respectively with a marked decline between 6 and 8 months. Asplenia was a frequent finding for the patients with late death although the incidence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p=0.078). Pre-operative diagnosis of PA with VSD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a second shunt operation(p=0.01). Body weight(a) at operation and graft size(b) used in the shunt operations revealed strong correlation and could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b=0.128a + 3.233. Conclusion: Adequate growth of pulmonary artery and satisfactory early patency rate could be obtained by modified Blalock-Taussing shunt using 3mm or 3.5mm graft. However, during 6 to 8 months after shunt operations, the patency rate fell sharply, which implicates that close observation and early intervention are mandatory in this period.

  • PDF

경막외강에 Morphine과 동반 투여한 Midazolam의 진통효과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of Epidural Midazolam Administered with Morphine)

  • 양내윤;문동언;심재용;박철주;권오경;김대우;원치환;김선철;채현;김욱성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1권2호
    • /
    • pp.241-246
    • /
    • 1998
  • Background: Opioids and local anesthetics have been administered epidurally for the purpose of the postoperative analgesia. However opioids have a serious risk of respiratory depression and local anesthetics have the risks of hypotension, sensory block, or motor one. In recent years, reports of spinal administration of midazolam for acute postoperative pain control have appear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 of epidural midazolam in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device. Methods: Forty-five patients scheduled for the elective total hysterectomy were randomly selected; epidurally take morphine only (group I, n=15), morphine plus 0.1% bupivacaine (group II, n=15), or morphine plus midazolam (group III, n=15).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t rest and with movement, the sedation score,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the total amounts of a morphine usage, and the incidence of the side effects were observed. Rusults: The VAS at rest of group II and III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that of group I. The VAS with movement of group II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group I and II. The sadation score and the cumulative dose of a morphine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ithin groups. Conclusion: Epidural morphine plus midazolam was proven to be clinically effective in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especially for the pain with movement, compared with epidural morphine only and morphine plus 0.1% bupivacaine.

  • PDF

위암 환자의 담즙 CEA 농도와 장기 생존율 및 간전이와의 연관성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the Gallbladder Bile (b-CEA) of Gastric Carcinoma Patients with Long-term Follow up)

  • 백상현;김현구;강민수;신연명;최경현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1호
    • /
    • pp.1-6
    • /
    • 2004
  • Purpose: Despite numorous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gall bladder bile and liver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no similar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or gastric carcinomas. We, therefore, undertook the present stud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ll bladder bile CEA and liver metastasis as well as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 in gastric carcinoma patients with curative resections. Materials and Methods: In 373 gastric cancer patients (252 males, 121 females, age $21\∼76$ years) operated on at Kos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9 1996, the CEA concentration in the gall bladder bile was determined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value was related to the rates of post-operative survival and liver metastasis during follow-up period. Results: The overall rate of patient survival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e in TNM stage. The 13-year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for stages Ia, Ib, II, IIIa, and IIIb were $95.7\%,\;92.5\%,\;79.9\%,\;50.9\%,\;and\;43.3\$, respectively, and the 10-year survival rate for stage IV was $22.6\%$. The patients with a high ($\geq$10 ng/ml)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survival than those with a low (<10 ng/ml) biliary CEA. The 1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55.4\%$ for the high CEA group and $76.5\%$ for the low CEA group (P<0.01). Also, the patients with a high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11.5\%$) of liver metastasis than those with a low biliary CEA ($1.9\%$) (P<0.000). In patients with TNM stages (I and II), the CEA level did not affect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95.4\%\;and87.7\%$ in the high and low CEA groups, P>0.10), but in those with high TNM stages (III and IV),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 CEA group ($25.9\%$) than in the low CEA group ($57.8\%$) (P<0.05). Conclusion: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gall bladder bile CEA level obtained in an advanced-staged gastric cancer operation may be used in predicting the post-operational survival rate and in sorting out patients with a high risk for cancer recurrence, especially in the liver area.

  • PDF

무심폐기하 관상동맥우회술에서의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부전증의 중요성 (Long-term Influence of Mild to Moderate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홍종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46-253
    • /
    • 2010
  • 배경: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한 후의 장기 예후를 추적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9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000명의 연속된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데이터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97%의 환자에서 추적 조사가 가능하였다. 육십칠명(6.7%)의 환자들이 수술 당시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되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수술사망율, 실제생존율 및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 조사 기간은 $66{\pm}22$개월이었다.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의 연령이 더 높았으며(p<0.001), 더 낮은 심박출량을 보였고(p<0.001) 더 많은 위험 인자들을 갖고 있었다. 여성에게 의미있게 더 많았으며(p=0.002), 수술사망율이나 술전후 심근 경색의 빈도에는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p=0.25). 팔 년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이 더 낮았다($39.6{\pm}11.8%$ vs $76.7{\pm}2.2$, p<0.001). 하지만 동반된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자체가 장기 사망률의 의미있는 위험 인자는 아니었다(p=0.42). 8년 간의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은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환자들에서 의미있게 낮았다($53.12{\pm}12%$ vs $77{\pm}2%$, p<0.001). 위험 인자들을 교정했을 때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은 주요 심장 부작용이 없는 생존율(HR: 2.31), 울혈성 심기능 저하와 재발성 심근 경색에 의미있는 위험 요소이었다. 결론: 무심폐순환 관상동맥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술전 경도 및 중등도의 허혈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 더 많은 술전 위험요소들을 갖고 있었다. 술전후의 사망률이나 유병율은 비슷하였으나, 장기적으로 심장 합병증의 유발율은 더 높았다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 펌프의 유용성 (Role of Intra-aortic Balloon Pump in High Risk Patients undergoing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조석기;장우익;임청;이철;이재익;김용락;함병문;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12호
    • /
    • pp.895-900
    • /
    • 2001
  • 배경 : 심폐바이패스를 하지 않고 심장박동 상태에서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Off-pump Coranary Artery Bypns, OPCAB)은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 문합을 위해서 심첨부를 앞쪽으로 들어 올리는 등 심장의 위치를 변화시켰을 때, 심박출량 감소, 체동맥 혈압 감소, 국소적인 심근 허혈을 심화시켜 심장 기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런 변화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장 뒤쪽에 위치한 혈관문합을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 우회술시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사용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에서 시행한 OPCAB 300례 중 심장 뒤쪽 혈관의 문합이 필요하였던 18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189명 중 수술 전, 중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을 시행 받았던 환자 74례(I군, 64례는 수술 전 삽입, 10례는 수술 중 삽입)와 시행 받지 않았던 환자 115 례(II군) 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 삽입의 적응증으로 심한 좌주 관상동맥 질환( 75% 폐색)이 39례, 지속적인 정맥 내 니트로글리세린과 헤파린의 주입같은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협심증이 40례, 심박출률이 35% 미만인 좌심실 기능부전이 14례, 최근 4주이내에 급성 심근경색이 있었던 심근 경색후 협심증이7례, 불안정형 협심증이 56례 등이 있었다. 결과 :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I 군이 3.5 0.9, II 군이 3.4 0.9 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다. I군에서는 수술 사망은 1명, II 군에서는 2명 있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인공호흡기 사용기간, 입원기간 등에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중환자실 체류기간은 I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길었다. 두 환자군 사이에서 술 후 부정맥, 수술 중, 후 심근경색, 술 후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의 발생에는 차이가 없었다. 술 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사용한 시간은 평균 6.7$\pm$9.5 이었으며 대동맥내 풍선펌프와 연관된 합병증은 1명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 저위험군 환자의 수술 성적과 비교를 통하여 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한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증명하였고 고위험군 환자에서 대동맥내 풍선펌프의 사용은 심장 뒤쪽 혈관 문합을 포함한 OPCAB을 가능케 함을 밝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