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pen Library

검색결과 809건 처리시간 0.021초

개항도시 공공도서관의 지역발전 기여 연구 - 부산·인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ntribution of Public Library of Korea Open-port City to Local Development: Focused on Cases at Busan and Incheon City)

  • 윤희윤;김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51-71
    • /
    • 2019
  • 기억은 과거보다 미래를 위한 정신적 활동이고, 기억을 복원 재생해야 할 책임은 현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서관이 사회와 동행하려면 기억을 복원하고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분석하여 지역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논증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지역발전 기여 사례를 배경정보와 문헌 사례 연구, 현장조사, 담당자 인터뷰를 통하여 개항도시 부산 인천 공공도서관의 지역경제 발전, 지역문화 재생 및 진작, 지역공동체 형성 등을 중심으로 지역발전 기여에 대하여 논증하였다. 그럼에도 경제적, 문화적, 지역공동체 형성의 측면에서 지역발전 기여도는 완전체가 될 수 없다. 도서관 자체의 역사지리 및 건축예술 측면, 지역주민의 인식 및 이용가치 측면을 반영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개방형 학교도서관의 배치유형과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Space Composition of School Libraries that are Open to Public)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7-340
    • /
    • 2012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도서관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역 개방형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로서 기존의 학교도서관으로 이용하던 시설일부를 개방하여 지역주민에게 공공도서관의 소분관으로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접근성 향상 및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제공에 목적을 갖는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활성화를 통해 국민생활의 정보이용 복지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로 교육과학기술부와 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에서는 도서관 접근성 향상 및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공공도서관의 분관에 속하는 소규모도서관과 작은 도서관 확충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역에 거점도서관의 소분관 설치 증가도 의미는 있겠지만 지역주민의 접근이 용이한 학교도서관에 같은 기능을 접목시켜 설치할 경우 도서관 조성시 대지 및 공간확보에 대한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학교도서관 자체의 질적 향상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은 기능과 성격이 공공도서관과는 차이가 있으므로 학교도서관을 지역개방하여 활용할 경우에 대한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을 지역사회에 개방하기 위한 배치와 규모 그리고 공간구성에 지향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조성될 개방형 학교도서관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 역할에 관한 지역 주민과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idents' and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as Local Reading Cultural Center: Focusing on Gyeonggi-Do)

  • 조미아;허정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7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 독서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지역 주민과 학교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의 지역 사회에 개방하고 있는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학교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전화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대다수는 학교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운영된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도서관 담당 사서는 지역문화센터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인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웹 2.0 기반의 도서관 정보서비스 (Library Information Service on the Web 2.0)

  • 양병훈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199-220
    • /
    • 2008
  • 최근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한 정보탐색행위가 다른 사이트들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도서관에서는 웹 2.0 기반으로 도서관 홈페이지를 개선하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는 웹 2.0의 대표적인 웹사이트와 웹 2.0 트랜드를 도입하고 있는 국내외 도서관 홈페이지를 분석하여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를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AJAX, RSS, Open API, MashUp, Wikis, 블로그와 같은 기술들을 도서관 홈페이지 적용하면, 도서관 홈페이지가 이용자 중심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다. 그러나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나 서비스가 새롭게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용자들에게 전달할 정보를 생산하는 일이다. 즉 새로운 정보전달도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도서관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보를 생산하여 이용자들의 정보욕구를 촉진하는 일을 병행하는 일이 보다 더 쉬워졌다. 이것은 나아가 도서관으로 하여금 정보생산자로서 그 역할을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가도서관장의 전문성 확보방안 연구 (A Study on Ensur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National Library Director)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7-106
    • /
    • 2011
  • 국가도서관은 자국에서 출판되거나 생산된 모든 중요한 출판물과 디지털 정보를 수집 보존할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직무를 수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역대 국립중앙도서관장은 도서관 및 정보시스템 분야의 전문지식과 관리경력이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방형 직위제, 책임행정기관화, 정무직화, 특수법인화의 측면에서 국립중앙도서관장의 전문성 강화 내지 확보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을 위한 저작권 귀속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pyright Possession for Open Access and Archiving of Scholarly Journal Paper Registered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 홍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1-463
    • /
    • 2008
  • 학술지는 학술 정보의 핵심매체로서, 개방과 공유를 지향하는 대표적인 비영리성 저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 문제가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분쟁 사례를 검토하였고,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906종을 대상으로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귀속 현황을 총체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Korean Researchers on Open Access

  • Cha, Mikyeong;Pyo, Soon Hee;Kim, Hye Sun;Kim, Wan Jong;Lee, Eun Je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3호
    • /
    • pp.68-8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wareness and perceptions of Korean researchers regarding mandatory open access (OA) and OA publishing of publicly-funded research papers. In July 2019, Korean researchers who had published in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journals as first authors and corresponding autho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istributed via e-mail. A total of 1,172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8.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OA differed significantly based on occupation and research experience (p<0.001). Although 52.56% of the respondents had experienced OA publishing, only 22.35% had self-archiving experienc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ublishing cost support, researchers showed a high level of willingness to publish OA articles. Yet, since the importance of impact factor was evaluated to be very high, at present OA publication might have a limited role as a publication platform.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Space in the Emerging Ubiquitous Environment)

  • 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5-343
    • /
    • 2006
  •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의 도래와 함께 전통적으로 도서관 건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도서관 서비스 공간도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에서 도서관 공간의 의의와 범위 및 특징을 문헌연구와 국내외 사례 연구, 그리고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인터뷰 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이 제공하는 물리적 장소는 이용자에게 여전히 중요한 공간임을 확인하고, 유비쿼터스 공간의 개방성과 상호 작용성을 고려한 정보 공간 운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