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store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5초

웹(web)기반의 국내 의류쇼핑몰 관련 기존 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Previous Domestic Online Fashion Store Studies)

  • 이정우;김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78-790
    • /
    • 2012
  • This research categorizes and analyzes different online fashion store studies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based on study ty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116 studies out of 118 studies on online fashion stores conducted from 2000 to 2012 were based on PC web. Second, the studies on PC web-based fashion stores were reclassified into 9 different categories based on their topics: purchase behavior, word-of-mouth behavior, website, and product information presentation as well as products for sale, return behavior, customer service, system, present condition, marketing strategy, and promotions. However, mobile web-bas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of introduction of the fashion stores and purchase behavior. Third, we reclassified the studies chronologically to observe studies conducted at different times. In the early phase (in addition to studies on purchase behavior) studies on present condition, marketing strategy, and website constituted the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because the field research was just starting to grow; however, studies conducted in the latter phase showed new patterns of study, such as word-of-mouth effect, and return behavior. Future studies conducted on competitive PC web-based fashion stores require a more specific classification of studi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to develop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개인화 추천시스템에서 고객 제품 리뷰가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ustomer Product Review on Social Presence in Personalized Recommender Systems)

  • 최재원;이홍주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3호
    • /
    • pp.115-130
    • /
    • 2011
  • 온라인 스토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요인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대표적인 방식이 고객이 좋아할 만한 제품의 추천과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이다. 각각의 제공을 통해 신뢰의 선행요인이 되는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천 상황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과 추천 상황과 제품군의 유형,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여부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개인화 추천을 통해 사회적 실재감을 증대시킬 수 있었으며, 쾌락재에서는 고객제품리뷰의 제공을 통해 어떤 추천 상황에서든 사회적 실재감이 증대되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카테고리 킬러형 온라인 상점의 특성과 쇼핑태도에 대한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ategory Killer Store Characteristics and Shopping Attitudes)

  • 최재원;김성호;김경규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4호
    • /
    • pp.79-103
    • /
    • 2014
  • This research investigates whether product type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tailer characteristics and shopping attitudes in the context of online category killer store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consumer attitudes for category killer stores, the product types are characterized by the two dimensions of hedonic and utilitarian. A total of 268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consumers who experienced online category killer stores.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information contained in a website, customer review, relational benefits, and the expertise of the e-tailer a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shopping attitudes of consumers.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duct types, hedonic value significantly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shopping attitudes and relational benefits/e-tailer expertise. However, utilitarian value does no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hopping attitudes and any of the e-tailer characteristics.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he findings of moderating effects of hedonic valu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tailer characteristics and shopping attitudes. In addition, this study practically implies how companies can utilize these characteristics strategically for marketing and the selection of products.

구매후기 정보의 충족/미충족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인식 및 구매후기 정보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Based on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Availability/Non-availability of Information)

  • 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099-1111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about apparel products based on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the availability/non-availability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for online stores. Data were collected from 318 females aged 20s' to 30s', who had significant experience in reading consumer reviews posted on online stores. Consu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ith availability or non-availability of review information on online stores is different for information in regards to apparel product attributes, product benefits, and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quality elements suggested by the Kano model, two type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were determined: Must-have information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about size, fabric, color and design of the apparel product; benefit information about washing & care and comport of the apparel product; stor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responsiveness, disclosure, delivery and after service of the store) and attracting information (attribute information about price comparison; benefit information about coordination with other items, fashionability, price discounts, value for price, reaction from others, emotion experienced during transaction, symbolic features for status, health functionality, and eco-friendly feature; store attribute information about return/refund, damage compensation and reputation/credibility of online store and interactive and dynamic nature of reviews among custom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and low involvement groups in their perceptions of consumer review information.

온라인 패션 유통업체의 오프라인 채널 확장에 대한 소비자 평가와 채널 통합 수준 (Understanding Offline Channel Expansion for Online Fashion Retailers and Channel Integration)

  • 박신영;이유리;최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09-923
    • /
    • 2018
  • Online retailers' offline channel expansion is rapidly growing as an important consumer incentive strategy, despite the enormous initial costs of establishing a st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offline channel operation of online shopping malls, and examines the effect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channel expansion strategy from a consumer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custo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visited online retailers' stores or purchased products. Major issu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framework of a channel effect mechanism proposed by Cao and Li (2015). Subsequently, it was found that existing online retailers could enhance brand image and perception by expanding their channels to offline stores.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consumer trust on the quality of the product in offline stores is a key variable, and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continuous purchase and revisit intention. This study showed that borderless channel integration was the most important task when expanding channels of online retailers. So it will be necessary to strive for an omni-channel strategy so that channel integration can be strategically executed and consumers can interact regardless of channels.

Applying Consumer Value Theory to Determine Consumer Behavior in Terms of Online and Offline Shopping During COVID-19 Pandemic

  • Woohyoung KIM;Hosung CH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22권5호
    • /
    • pp.67-79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pping medium determinants and consumer behavior differences based on the value of consumption. Methodology: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living in Korea, and 283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A Logit model was used to identify consumption value factors and shopping medium choices. A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behavior based on preferred shopping medium (on/offline). Results: The inclusion of community-oriented factors such as eco-friendliness and social contributions lead to higher likelihood of choosing offline shopping. In addition, consumers who value self-expression and who are price sensitive are more likely to choose online stores.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community-oriented factors lead shoppers to choose offline shopping, and the need for self-expression lead shoppers to choose online stores.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한 색채계획 기초연구 (Basic Research on Color Planning for Enhancing Brand Image)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63-75
    • /
    • 2006
  •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 PDF

온라인 의류 소비자들의 쇼핑동기, 정보원 사용과 의사결정 유형 (Purchase Motives,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of Online Clothing Shoppers)

  • 이정은;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880-892
    • /
    • 2009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동기, 정보원의 사용, 의사결정 유형의 관계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실증적 연구결과 소비자의 쇼핑동기는 편의적 동기, 제품특성적 동기, 쾌락적 동기, 경제적 동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정보원은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은 중립적 정보원, 인적 정보원, 마케터 주도적 정보원으로 구분된 반면,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오프라인 정보원으로 구분되었다. 이처럼 쇼핑몰에 관한 정보원과 상품에 관한 정보원은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원의 사용, 쇼핑동기, 의사결정 유형 각각의 관계도 알아 보았다. 결론을 바탕으로 온라인상의 의류 판매자가 소비자들을 그들의 쇼핑몰로 이끌고, 구매를 유도하도록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였다.

점포충성도 결정요인에 대한 온라인-오프라인 비교: 점포이미지 변수들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s and Store Loyalty: A Comparison of Online and Offline)

  • 전종근;이태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9권3호
    • /
    • pp.1-20
    • /
    • 2004
  • 본 연구는 점포이미지 속성들과 점포충성도의 관계가 온라인점포와 오프라인점포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각각 4개씩 총 여덟 개의 점포에 대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 결과 오프라인 점포에서는 점포이미지 속성가운데 구색이 점포충성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데 비해, 온라인 점포에서는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점포충성도 제고를 위해 온라인점포와 오프라인점포가 각각 주력해야할 부분이 어디인지 보다 분명히 드러났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