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lecture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초

University Students' Perceptual Lecture Evaluation of Online Lectures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 Nam, Sangzo;Cho, Soo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1호
    • /
    • pp.85-97
    • /
    • 2022
  • Students' perceptions of generosity and fairness in lecture evaluation and grades,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and self-fidelity and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urveying students at M university in Daejeon. These data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parameters that might impact online class lecture evaluations, namely gender and school year. Descriptive analysis shows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ctures are significantly high. As for differences by gender and school year, the t-test results indicate female students generally have better perceptions of online classes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garding the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Also, ANOVA test results show that as the school year increases, the general perceptions for online classes become negative.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y school year regarding the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perceptual generosity of grades"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ceptual generosity of lecture evaluation."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딴짓과 강의만족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ther Behaviors and Lecture Satisfaction on Lecture Flow in Online Classes of Nursing Students')

  • 마현희;김화영;이은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71-480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 19 감염병으로 인하여 실시하게 된 비실시간 동영상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서 딴짓과 강의만족도가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D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20일∼6월 4일까지 설문지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화상수업보다 비실시간 동영상수업에서 딴짓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2.00, p=.046), 강의만족도(t=-1.54, p=.124)와 수업몰입은 실시간 화상수업(t=-.63, p=.529)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두 가지 형태의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2학년 학생의 강의 만족도(t=13.55, p=.000)와 수업몰입(t=4.48, p=.004)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4학년 학생에서 딴짓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t=4.68, p=.003). 강의몰입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강의만족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실시간 동영상 수업에서(F=128.49, p<.01) 모형의 설명력은 55.1%,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F=77.24, p<.01) 모형의 설명력은 47.2%였다. 향후 동일한 교수자의 두 가지 형태의 온라인 수업과 학습자중심학습 적용 후 나타나는 딴짓, 강의만족도, 수업몰입의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사이버대학교의 강좌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tents design of online lectures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classes of Cyber University)

  • 배윤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07-314
    • /
    • 2010
  • 국내에서의 사이버교육에 대한 수요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이버대학교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술적 정보 유형에 따른 온라인 강의 콘텐츠의 유형을 파악하고 한국사이버대학교 재학생 1,1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가장 선호하는 강의 유형과 가장 교육효과가 높은 강의유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강의 유형에 대한 수강경험이 강의 유형의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으며 강의 콘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요구사항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강의 유형은 e-Stream+flash의 유형이었으며 멀티미디어형 강의가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경험해 본 유형의 강의 콘텐츠를 선호하였으며 인터페이스 디자인 측면에서는 왼쪽의 고정메뉴를 선호하였다. 온라인 강의에서 강의 콘텐츠의 충실성 뿐 아니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강의 콘텐츠 디자인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에서 사이버 교육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온라인 동영상 수업 사례 : 전문대학 '전기자기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Online Video Lecture : Focusing on 'Electromagnetism' Course at Junior College)

  • 김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94-103
    • /
    • 2022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ases of online video classes conducted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or 46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a 3-year college in Gyeongna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urse development process so that classes could be conducted efficiently, focusing on electromagnetism(1)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year. The online class consisted of uploading PPT recorded videos and lecture materials to the LMS and giving assignments.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in the scope of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through online learning contents, assignment submission, mutual feedback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university-level lecture evaluation, and free opinions on online video-based electromagnetism(1)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ine lecture review and problem-solving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lecture materials, and also given the nature of engineering subjects that require plenty of mathematical expressions, the detailed and immediate feedback provided by instructor enhances learners' class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the direction of online classes to be develop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discussed.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온라인 체육교육 개선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 정현;안찬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7-227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급변화 하는 대학 체육 관련 강의환경에 대하여 교수자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기존 학습자 중심 온라인 학습환경 조성에서 벗어나 교수자-학습자 모두를 위한 종합적이고 실제적인 온라인 강의환경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 체육 관련 교수자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20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의 약4개월 동안 심층면담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따른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체육 관련 교수자의 문제사례, 대응행위, 개선안 등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발생 이후, 교수자들이 접한 문제사례는 온/오프라인 강의문제로 구분되며 이는 인터넷 및 매체 (미)소지, 온라인 강의장소 부적, 교수자-학습자 간 소통장애, 출석확인 및 평가, 코로나-19감염우려, 대면 강의 장소 제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오프라인 강의 문제에 따른 교수자의 대응행위는 소통매체 다양화, 재택강의, 온라인 학습동영상 제공, 실기수업 대체 및 보강이었으며 이는 교수자의 노력에 제한된 형태로 정부 및 학교의 지원체계는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체육 관련 강의문제와 교수자 대응행위를 중심으로 제시한 개선안은 정부 차원의 가이드라인 제공과 대학의 온/오플인 강의 장소 확대, 교수자 편의성을 높인 온라인 강의 프로그램 고안, 온/오프라인 강의 참여 인원 조정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에 온라인 강의의 시스템 특성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ICT 활용능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ystem Characteristics of Online Lectures on Lecture Satisfaction in the COVID-19 Crisi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CT Utilization Ability)

  • 莫雅婷;徐雨佳;이윤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43-5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가 지속됨에 따라 온라인 강의 시스템, 이용 동기, ICT 활용능력, 강의만족도 간의 관계성을 찾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우송대학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330부를 확보하였으며, SPSS 25.0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시스템의 편의성·용이성·보안성과 이용 동기가 강의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조절효과의 변수인 ICT 활용능력은 시스템 특성(용이성 및 보안성)과 강의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의 온라인 강의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새로운 온라인 시스템 개발은 물론 ICT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향후 다양한 표본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가상강의에 적용을 위한 얼굴영상정보를 이용한 개인 인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ividual Authentication Using Facial Information For Online Lecture)

  • 김동현;권중장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17-120
    • /
    • 2000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uthentication system for online lecture using facial information and a face recognition algorithm base on relation of face. First, a facial area on complex background is detected using color information. Second, features are extracted with edge profile. Third, compare it with the value of original facial image in database. By experiments, we know that the proposed system is an useful method for online lecture authentication system.

  • PDF

온라인 수업의 질, 셀프리더십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Online lecture quality, Self-Leadership 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고영심;한상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27-336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의 질, 셀프리더십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대학생 115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셀프리더십(β=.431, p=<.001)과 온라인 수업의 질 하위요인인 수업환경(β=.314, p=.004)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변수들은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총 37.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을 받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을 위해 셀프리더십 함양과 온라인 수업 환경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 영어읽기 수업의 학습행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Learning Behavior in Online English Reading Class of an On-off Course)

  • 최미양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9호
    • /
    • pp.142-151
    • /
    • 2023
  • 본 연구는 온·오프 강의에서 온라인으로 영어읽기 학습활동을 하는 학생들의 학습행태를 파악하는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기말에 실시한 설문조사와 학생들과의 전화 인터뷰를 토대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영어 듣기와 읽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77명이며 이중 5명과 전화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의 규칙성과 학습 순서는 개선할 필요성이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교수자의 학생관리 방안이 제시되었다. 교수강의 시청의 경우 학생들은 일시정지와 반복시청과 같은 녹화강의의 장점을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모든 학생들이 온라인 교수강의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녹화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대면 수업에서 실시하는 교수강의 복습퀴즈는 학생들이 교수강의를 더 적극적으로 시청하도록 자극을 주기 위한 것인데 연구결과 온라인 학습기간 설정과 퀴즈 문제 개수와 같은 요소들을 수정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온라인 프로젝트기반 학습모형 적용과 효과: 공학회계 사례 (Effects of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Application: A Case of Engineering Accounting Course)

  • 김문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21
    • /
    • 2022
  • In many existing studies, the analyses on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model (PBL), a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have been emphasized and carried out in various majors and courses. This cas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applying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to the engineering accounting course for engineering students in 2021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compared with the offline course in 2019 and the simple online course in 2020. Project team consisting of 2-3 students carried out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for solving open-ended problems through the 5-step PBL procedure including presenting the final result. Except for this online PBL application in 2021, textbooks, lecture contents, assignments, and tests were implemented the same for each semester for three years. Through lecture evaluation and survey by students, the online PBL application semester showed higher effects in inducing student-centered learning, lecture satisfaction, and student competency improvement compared to the non-applying semesters, further, it was evaluated that the online PBL application to the course and evaluation method were more appropriate than other semesters. It is expected that the online PBL method and operation procedure appli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est practic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online courses for student-centere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and educational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