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Learner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온라인대학 노인학습자들의 삶의 경험 (Lived Experience of Older Learners in an Online University)

  • 이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433-45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정규학위 과정의 온라인대학에 다니는 노인학습자들의 삶의 경험을 묘사하고 이해하는 것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노인학습자들이 대학에서의 학업에 대해 해석하고 의미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자료는 사이버대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10명의 노인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되었다. 사이버대학에서의 노인학습자들의 학업경험에 대한 분석 결과 과거의 자아, 관행 깨뜨리기, 새롭게 도전하기, 자기실현을 얻기, 새로운 정체성으로 통합됨, 미래지향적 자아라는 6개의 중심주제가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참여자들은 온라인대학에서의 학업의 경험을 통해 과거지향적인 자아감에서 더욱 긍정적이고 미래지형적인 자아감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f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 HONG, Zhao;IM, Yeonwook;LI, Che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1호
    • /
    • pp.59-85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port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SRL) abiliti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stance learners by using a structured SRL scale. A standardized 54-item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SRAS) was used. The reliability was tested both in China and Korea which showed the scale had good reliability. The comparative study were conducted by administering the SRAS on 1999 Chinese distance learners from the Open Distance Education Center of Beijing Normal University and 1941 Korean distance learners from H Cyber University. Data on four dimensions of SRL - planning, control, regulating, and evaluation -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OVA' with regards to the learn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prior education level, semesters, location and majo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participant had an above medium level of SRL ability in all of the four dimen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etween Chinese and Korean distance learners. Chinese distance learners scored higher in SRAS than Korean distance learners. The effects of learner characteristics on the SRL ability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two countries. As for gender, male learners scored better in SRL than female learners in China, whereas it was just the opposite in Korea. No age differences were found in China, but Korean data exhibited a consistent age effect in all dimensions. In Korea, the age group older than 46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the group between 35 to 45 years old, the group between 26 to 35 years old and the group younger than 25. As for location, Korean distance students from metropolitan were better than those from other regions, whereas it was on the contrary in China, albeit the location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ior education level had a clear and consistent effect on the SRL ability in both countries: the distance learners from junior colleges had better planning, regulating and evaluating abilities than those who came from senior high schools. These results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contexts of distance/online education as well as in relation to different culture between China and Korea. The results will also have implications for designing distance and online learning generally.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몰입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Effect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commitmen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Later Learner's Students)

  • 하혜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033-1042
    • /
    • 2023
  • 본 연구는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몰입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J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25세 이상 64세 이하에 입학한 간호학과 재학생 162명이며, 자가설문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진학의 동기 순이며, 변인들은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29.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진로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수준의 향상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신세대 학습자 특성 분석 :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용 특성 (Analysis of New Generation Learner Characteristics : College Students Use of Cyber Communication)

  • 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25-36
    • /
    • 2005
  • 2004년도 11월에 전국의 850명의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의 이용 특성을 분석하여 이러닝 환경 구축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학생들은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방법 중 휴대폰 문자보내기, 인터넷 메신저 사용하기, 블로그나 미니홈피 사용하기, 이메일 보내기의 순으로 사용을 선호하였다. 57.5%의 대학생이 이메일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특히 남학생(61.9%)과 어린 학생일수록(69.4%) 그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블로그를 소유한 사람의 비율은 74%인데, 연령이 어릴수록 많았다. 이메일의 사용은 줄고, 이동성, 동시성 접속성과 사용의 용이성이 있는 저렴한 가격의 매체의 사용이 늘고 있다. 이러닝을 위한 제언은 1) 이메일의 대체 매체를 적극 활용, 2) 접속성의 제공, 3) 동시성/즉각성의 제공, 4) 휴대폰, 블로그, 미니홈피와 같은 매체를 적극적으로 교육에 활용, 5) 텍스트정보의 멀티미디어화이다.

  • PDF

SERVQUAL을 이용한 이러닝 학습자의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Measuring learner satisfaction in e-learning using SERVQUAL)

  • 구희진;박영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0
    • /
    • 2010
  • Diffusion of e-learning has been accelerated according as th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have been increased rapidly due to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re has been few studies on systematic evaluation of its performance. SERVQUAL model was applied to evaluate the service quality of a 100% on-line lecture opened in a major Korean university. Two classes, one for 71 undergraduate students, the other for 79 graduate students, were opened for the lecture. The gaps between the expected service and the perceived service scores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sex, age, and e-learning experience. Although the gap scor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the gap scores among the other comparative groups were different. The perceived score of the older group with more than thirty age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er group. It seems that the older group evaluated the score based on the practical use of the subject since they are part-time students with jobs. Also, the perceived score of the group with previous e-learning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no e-learning experience. It seems that the experienced group evaluated it compared with the previous e-learning satisfaction. As it might be expected, the groups with higher perceived scores had stronger intention to recommend the e-learning lecture to other students.

창업기업 QFD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학습 전이의도에 관한 연구 (Impact Factors of KS-QFD Training Participants of 3 years over Startups on Transfer Intension)

  • 황보윤;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6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훈련 성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창업기업은 3년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QFD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창업기업들의 훈련 참가자들이 학습 전이 의도 즉 학습후 적용하고자하는 동기 부여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의도는 3년 이상 창업 기업들이 본 훈련 과정을 통해 현재의 매출액을 5배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들에게 실질적으로 사업성과에 도움이 되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 및 보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독립변수로는 학습자 준비상태, 훈련내용 타당성인지로 하였고, 매개변수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종속변수로는 학습 전이의도를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학습자 준비상태는 학습 전이 의도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완전한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내용 타당성 인지는 학습 전이 의도에 직접효과와 함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부분 매개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현실에 접목하기 쉽게 실천중심으로 설계된 훈련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준비 상태에 관계없이 학습자에게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이를 통해 학습 전이 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실험 대상 프로그램이 KS-QFD 프로그램이 창업기업들에게 매우 실용적이고도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임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Streaming Video with Web Based Text in Online Course: Comparative Study on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 HEO, JeongChul;HAN, Su-Mi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1호
    • /
    • pp.1-26
    • /
    • 2013
  •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 (text-based, video-based, and video-based instruction without text) and age category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students' comprehension and motivation. Onlin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groups, and they attended two-week online lectures via Course Management System. The comprehension test and the short form of IMMS were implemented when 114 participants accomplished two-week online lect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using instructional video in online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structional medium than text only in order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Besides, older adults aged 41-60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younger adults (21-40 years old) in terms of students' comprehension. Furthermore, three types of online instructions a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ge category.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 (Literacy learner's satisfaction revel and effects on Learning consistence)

  • 양복이;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73-180
    • /
    • 2018
  • 본 연구는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울산광역시의 문해교육 학습자 2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를 하위변인으로 살펴보면 학습환경에서 가장 높았고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서는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내용과 학습결과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이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성별은 차이가 없었으나, 70세 이상의 연령에서 학습지속의 높은 의사표시를 나타냈다. 셋째, 문해교육 학습자의 학습만족도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학습내용, 교육강사, 학습결과, 학습환경 순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을 종합한 결과, 문해교육 학습자는 나이가 많고 학습참여가 길수록 학습만족도가 높았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경우 학습지속이 높았으며, 문해교육 학습자가 학습지속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 내용임이 분석되었다.

자율학습자 모형에 기반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 학생들의 인식 연구 (A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garding a Program for Gifted, Based on Autonomous Learner Model)

  • 최승언;김은숙;전미란;유희원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575-59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위치한 G 영재원의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하여 제공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Betts와 Kercher(1999)에 의해 제안된 자율학습자 모형을 기반으로 설계된 통합적인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독특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영재원의 교육목표들이 내재된 항목들에서 긍정적 영향이 있었는지 묻는 설문을 제작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거의 모든 학생들이 긍정적 영향에 강한 동의를 나타냈다. 학생들은 유용하고 흥미로운 과학 내용물을 배웠고, 소그룹 내에서 동료들과 함께 협력하는 의미 있는 경험을 즐겼으며, 탐구과제에 의해 많은 도전을 받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또한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익히게 되었고, 또한 자신들의 선택과 결정이 존중되었다는 사실이 동료와의 의견 조율이나 능동적인 탐색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이는 자율학습자 모형이 성공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학생들이 자율학습자로써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학생보다 참여한 기간이 길었던 학생들이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이것은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그램의 일관성으로 인한 축적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세부 프로그램들, 특히 ALM 수업, 분과 수업, 학술대회가 과학적 탐구의 과정과 자율학습자 특성에 기여하는 비중이 비슷하여, 과학적 탐구과정과 자율학습자 교육을 위한 전략이 프로그램 전체에 내재하고 있으며 서로 유기적으로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재들을 위한 특정 교육 모델에 기초한 프로그램의 일관성이 영재학생들을 위한 더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한국노년학 30년을 통해 본 노년교육 관련 연구 (Critical Review on Educational Gerontology i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한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831-84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30년 동안 <한국노년학>에 게재되었던 노년교육 관련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왜 아직까지 노년교육학이 우리 사회에서 그리고 노년학 안에서 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노년교육학이 독립적인 학문분야로서 성장하고 발전하기 위해서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에 대하여 전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년학" 1권(1980년)부터 28권 3호(2008년 8월)까지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 55편을 대상으로 게재시기, 연구비 지원기관, 저자들의 소속기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 연구 주제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30년간 "한국노년학"에 게재된 논문 770편 중 노년교육 관련 논문은 단 55편뿐이었다. 그 중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가 단독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지 않고,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두 가지 이상의 통계방법을 적용하여 노인을 위한 교육을 주제로 행한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따라서 향후 노년교육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노년교육 전문학자 양성을 위한 전공 및 교과목 설치, 노년교육에 대한 연구지원 확대, 다양한 연구방법과 다주제, 대상을 지향하는 연구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노력들 이전에 우리 사회 전반에서 노인들의 학습자로서의 역량 및 노년교육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