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service pip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Polly-pigs를 이용한 노후급수관의 세관에 관한 연구 (Old Service Pipe Cleaning of Polly-pigs Cleaning technique)

  • 이현동;배철호;박정훈;김길남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3-31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배관설비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Polly-Pigs를 이용한 건물내 급수관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공법을 개발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15mm 노후관의 세관실험결과, KDP series에 의해서 직관부 또는 곡관부의 통수능은 3.5~15.4%까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안분석결과 대부분 제거가 이루어진 부분은 적색 스케일($Fe_2O_3{\cdot}3H_2O$)이었으며, 흑색 스케일($Fe_2O_4{\cdot}nH_2O$)의 제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DP series의 겉표면에서 Fine sand를 coating한 KDPS series에 의해서는 sand의 효과로 노후관의 통수능이 13.0~17.9%까지 증가되어 통수능이 95.9~99.5%까지 높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흑색 스케일도 크게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eaning v/v의 나선형 가이드 베인(Helical guide vane)과 Pigs의 회전날개(Rotating wing)의 영향으로 주행시 Pigs의 회전력은 크게 향상되어 16배이상 회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100mm 급수관의 세관에서는 통수능이 90%인 노후관이 세관 후 통수능이 완전히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5mm 급수관에 비하여 매우 낮은 압력하에서도 세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관경이 클수록 세관에 필요한 세관압력은 크게 감소되며, 세관효과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연성 파이프 시공에 의한 전통가옥지붕에 매설된 자동소화장치 (Automatic Fire Extinguisher Having Flammable Pipes Inserted in a Cultural Assets Roof)

  • 조태준;김재준
    • 복합신소재구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6-31
    • /
    • 2014
  • 숭례문과 같은 목조 구조물에서는, 소화(消火)가 지붕내부에서 발생하는 경우, 기존 소화장비로 소화가 불가능하여 지붕구조를 해체하기 전에는 소화가 거의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사진 직선 파이프배치에 의한 지붕에 매설된 자동소화장치는 고 건축물(古建築物)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기 위한 것이다. 본 자동 소화장치는 화재 검출기의 검출 신호에 의해서 다수의 직선 파이프로 소화배체를 공급하여 화재 발생시 소화작동을 하는 소화 시스템을 구비하는데, 건축물의 지하 또는 별도의 장소에 각종 소화 기기들이 위치되고 배관을 통하여 상기 직선 파이프에 소화수 또는 소화 가스를 제공한다. 건축물의 지붕 내부에 구비된 적심상에 다수의 직선 파이프들이 배치되고, 적심 구멍에 스프링클러가 배치되며, 건축물의 실내에는 화재 감시 카메라 또는 열감지 센서와 같은 화재 검출기들이 배치 된다. 소화 수에 의한 화재 진압에 선행하여 상기 메인 파이프와 직선 파이프에는 하론 가스와 같은 소화 기체가 충전되도록 하고, 화재 발생시 이와 같은 하론 가스가 먼저 스프링 클러를 통하여 분사되도록 한 다음, 하론 가스의 소모완료시 자동으로 가압수 장치로 전환되도록 밸브계통을 자동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파이프들은 지붕을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구역에 맞추어 구역 별로 소화 수가 공급되도록 하여 메인 파이프를 설치하고, 이에 직선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진압시 다량의 소화 수를 일시에 공급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귀중한 문화재산의 신속한 자동 소화가 가능해진다.

  • PDF

입계부식법에 의한 사용중인 화력발전소 요소의 잔여수명평가 (Assessment of Residual Life for In-Service Fossil Power Plant Components Using Grain Boundary Etching Method)

  • 한상인;윤기봉;정세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1권1호
    • /
    • pp.22-31
    • /
    • 1997
  • The grain boundary etching method as a method for assessing degradation of structural material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it is simple, inexpensive and easy to apply to real components.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is verified by successfully applying the technique to in-service components of aged fossil power plants such as main steam pipes, boiler headers an turbine rotors. A new degradation parameter, intersecting number ratio (N$_{1}$/N$_{0}$), is employed. The intersecting number ratio (N$_{1}$/N$_{0}$) is defined as the ratio of intersection number (N$_{1}$) obtained from 5-minute picric acid etched surface to the number (N$_{0}$) obtained from nital etched surface. Two kinds of test materials, 2.25Cr-1Mo steel and 1Cr-1Mo-0.25V steel, were artificially thermal-aged at 630.deg. C in different levels of degradation., (N$_{1}$/N$_{0}$) were measured.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measured values and LMP values calculated from aging temperature and aging time were sought. To check the validity of the correlations obtained in laboratory, similar data were measured from service components in four old Korean fossil power plants. These on-site measurement data were in good correlation with those obtained in the laboratory.ora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