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 age computer educa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8초

노년여성의 브래지어 착용실태 조사연구 -일반환경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he Actual Condition of Brassiere for Elderly Women -Focusing on General Environment-)

  • 박은미;김영숙;손희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2호
    • /
    • pp.277-30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wearing method and production of brassiere, which is suitable for physiological hygiene and efficient action for elderly women. The subject is 418 elderly women aged 50∼69 years old. Data is processed by a computer(SAS) and is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x²-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Elderly women'weight and breast size are higher thant their younger counterparts'in their 20's, but the older and poorer women with more children have smaller weight and breast. Most of the elderly women feel that their breasts are drooped or falling apart. I fact, those elderly women who gave birth to more children have more drooped and wider breasts. The major type of elderly women'breast is the 'drooped breast' featured more by those elderly women who have more children. 2. Most of the elderly women began to wear the brassiere for the first time in their 20's the older women with more children began to wear the brassiere earlier, while those less educated and poorer began to protect their breasts with brassiere later. Many elderly women wear the brassiere to be protected from dirt, noise or look more neat, but day tend to wear the brassiere not all day around but at certain times, older, less educated and proper women with more children tend to use the brassiere for etiquette and less often. This group of elderly women feel tedious, stage or uncomfortable for the brassiere. 3. Most of the elderly women know about their brassiere size. Such variables as age, education and income a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interest in and consciousness of the brassiere size. All in all,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elderly women's brassiere size is very wide, while most of them use 90A, 85A and 95A sizes. On the other hand, the most popular size of the under bust circumference is 85∼90cm, while their primary cup size is A.

  • PDF

동력경운기 이용실태 조사분석(I) -농작업사고에 관하여- (A Survey on the Accidents of the Power Tillers in Korea)

  • 홍종호;이채식;박호석;박판규;김경수;한성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5권2호
    • /
    • pp.58-66
    • /
    • 1980
  • A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wer tiller accidents. Eight provinces were covered for this study, and 278 power tiller owners were selected randomly by computer random generato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 Frequency of accident. (1) Each power tiller had an accident 0.98 times a year and once every 361 hours of use. Higher frequency of accident was found during the miscellaneous operations including the preparation for farming operation, and there was one accident for every 92 hours of use. (2) The power tiller, which are more than six years old, met an accident 1.19 times a year , or one every 311 hours of use. This value was the highest one compared with any other group. (3) Kerosene engine power tillers met an accident 0.97 times a year, or one every 389 hours of use. It was one tie a year, or once every 329 hours of use for diesel engine power tillers. (4) Among diesel-engine power tillers, 10 horse-power group showed a higher frequency tillers. B. Cause of accident (1) The accidents of power tiller were mainly of sefety , which occurred due to the lack of attention during the operation and 47.4% of the total accidents. The next was of accidental, which represented 26.3% of the total accidents. (2) High percentage of safety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for farming operation including adjustment. Most of the accidental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transportation. (3) Lower frequency of accident was found in the power tiller group which were operated by the 21-40 years old operator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power tiller which was operated by other age group. Power tillers which were operated by high school graduates experienced less accidents compared to other education levels. C. Damage by accident (1) Eighty seven pescents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damage to the power tiller operator , and 13 %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property damage only. (2) With regard to the damage to the power tiller operator, 73.8% of the total accidents caused light injury but 26.3% caused heavy injury. (3) Accidents which occurred during machine preparation , and farming operations caused minor injury to the operator, but the accidents during transportation caused heavy injury which cost more than 15 days for recovery. (4) Among the 39 accidents , which caused property damage 18 accidents were from the transportation . Among the total property damage accidents 53.8% were light one which cost only less than 1,000 won. (5) The property damage from each accident cost 1,017 won, on the average, with regard to the kinds of operation, the highest property damage occurred during transportation work, with the value of 2, 965won.

  • PDF

장·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for Influential fa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lder and older Group)

  • 배성만;고영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111-121
    • /
    • 2017
  • 스마트폰의 사용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장, 노년층에서도 일상의 한 부분이 되고 있는 것에 비해 이들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과의존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의 장 노년층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스마트폰 사용 양, 스마트폰 사용 유형과 심리 정서적 변인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년 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50대와 60대에 해당하는 56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스마트폰 주중사용횟수, 주말 사용횟수, 주중사용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정보추구와 게임을 위한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높았다. 반면, 오락추구와 커뮤니케이션 유형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외로움과 불안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증가한 반면, 사회적 자본이 클수록 스마트폰 과의존이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지식을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장, 노년층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증도 필요해 보인다.

스마트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Field Survey on Smart Greenhouse)

  • 이종구;정영균;윤성욱;최만권;김현태;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6-17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우선, 농작물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에 앞서 현재 국내에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 온실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7가지의 유형별 스마트 온실 농가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전하는 유형별 스마트 팜 선도 사례의 주목적을 보면, 지능형이나 첨단형 정도가 스마트 팜에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4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1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70.0%정도를 차지하였고, 재배경력은 10년 이하가 가장 많았다. 온실의 형태로는 1-2W형이 전체의 50.0%정도이고, 연동형이 전체의 80.0%정도로서 24개 농가였다. 재배작물의 경우, 화훼류는 3개 농가뿐이고, 나머지 농가는 채소류 중에서도 과채류만 재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채류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토마토와 파프리카가 전체 중에 약 63.6%를 차지하였다. 제어시스템은 약 77.4%정도인 24개 농가가 국산제품을 사용하고 있었다. 제어시스템의 제어방식의 경우, 3개 농가는 제어패널만을 사용하여 온습도 등을 조절하였고 나머지 농가는 패널과 컴퓨터에 의한 디지털 제어방식이었다. 디지털 제어의 경우, 휴대폰을 통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원격조절도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고, 대부분 농가에 CCTV도 설치되어 있었다. 계측 및 조절 대상 환경인자는 온도를 포함하여 9개 정도이며, 온도는 전체 조사대상 농가가 계측하고 있었지만, 환기 및 공기유동 팬이나 탄산가스 농도 등의 경우는 다른 인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난방시스템의 경우, 대상 농가 중에 46.7%가 전기보일러를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온수보일러, 히트펌프 및 등유보일러 등으로 나타났다. 제어시스템에 투자한 규모의 경우, 1,000만 원에서 1억원까지로 투자규모가 농가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모바일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앱 카테고리 간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Mobile Application Use: A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Application Categories)

  • 박상규;이동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4호
    • /
    • pp.157-176
    • /
    • 2016
  • 스마트폰,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더불어 앱의 보급도 크게 늘어나면서 우리 일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게임, 생활, 엔터테인먼트, 정보,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종류의 수많은 앱이 생겨나고 있으나, 그들 중 대부분이 사용자의 구매 선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으며, 구매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많은 수는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고 외면당하고 있다. 사용자가 앱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는 연구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앱을 선별적으로 추천하는 데에 활용됨으로써 마케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앱 개발자나 배포자 및 사용자 모두에게 기여하는 실무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앱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앱 유형별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앱을 구매하고 사용한 경험, 구매 시 참고한 앱에 대한 객관적 평가인 별점,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상품의 소개 화면에 노출되는 배지(Badg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용자의 앱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설문에 대한 응답 결과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사용기록이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갖는 반면, 본 연구는 특정한 기간 동안 사용자의 실제 사용기록 전체를 측정하고 수집하여,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앱을 설치해놓고 이들 중 자신의 필요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카테고리 별로 다를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다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로 앱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앱 카테고리 별로 달라지는 것과 앱 카테고리 선택 간의 상관관계를 제시하였으며, 사용자의 앱사용 목적에 따라 쾌락성(Hedonic)과 실용성(Utilitarian)으로 구분지어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