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s

검색결과 2,290건 처리시간 0.025초

In vitro cytotoxic evaluation of some essential oils

  • P., Vijayan;Godavarthi, Ashok;Chandrashekhar, Raghu;Badami, Shrishilappa;SA, Dhanaraj;B., Suresh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4호
    • /
    • pp.187-190
    • /
    • 2003
  • Seven essential oils were tested for in vitro cytotoxicity against the cancerous cell lines A-549, HEp-2 and DLA and normal BRL-3A, NRK-49F and Vero cell lines using standard MTT, SRB and dye exclusion techniques. The A-549 cell line was found to be the most susceptible to all the essential oils. The essential oils of A. nilagirica, A. calamus and O. sanctum were found to be the more active against these cells with mean $CTC_{50}$ values of 17.75, 19.00 and $24.37\;{\mu}g/ml$, respectively. The essential oil of Acorus calamus was found to be the most potent with low $CTC_{50}$ values against the cancerous and comparatively higher $CTC_{50}$ values against the normal cell lines. Artemisia pellens and Pelargonium graveolens oils also showed potent activity. These oils merit further investigation to identify the active principles and nature of the anti tumor activity in animal models.

오염 토양중의 유류 분석법 (A Study of Analytical Methods for Oils in Contaminated Soil)

  • 표희수;박송자;박성수;홍지은;이강진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12
    • /
    • 1998
  • 오염토양중의 유류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유류의 분류가 필요하며, 시료의 특성과 그에따른 적합한 추출방법과 기기분석법의 선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류를 가솔린, 등유 및 경유로 분류하였고, 이들의 추출방법들을 고찰하였으며, 가스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C/MS)에 의한 분석법과 이들의 정량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제 분석예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몇몇 정유사의 가솔린과 경유를 정량분석하여 가솔린 중의 BTEX 및 경유중의 가지없는 포화탄화수소들의 함량을 계산하였고, 각각의 유류를 대표할 수 있는 정량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서로 다른 모양의 가지사슬을 갖는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마모특성(I) (Wear Characteristics of Polyolester Base Oils Baying different Branch Shapes(I))

  • 한두희;마사부미마스꼬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7권2호
    • /
    • pp.109-115
    • /
    • 2001
  • The lubricating performance of 23 kinds of polyol ester base oils 〔POEs〕 having different branch shapes was investigated by using a four ball tribometer under boundary lubrication condition. All the polyol ester base oils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up of polyhydric alcohols of two-four valence and normal or branched fatty acids of different carbon number. The wear characteristics of polyol ester base oil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mineral oil, strongly affected by the branch shapes of fatty acids in their molecles. In particular, the polyol ester base oils having normal fatty acids such as n-octanoic acid, n-nonanoic acid etc. show much better wear performance than POEs having branched fatty acids such as 2-ethylhexanoic acid, 3,5,5-trimethyl hexanoic acid, etc. As the carbon chain length of normal fatty acids, in case of POEs of normal fatty acids, is increased, their wear rate is decreased and, in case of POEs of branched fatty acids, as the degree of branch of branched fatty acids is decreased, their wear rate is decreased. All the wear results of polyol ester base oils could be reasonably explained by comparing cohesive ability among fatty acid molecules in adsorption film by fatty acids obtained as POEs were decomposed.

채취지역에 따른 미역취 정유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 최향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7-265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with different harvesting area.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the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from the aerial parts of the plant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GC-MS). Ninety-five (91.61%)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s from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harvested in Koheung, Jeolanamdo. The major compounds were hexadecanoic acid (29.22%), 7-hexyl eicosane (9.12%), spathulenol (7.701%), 3,8-dimethyl decane (6.48%), caryophyllene oxide (4.52%) and α-copaene (4.23%). Fifty-seven (97.43%)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s from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harvested in Seoguipo, Jejudo. The major compounds were 2-carene (40.95%), α-copaene (10.77%), α-muurolene (5.81%), and spathulenol (3.11%).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quality and quantity with the different harvesting area. The quantitative variations of hexadecanoic acid, 7-hexyl eicosane, spathulenol, 3,8-dimethyl decane, caryophyllene oxide, 2-carene, and α-copaene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ing area can serve as a quality index of the S. virga-aurea var. asiatica Nakai essential oils in food industries.

파라벤류에 대한 오일의 분배계수와 실제 방부력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tion coefficients of oils and antimicrtobial effects)

  • 한종섭;김종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4-111
    • /
    • 1995
  • Paraben에 대한 Oil의 분배계수를 측정하고, 실제 에멀젼을 제조하여 방부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분배계수측정은 Hydrocarbon, Ester, Silicone Oil류로 분류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Stirring Time, Temperature, Volume ratio에 따른 최적실험조건을 결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oil 종류에 따라 분배계수 값의 차이가 많았으며, 특히 Ester oil 류의 분배계수 값이 다른 오일 류에 비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오일의 Paraben에 대한 분배계수에 Propylene Glycol이 좋은 효과를 나타냄을 관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오일을 주 처방으로 한 에멀젼을 제조하여, Challenge test에 주로 사용하는 5종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균의 사멸속도를 비교한 결과, 분배계수가 낮은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일수록 빠른 사멸속도를 보여주었다.

  • PDF

Hepatoprotective Essential Oils: A Review

  • Daoudi, Nour Elhouda;Bnouham, Mohamed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24-141
    • /
    • 2020
  • Objectives: Several toxins and molecules are able to damage the liver, causing the hepato-toxicity. This disorder can be protected naturally, by some essential oils obtained from different plants. In this review we are cited some of these compounds that have been tested by their hepatoprotective effect. Methods: We reviewed 83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81 and 2018 in English via three databases Sciencedirect, Springer and PubMed. So, we have used the keywords: Hepatoprotective effect, liver disease, plants and essential oils. Results and conclusion: In this work, we classified the plants; contain the essential oils, in alphabetical order as a table containing the scientific, family names, information plants, the experimental assay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hepatoprotective studies. We have described 27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Lamiaceae (7 species), Asteraceae (6 species), Umbellifereae (3 species), Apiaceae (3 species) are the main families which enclose the species that was studied. The study also includes the major compounds isolated from some of these essential oils. The most of those compounds belong to terpene class essentially cineol, carvacrol and thymol. Thus, the different essential oils that have been cited in this review were shown that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DPPH법에 의한 식용유지의 열산화 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for the Thermally-oxidized Vegetable Oils using a DPPH Method)

  • 이재민;장판식;이재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3-137
    • /
    • 2007
  • 유지의 산화안정도 측정을 위해 개발된 DPPH법의 최적화를 위해 시료의 양에 따른 유지의 산화변화를 분석하였고, 결정도니 조건을 사용하여 시중에서 튀김유로 사용되는 4종류 식용유지의 열산화안정성을 측정하였다. CDA와 p-AV는 산화반응이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시료간의 상대적인 산화안정성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DPPH법은 유지의 산화라디칼과의 반응성을 이용하며 흡광도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이로부터 유지산화라디칼의 변화를 측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유지의 초기 전자 혹은 수소공여능을 확인할 수 있었고, DPPH 흡광도 증가를 통해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속도 및 산화라디칼의 생성속도를 계산할 수 있었으며, 산화방지물질의 소진시점을 결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DPPH법을 기존의 산화도 측정방법과 병용한다면 유지의 산화도는 물론 산화반응 단계를 측정 할 수 있고, 산화안정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潤滑再生油의 酸化安定性能 (第1報) 再生油의 性能 (Oxidation Stability of Regenerated Lubricating Oils (Ⅰ). Properties of Regenerated Oils)

  • 나윤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43-446
    • /
    • 1974
  • 內然機關에서 採取한 廢油를 黃酸白土 處理하여 얻어진 再生油는 원래 들어 있던 添加劑, 特히 酸化防止劑와는 相關없이 酸化安定性이 좋아졌다. 이러한 性質의 改善은 芳香族化合物이 거의 25%나 增加하는 事實로 미루어 耐酸化性物質의 生性에 基因하는 것으로 考察된다.

  • PDF

볶음공정과 산화방지제가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Process and Antioxidants on Oxidative Stability of Perilla Oils)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9-38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볶지않은 들깨와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몇가지 산화방지제를 첨가하여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다. $190^{\circ}C$에서 20분동안 볶은 들깨와 볶지 않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에 ${\alpha}$-토코페롤, ${\delta}$-토코페롤을 100, 200, 300과 400 ppm, BHA, BHT와 TBHQ를 50, 100, 150과 200 ppm으로 농도별로 첨가하여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과산화물가는 antioxidative index (항산화제를 첨가한 들기름의 유도기간/항산화제를 첨가안한 들기름의 유도기간)로 환산하여 산화적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볶지 않고 착유한 들기름보다 볶은 들깨에서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이 뛰어나, 볶음공정이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 약 4배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가된 토코페롤류는 들기름의 산화를 촉진하였다. 합성산화방지제인 BHA는 산화방지 효과가 없었고, BHT는 미약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TBHQ는 강한 산화방지 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때 TBHQ를 법적 허용 기준치인 200 ppm이내에서 첨가하였을때 들기름의 저장안정성을 약 5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TBHQ가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향상에 가장 적합한 산화방지제로 판단되었다. 또한 볶음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들기름의 산화안정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아유르베다 오일의 항균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ntibiosis in Ayurvedic Oils)

  • 최정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39-1145
    • /
    • 2010
  • 본 연구는 아유르베다의 모발과 두피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유르베딕(Ayurvedic) 처치는 자연치유력에 의해 면역력을 강화시킨다. 아유르베딕 베이스 오일과 에센셜 오일을 모발과 두피에 사용했을 때, 두피에 상주하는 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IC test 와 Halo test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9종류의 베이스 오일과 18종류의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Bacillus subtilis, Propionibacterium acnes균에 대한 베이스 오일과 에센셜 오일의 항균효과를 MIC test를 통해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베이스 오일에서는 모두 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센셜 오일은 Chamomile, Clary sage, Jasmine, Neroli, Rose오일에서 두 균에 대해 모두 5% 이하에서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균주에 대해 Thyme, Geranium, Lavender, Tea tree가 모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Geranium, Lavender, Thyme 에센셜 오일과 Sesame and Coconut 베이스 오일을 이용하여 7가지 공시균주에 대한 Halo test결과 베이스 오일에서는 항균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센셜 오일은 7가지 공시균주에 대해 모두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yme은 MIC test 와 Halo test 결과 항균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