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Sand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토양오염 유발시설별 오염현황 조사 I -OO인근주유소 오염현황조사- (A Case Study of Site Investigation on OO Gas Station)

  • 김무훈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81-88
    • /
    • 1997
  • 본 조사의 목적은 적절한 조사방법이 미흡한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 조사방법 및 그에 따른 주변지역으로의 오염물질이전 및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Site assessment 방법에는 몇가지의 접근방법이 있는데, 본 OO 주유소 오염현황조사에서는 임의격자법/삼각매트릭스법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주유소에서의 물질성상은 몇 가지의 형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지층구조는 약 2.5M까지는 매립토(잡석 & 모래)로 충진하였으며, 2.5-4M 까지는 부드러운 모래와 미사토(Silty Sand)의 자연적인 토양층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4.0M 가까이에는 풍화토(C층)가 출현하였다(그림3. 지층구조측면도 참조).저장탱크지역의 지하수위는 약 2.0M이며 남쪽에 흐르고 있는 개천의 수위와 거의 일정하게 유 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조사에서는 실제 UST나 배관 주위에서의 누출에 의한 실제오염은 찾아낼 수 없었지만, 기름을 충진한 후 버려지는 슬러지들이 부분적인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본 현황조사를 통하여 알아낼 수 있었다.

  • PDF

태안해안국립공원 곤충상 및 유류오염 사고에 따른 사질성 곤충상 변동에 관한 연구 (A Faunistic Study of Insects and Arenaceous Insects variation by Oil Spill Accidents of Taeanhaean National Park)

  • 강승호;이종은;홍의정;김영진;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0-507
    • /
    • 2017
  • 태안해안국립공원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는 1996년 1차 자연자원조사를 시작으로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되었다. 조사된 지점은 대부분 해안지역, 사구, 배후초지 등이었다. 채집방법은 포충망을 이용한 채어잡기(Sweeping), 흡충관(Suction), 함정트랩(Pitfall trap), 야간조사(Light trap), 말레이즈트랩(Malaise trap)을 사용하였다. 총 17목, 215과 1,540종의 곤충상이 확인되었다. 나비목이 가장 큰 점유율을 가진 분류군으로 나타났고(34.2%), 그 뒤를 이어 딱정벌레목(28.3%), 노린재목(12.7%), 파리목(8.5%), 벌목(7.1%), 메뚜기목(4.7%), 잠자리목(2.0%), 기타목의 순으로 나타났다. 2007년 12월에 발생한 허베이스피리트호 태안 유류유출 사고 전 후로 사질성 곤충상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전체 조사기간 동안 대부분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45종의 사질성 곤충이 조사되었고, 유류오염이 사질성 곤충 출현 종 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회(灰)미장재와 공법에 관한 연구 - 영건의궤(營建儀軌)의 유회(油灰), 수회(水灰), 양상도회(樑上塗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 Focused on the Lime Plaster Materials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

  • 이권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63-79
    • /
    • 2009
  •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have not to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to have been born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order for roof ridge, and for bond paste of stones and bricks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wi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agglutinate stones each other were quicklime, perilla oil, and paper fiber.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point joint of black bricks consisted of slaked lime, perilla oil,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These components were the same as coat surface of roof ridges. In the case of times, one of the following sand, white clay, sap of boiled elm bark was added to these components for the purpose of high efficiency.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applied to plaster work of those buildings ha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king royal tombs. But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 PDF

Study of heavy fuel oil fly ash for use in concrete blocks and asphalt concrete mixes

  • Al-Osta, Mohammed A.;Baig, Mirza G.;Al-Malack, Muhammad H.;Al-Amoudi, Omar S. Baghabr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4권2호
    • /
    • pp.123-143
    • /
    • 2016
  • Use of heavy fuel fly ash (HFFA) (diesel and cracked fuel) for power generation in Saudi Arabia has generated and accumulated large quantities of HFFA as a byproduct. In this research, HFFA is studied with the emphasis on the utilization of this waste material in concrete blocks and asphalt concrete mixes. Two types of mixes, one with low and other with high cement content, were studied for concrete blocks. Different mixes having varying percentages of HFFA (0% to 25%), as cement/sand replacement or as an additive, were studied. The performance of concrete blocks is evaluated in terms of compressive strength, water absorption, durability and environmental concerns. The results showed that blocks cannot be cast if more than 15% HFFA is used; also there is a marginal reduction in the strength of all the mixes before and after being exposed to the sulfate solution for a period of ten months. HFFA is studied in asphalt concrete mixes in two ways, as an asphalt modifier (3&5%) and as a filler (50%) replacement, the results showed an improvement in stiffness and fatigue life of mixes. However, the stability and indirect tensile strength loss were found to be high as compared to the control mix due to moisture damage, indicating a need of using antistripping agents. On environmental concern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concerned elements are within acceptable limits also it is observed that lower concentration of barium is leached out with the higher HFFA concentrations, which indicates that HFFA may work as an adsorbent for this leaching element.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 Newly Developed Tissues of Soybean Seedlings

  • Dhakal, Krishna Hari;Jeong, Yeon-Shin;Ha, Tae-Joung;Baek, In-Youl;Yeo, Young-Keun;Hwang, Young-Hyun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2-4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wly developed tissues of germinated soybean seeds. Five soybean accessions with varie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llowed to germinate in san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Seedlings were picked up after 4, 6, 8, 10 and 12 days of germination and freeze drie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newly developed tissues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Significant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was observed between accessions, days of germination, and variety ${\times}$ day of germination in whole and the cotyledons. In the case of newly developed five tissues, significant variation in fatty acid composition were observed between days of germination except oleic acid for root, hypocotyl and epicotyl stem and except stearic acid for hypocotyl and unifoliate leaves while all the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ccession. Significant interactions of accession and days of germination were observed for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in all tissues; only for oleic acid in hypocotyl, epicotyl and unifoliate leaves; and only for stearic acid in root, hypocotyl, epicotyl and unifoliate leaves. During germinati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newly developed tissues changed dramatically but whole seedlings and cotyledons changed slightly. These tissues contained five major fatty acids as found in original seeds, but compositions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ed: higher in palmitic, stearic and linolenic acid and lower in oleic and linoleic acid. New tissues conserved their fatty acid compositions regardless of genotypic variation in the original seeds.

동토 시료의 열적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Thermal Characteristics of Frozen Soil Samples)

  • 김세원;박상영;원종묵;김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1-40
    • /
    • 2022
  • 최근 건설시장의 다각화와 미래 에너지 자원개발이라는 관점에서 미개발된 에너지 자원(석유, 천연가스 등)이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는 극한지(북극권) 개발 사업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극한의 기후로 인한 동토 지반의 침하나 동상 등의 문제가 항상 발생하기 때문에 지반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열적 특성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토 지역에서 지반동결과 관련된 문제들을 평가하고 기술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캐나다 앨버타주 오일샌드 매장 지역의 동토 시료에 대한 열적 특성을 국내 시료와 비교·분석하였다. 일련의 실내 실험을 통해 동결온도에 대한 시간에 따른 부동 수분량을 측정하여 흙의 종류와 동결온도가 부동 수분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토양의 잠열, 열용량 및 열전도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비동결 조건에 대한 열전도도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동결 완료 후 온도별로 상이한 부동 수분량과 열전도도 특성은 동토 지역 동결온도가 동토의 역학 거동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한국 황해 백령도 주변해역 후 제4기 퇴적작용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in the Yellow Sea off Baegryeong Island, Korea)

  • 조민희;이은일;유학렬;강년건;유동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3호
    • /
    • pp.145-153
    • /
    • 2013
  • 황해 백령도 주변해역에 분포하는 해저면 연계퇴적층의 음향상 연구를 위해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를 분석하였다. 해저지형 및 내부 음향상 특징에 의하면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천부퇴적층은 총 7개의 음향상으로 구분된다. 내부 반사면이 약간 혹은 양호하게 발달하거나 내부반사면을 전혀 수반하지 않는 평탄한 해저면(음향상 1-1, 1-2)은 연구지역의 남쪽에 주로 분포한다. 파형의 표면구조를 수반하는 평탄한 해저면(음향상 1-3)은 중부해역에 발달한다. 평탄한 해저면 혹은 파형의 표면구조를 수반하는 마운드 형태의 해저면 특징(음향상 2-1, 2-2, 2-3)은 중부해역에 분포한다. 내부 반사면이 발달하지 않고 불규칙한 침식흔적을 갖는 해저면(음향상 3-1)은 조사해역의 북부해역인 백령도 외해쪽에 주로 존재한다. 음향상의 분포 및 퇴적물 특성에 의하면 연구지역의 퇴적환경은 뚜렷한 3 지역으로 구분되는 바 (1) 강한 조류의 영향으로 심한 침식작용이 진행되고 있는 북쪽지역, (2) 해수면 상승과 연계된 조류의 영향으로 형성된 사퇴가 분포하는 중부해역, (3) 박층의 해침 사질층이 분포하고 있는 남부해역 등으로 구성된다. 연구지역에 분포하는 7 음향상을 포함하는 이와 같은 퇴적층은 홀로세 해침동안 해수면 상승 및 강한 조류와 연계된 퇴적작용을 반영한다.

토양증기추출법에 의한 휘발유 오염토양의 현장복원 연구 (A Field Study on Remediation of Gasoline Contaminated Site by Soil Vapor Extraction)

  • 김재덕;김영래;황경엽;이성철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유류가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기 위해 실제 현장의 토양성상과 오염현황을 조사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in situ복원기술인 토양증기추출법을 적용할 때 복원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증기추출 장치의 운전조건과 토양성상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부지는 지하저장고에서 누출된 휘발유가 오염되어 있었고 그 농도는 BTEX가 최대 1.081ppm, TPH가 최대 5,548ppm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장기간에 걸쳐 지하 6m깊이까지 확산되어 오염물의 분포 면적은 170$\textrm{m}^2$, 오염토양의 총 부피는 약 1,000$\textrm{m}^3$으로 추산되었다. 오염부지의 토양은 지하 3~4m까지는 사질매립토이고 지하 4~6m에서는 불균질한 점토질이 섞인 미사토였으며 토양의 공기투수계수는 1.058-1.077$\times$$10^6$$\textrm{mm}^2$이었다. 이 부지내 일부지역에 지하수 흐름이 있으며 지하수위는 지하 약 3~4m부터 존재하였고 지하6m이하에는 암반이 존재하였다. 이 부지에 깊이 6m인 8개의 추출정과 7.5마력 용량의 진공펌프가 포함된 토양증기추출 장치를 설치하여 하루 8시간씩 100일간 운전한 결과 지하수가 존재하지 않는 사질토양에 있었던 BTEX는 90%이상의 효율로 제거하였으나 지하수대가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BTEX와 TPH의 제거효율이 대폭 낮아졌다. 또한 토양증기장치에 의해 유도된 토양내 공기흐름은 토양깊이가 깊어질수록 공기 흐름량은 감소하여 복원효율이 떨어졌다.

  • PDF

실험실에서 사육한 도루묵의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Sand Fish, Arctoscopus japonicus (Steindachner) Larvae and Juveniles Reared in the Larboratory)

  • 명정구;김종만;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9-137
    • /
    • 1989
  • 1986년 12월 1일 강원도 명주군 옥계면 김진삼 이앞 연안에서 삼중책망으로 채포한 성숙한 도루묵을 이용하여 현장(선상)에서 인공수정시켜, 실내 사육실로 운반한 후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치어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난은 구형이고 침성점착난이며 난경은 $3.1\~3.4$mm(평균 3.3 mm, n=10)이었고, 많은 소유구를 가진다. 자연산난된 알은 지름이 약 4 cm인 알덩이를 형성하였다. 수온 $8.7\~12.3^{\circ}C$ 범위에서 수정 후 65일만에 부화되었다(적산수온 $663\~902^{\circ}C$). 부화직후 자어는 전장 $8.5\~10.2$ mm 범위이며, 근절수는 11+40(?)이었고, 가슴지느러미 줄기 5개가 발달하여 있었다. 부화 후 24일 째 전장 19.4 mm 자어는 난황을 완전히 흡수하였고, 배지느러미의 원기가 나타났다. 부화 후 32일째 전장 23.4 mm는 각 지느러미 줄기가 완성되고 치어기에 달한다. 부화 후 56일째 전장 29.9 mm의 치어는 체형이 거의 성어와 닮으며 체측에 4개의 흑색소포덩이가 나타났다. 전새개골 극은 전장 15.6 mm일때 4개가 나타났고 전장 24.4 mm에서 5개가 생겼다. 가슴지느러미는 전장 15 mm 전후에 둥근형에서 성어의 형태로 바뀌었다. 도루묵의 자어는 항문의 위치가 몸중앙보다 앞쪽에 위치한 점과 꼬리의 배쪽 가장자리를 따라 흑색소포가 발달한 점이 배도라치류의 자어와 닮았으나, 전새개골에 극을 가지고 있어 극이 없는 배도라치류의 자어와 구별되었다.

  • PDF

저압방전 불꽃에서 전극재질이 점화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ctrode Material on the Minimum Ignition Energy in Low-Voltage Spark Discharge)

  • 최상원;이관형;문정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5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394-1397
    • /
    • 1995
  • In the hazardous areas where explosive gases, vapor or mists exist, electrical apparatus and installations must be of explosion-proof construction to prevent or limit the danger of the ignition of potentially explosive atmosphere. In Korea, nine types of protection have been specified in the government regulations at present: flameproof enclosure, pressurization, oil immersion, increased safety, intrinsic safety, non-incendive, sand filling, encapsulation, and special types. Among these types, the intrinsic safety has the construction which limit or by-pass igniting the electric energy using electronic devices. This type has lots of merits but at the same time requires a high-degree of technolog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several dominating factors which affect the minimum ignition energy: this energ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design and evaluation of the intrinsic safety type electrical apparatus. Eletrode material,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as intensively studied for the five sorts of material(Al, Cd, Mg, Sn, and Zn) with performing experiment in a low-voltage inductive circuit using IEC-type spark apparatu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minimum ignition energy of electrode material is varied: highest in Cd and lowest in Sn. We also confirmed the effect of eletrode make-and-break speed and magnetic field magnitu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