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Reten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8초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돈가스 튀김옷의 흡유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ellulose Derivatives to Reduce the Oil Uptake of Deep Fat Fried Batter of Pork Cutlet)

  • 김병숙;이영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8-495
    • /
    • 2009
  • 돈가스의 튀김과정에서 증가되는 지방량을 감소시키고자 튀김반죽에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를 각 0.5, 1, 1.5%의 비율로 첨가하여 점도, 튀긴 후 색도, 수분보유량 및 흡유량, 관능특성 등을 측정하여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한 튀김반죽의 점도는 속도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동일 첨가수준에서 HPMC에 비하여 MC의 점도 증가가 매우 컸으며 HPMC 0.5%의 첨가군이 대조군과 거의 유사한 점도양상을 보였다. 반죽의 점도는 돈가스를 제조할 때 재료(원육)에 대한 튀김반죽의 coating성에 영향을 주어서 HPMC 0.5% 첨가군의 coating성이 가장 좋았다. 2. 튀김옷의 수분보유량과 흡유량을 측정한 결과, 수분보유량은 대조군(45.69%) < MC 0.5%(47.36%) < MC 1%(48.55%) < MC 1.5%(49.59%) < HPMC 0.5%(51.49%) < HPMC 1%(53.72%) < HPMC1.5%(56.45%)의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흡유량은 대조군(15.49%)> MC 0.5%(15.44%) > MC 1%(15.25%) > MC 1.5%(15.05%) > HPMC 0.5%(14.69%) > HPMC 1%(12.62%) > HPMC 1.5%(10.03)의 순으로 감소하여 HPMC 1.5% 첨가 batter가 수분보유량이 가장 높으면서 흡유량은 가장 적었다. 3. 튀긴 돈가스의 명도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첨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MC 보다 MC첨가에 의한 변화가 커서 1.5% MC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명도값을 나타냈다(p<0.001). 적색도는 HPMC를 첨가한 경우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으나 MC의 경우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황색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관능검사 결과 튀긴 돈가스의 색은 HPMC 0.5% 및 1% 첨가 시 가장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며 그 외에는 색상이 진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짠맛은 대체적으로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구수한 맛은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으며 HPMC 0.5%와 MC 0.5% 첨가 시에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불쾌취의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첨가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다른 셀룰로오스유도체의 첨가군에서는 약간 불쾌취가 느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름진 정도는 대조군보다 HPMC 0.5%와 1% 첨가군에서 덜 기름진 것으로 평가된 반면 HPMC 1.5%와 MC 첨가 시에는 대조군보다 더 기름지게 느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촉한 정도는 대조군과 HPMC 0.5% 및 1%는 같은 경향으로 평가되었고 HPMC 1.5%와 MC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촉촉한 정도가 더 강해 반죽이 덜 익었다는 느낌을 주기도 하였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과 MC 0.5%, HPMC 0.5% 및 1%가 같은 수준으로 평가되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MC 1.5%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바삭거리는 정도는 셀룰로오스유도체 첨가량이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HPMC 0.5% 첨가군이 오히려 대조군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돈가스의 흡유량을 개선시키기 위한 튀김반죽의 첨가제로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MC 및 HPMC의 첨가가 효과적이나, MC의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점도의 증가가 매우 커서 동일 온도에서 coating이 두껍게 되었다. 또한 색도 및 관능평가의 결과 HPMC 0.5% 및 1%를 제외한 모든 셀룰로오스 첨가군은 첨가율에 비례하 여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수분보유력이 증가하 여 흡유량이 적은 데도 느끼하고 덜 익은 것처럼 느끼 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돈가스와 같이 튀김반죽을 재 료에 코팅하는 조리과정을 거치는 음식에서는 튀김반죽 에 셀룰로오스유도체인 HPMC를 적정량 첨가하면 코팅 하기가 쉽고 흡유량은 감소하는 반면 수분보유량은 증가 하여 매우 효과적이었다. HPMC의 최적 첨가량은 약 0.5% 수준이었을 때 점도가 적당하였고 색감, 바삭한 정도 및 단단한 정도 등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Purge-and-Trap법에 의해 추출한 참기름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esame Oil Extracted by Purge-and-Trap Method)

  • 이상화;주광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0-265
    • /
    • 1998
  • 참깨를 170, 200, $230^{\circ}C$로 열풍순환식과 전기팬에서 볶아서 참유한 기름의 향기 성분을 GC와 GC-MS로 분석하여 동정 확인하고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33개의 향기성분이 확인 되어졌으며 pyrazine류 14종, thiazole류 7종, pyridine류 4종, oxazole류 2종 및 기타 6종 이였다. 전기팬에서 170, 200, $230^{\circ}C$에서 처리된 시료의 총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145.29, 334.65, 313.04 ppm 이였고 열풍순환식에서는 각각 28.86, 81.20, 313.28 ppm이 였다. 그리고 개별향기 성분중에서는 pyrazine류의 함량비가 가장 높았다. 6개의 시료에 대한 관능 검사의 결과는 $200^{\circ}C$에서 배전식 방법으로 볶은 참깨로부터 제조된 참기름이 가장 바람직한 향기를 가진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이런 현상은 GC 분석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

오징어 간유 미세캡슐의 유동층 코팅에 따른 품질 특성 (Stability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Microencapsulated Squid Liver Oil by Fluidized Bed Coating)

  • 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1-625
    • /
    • 2008
  • 오징어 간유 미세캡슐화 분말을 HPMC-FCC, zein-DP로 코팅하여 유동층 코팅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동층 코팅 효율은 HPMC-FCC, zein-DP 모두 90%의 효율을 나타내었다. 겉보기 밀도는 zein-DP 코팅분말이 0.6 g/mL로 높게 나타나 코팅 분말의 비중이 커져 흐름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위액과 인공장액에 대한 용해성을 살펴본 결과, HPMC-FCC는 각각 59.9%와 0%를 나타내었고 zein-DP는 각각 0%와 31.0%를 나타내어 코팅재료에 따라 용해성을 조절할 수 있었다. 저장 안정성은 zein-DP나 HPMC-FCC로 코팅한 분말이 미세캡슐화 분말보다 높은 PUFA/SFA 잔존율을 보여, 유동층 코팅 기술이 유지식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지방 물속 콩기름 에멀션의 지방질 자동 산화에서의 바질 추출물과 철 첨가 효과 (Effects of Basil Extract and Iron Addition on the Lipid Autoxidation of Soybean Oil-in-Water Emulsion with High Oil Content)

  • 김지희;이해인;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3-120
    • /
    • 2017
  • Purpose: Lipid autoxidation of a soybean oil-in-water emulsion with high oil content was studied under after basil extract and/or iron addition. Methods: The emulsion consisted of tocopherol-stripped soybean oil (40 g), citrate buffer (60 g, pH 4.0), and/or $FeSO_4$ (0.5 mg) with 75% ethanol extract (200 mg/kg) of basil (Ocimum basilicum).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using headspace oxygen content, hydroperoxide contents, and p-anisidne values of the emulsion. Polyphenol compound retention in the emulsion during oxidation was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Results: Addition of basil extract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reduced hydroperoxide contents of the emulsion, and iro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nisidine values and decreased oxygen contents. Co-addition of basil extract and iron showed significantly (p<0.05) lower reduced hydroperoxide contents in the emulsion than compared to those of the emulsion with added iron and the control emulsion without basil extract nor or iron. During the emulsion oxidation, polyphenol compounds in the emulsion with added basil extract were degraded, but more slowlywhich was slowed degraded in the presence of iron. Conclusion: The iIron increased the lipid oxidation through hydroperoxide decomposition, and basil extrac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radical-scavenging and iron-chelation. Polyphenol degradation was decelerated by iron addition, which suggested suggests iron chelation may be more preferred topreferentially activated over radical scavenging in the antioxidant action by of basil extract in the oil-in-water emulsion with high oil content.

반복(反復) 가열과정(加熱過程) 중의 일부 항산화제(抗酸化劑) 잔존량(殘存量) 및 대두유(大豆油) 성상(性狀)의 변화(變化) (Variation of Antioxidant Retention and Some Properties of Soybean Oil during Simulated Frying Operations)

  • 이형섭;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6-92
    • /
    • 1979
  • 시판(市販) 식용대두유(食用大豆油)에 항산화제(抗酸化劑) BHA, BHT, PG를 200 ppm씩 첨가(添加)하여 $150{\pm}2^{\circ}C$에서 30분간(分間) 가열(加熱)한 후 23.5시간(時間) 방냉(放冷)하는 조작(操作)을 6회(回) 반복(反復)하였다. 그리고 이 반복과정(反復過程)에 따르는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잔존율(殘存率)의 변화(變化)와 기질(基質)의 일부(一部) 물리적(物理的),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반복가열조작(反復加熱操作)의 회수(回數)에 따르는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잔존율(殘存率)은 2회(回 )의 경우 BHA 60.5%, BHT 55.7%, PG 40.5%로써 PG는 초기농도(初期濃度)의 1/2이상(以上)이 손실(損失)되었다. 한편, 6회(回)의 경우, BHA 5.7%, BHT 3.0%, PG 1.8%로써 첨가(添加)된 항산화제(抗酸化劑)의 거의 전부(全部)가 손실(損失)되었다. 2. 반복가열조작(反復加熱操作)에 따르는 control을 포함하는 모든 기질(基質)의 굴절율(屈折率), 점도(粘度)의 변화(變化)는 초기(初期)에는 그 증가(增加)가 원만했으나 4회이후(回以後)에는 모두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했다. 한편 color index는 초기(初期)에는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했으나 2회이후(回以後)에 는 그 증가속도(增加速度)는 상당(相當)히 감소(減少)되었다. 3. 또한 항산화제(抗酸化劑)의 잔존율(殘存率)이 감소(減少)함에 따라 기질(基質)에 대한 각항산화제(各抗酸化劑)의 산패억제작용(酸敗抑制作用)도 급격(急激)히 저하(低下)되었다. 즉, 6회(回) 반복가열(反復加熱)후에는 각항산화제(各抗酸化劑)가 첨가(添加)되었든 기질(基質)들의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가(價), 산가(酸價)는 control의 그것과 별차(差)가 없었다.

  • PDF

국내 유통 엔진오일 고온모사증류시험 분석 (The SIMDIST (Simulated Distillation) Analysis of Distributing Engine Oil)

  • 임영관;김지연;김종렬;하종한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32-637
    • /
    • 2017
  • 자동차용 윤활유가 국내 윤활유 시장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엔진오일이 자동차용 윤활유의 75%를 차지하고 있다. 운전자와 엔진보호를 위해 유통 엔진오일의 품질이 적절하게 관리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KS제품과 합성엔진오일(합성기유가 30% 이상 포함된 제품)은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상 품질관리에서 제외되어져 있다. PAO (poly alpha olefin)와 같은 합성오일은 기존 광유보다 내마모성, 바니쉬 조절 및 산화안정도와 같은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PAO는 엔진오일, 로터리 스크류, 중장비, 왕복 압축기, 극압장비 등에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모사증류시험(SIMDIST)을 이용하여 광유, PAO, 일정 비율의 PAO가 혼합된 광유시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유는 브로드란 크로마토그램을 얻은 반면, PAO는 특정한 머무름시간에서 샤프한 피크를 보였다. 또한 점도가 큰 물질은 큰 분자량과 높은 끓는점을 지녀 긴 머무름시간을 보였다. 특히 20%의 PAO가 함유된 시료에서 전형적인 광유와 다른 PAO 패턴의 크로마토그램을 보였다. 유통엔진오일 내 PAO 함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국내 판매량이 높은 27종류의 유통엔진오일을 분석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PAO 함량이 20%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제품명에 PAO라 표현한 제품조차도 PAO 함량이 낮은 것을 보였다. 따라서 합성엔진오일에 대한 적절한 관리 법규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들기름 에멀젼의 산화안정성 및 산화방지제에 대한 클로로필 첨가 및 빛의 영향 (Effects of Chlorophyll Addition and Light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of Perilla Oil Emulsion)

  • 최지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3-62
    • /
    • 2013
  • Lipid oxidation and antioxidants changes in perilla oil emulsion added with chlorophyll were studi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or under 1,700 lux light at $25^{\circ}C$ for 48 h. The emulsion was consisted of perilla oil (33.12 g), 5% acetic acid (66.23 g), egg yolk powder (0.5 g), and xanthan gum (0.15 g), and Chlorophyll b was added to the emulsion at 0, 2.5 and 4 mg/kg. The lipid oxidation was evaluated by headspace oxygen consumption and hydroperoxide formation, and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ere monitored by HPLC and spectrophotometry at 725 nm, respectively.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in the dark was not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addition of chlorophyll. Light increased and accelerated the lipid oxidation of the emulsion, and increased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under light increased it furthe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any case. Conte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storage in the dark regardless of chlorophyll addition, indicating their little degradation. Tocopherols and polyphenols in the emulsion were significantly degraded during storage of the emulsion under light, and the degradation rate of polyphenols was increased with addition level of chlorophyll. The lipid oxidation of the perilla oil emulsion was inversely related with the residual amounts of tocopherols and polyphenols, with more dependent on the retention of polyphenols than that of tocopherols.

Improv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y Supplemented with Oil-in-Water Nanoemulsion

  • Lee, Jiseon;Kim, Honggyun;Choi, Mi-Jung;Cho, Youngj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2-273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noemulsion (NEM)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y to improve texture for elderly members of the population. Hence, we prepared pork patties supplemented with different of liquid materials: water; oil and water; oil, water, and surfactants; and nanoemulsion. The emulsion itself was characterized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pork patties, including pH, water content, cooking loss, thawing loss, liquid holding capacity, color, and texture, were analyzed. The size of NEM was 165.70±9.32 nm and NEM had high ζ-potential value indicating that it is stable. NEM patties had the lowest cooking and thawing losses, and the highest liquid retention, all of which affected the tenderness of the patties. Color of the patty was also affected by the addition of NEM. The highest lightness and yellowness and the lowest redness were observed (p<0.05). NEM patties had the lowest values for all texture attributes indicating improved tendernes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NEM has positive effects on pork patties and can help to tenderize food products designed for the elderly. With further study, NEM could be a candidate tenderization agent in the meat industry.

저장조건에 따른 싸주아리쑥 정유의 휘발성 성분 변화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Essential Oil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cv. ssajuari (ssajuarissuk))

  • 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40-847
    • /
    • 2010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volatile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cv. ssajuari (ssajuarissuk) essential oils and analyzed changes in the contents of volatile compounds under four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such as exposure to air at $20^{\circ}C$ and $40^{\circ}C$. Sixty-five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6 monoterpene hydrocarbons, 23 oxygenated monoterpenes, 16 sesquiterpene hydrocarbons, 6 oxygenated sesquiterpenes, 1 diterpene, 6 benzene derivatives, and 7 non-isoprenoid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mass spectra characteristics and retention indices from original ssajuarissuk essential oils. 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90.56% of the total peak area. Borneol (10.29%)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in the original ssajuarissuk essential oils, followed by 1,8-cineole (9.06%), viridiflorol (8.99%), spathulenol (8.73%), $\alpha$-thujone (5.28%), and camphor (4.39%). After six months storage at $40^{\circ}C$ with the cap opened for 3 min everyday, the total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in essential oil as determined by the percentage peak area decreased by 84.93%. The total levels of cis-sabinene hydrate, camphor, 4-terpineol, humulene oxide, $\beta$-caryophyllene oxide, and caryophyllene alcohol increased significantly. For ssajuarissuk essential oils stor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changes in the contents of volatile compounds in essential oils were accelerated by temperature and contact with the atmosphere.

Self-Supported NiSe/Ni Foam: An Efficient 3D Electrode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 Zhang, Jingtong;Zhao, Fuzhen;Du, Kun;Zhou, Yan
    • Nano
    • /
    • 제13권11호
    • /
    • pp.1850136.1-1850136.12
    • /
    • 2018
  • Three-dimensional (3D) mixed phases NiSe nanoparticles growing on the nickel foam were synthesized via a simple one-step hydrothermal method.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control the morphology by adjusting the amount of selenium in the synthetic reaction. Meanwhile, the as-prepared novel column-acicular structure NiSe exist three advantages including ideal electrical conductivity, high specific capacity and high cycling stability. It delivered a high capacitance of $10.8F\;cm^{-2}$ at a current density- of $5mA\;cm^{-2}$. An electrochemical capacitor device operating at 1.6 V was then constructed using NiSe/NF and activated carbon (AC)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Moreover, the device showed high energy density of $31W\;h\;kg^{-1}$ at a power density of $0.81kW\;kg^{-1}$, as well as good cycling stability (77% retention after 1500 cy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