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Red O staining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초

Inhibitory effect of ethanolic extract of Abeliophyllum distichum leaf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 Thomas, Shalom Sara;Eom, Ji;Sung, Nak-Yun;Kim, Dong-Sub;Cha, Youn-Soo;Kim, Kyung-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5호
    • /
    • pp.555-567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Abeliophyllum distichum is a plant endemic to Korea, containing several beneficial natural compoun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distichum leaf extract (ALE)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MATERIALS/METHODS: The cytotoxic effect of ALE was analyzed using cell viability assay. 3T3-L1 preadipocytes were differentiated using induction media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LE. Lipid accumulation was confirmed using Oil Red O staining. The mRNA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s was measured using RT-PCR, and the protein express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𝛾) were measured using western blot.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incorporation of Bromodeoxyuridine (BrdU) into DNA. RESULTS: ALE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 differentiated adipocytes, as indicated by Oil Red O staining and triglyceride assays. Treatment with ALE decreased the gene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s such as Ppar𝛾,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𝛼), lipoprotein lipase, adipocyte protein-2, acetyl-CoA carboxylase, and fatty acid synthase. Also, the protein expression of PPAR𝛄 was reduced by ALE. Treating the cells with ALE at different time points reveal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ALE on adipogenesis is higher in the early period treatment than in the terminal period. Furthermore, ALE inhibited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reducing the early phase of adipogenesis and mitotic clonal expansion. This was indicated by the lower number of cells in the Synthesis phase of the cell cycle (labeled using BrdU assay) and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earl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C/ebp𝛽 and C/ebp𝛿. ALE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MAPK, confirming that the effect of ALE was through the suppression of early phase of adipogenesis. CONCLUSIONS: Altog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ALE inhibits lipid accumulation and may be a potential agent for managing obesity.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Fragaria Orientalis L. 물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Fragaria Orientalis Water extract on Adipogenesis and Cell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최문열;김미형;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9-56
    • /
    • 2024
  • Objective : Obesity, which has recently been rapidly increasing in the obese population, is caused by an imbalance i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The reason why we need to manage obesity well is that the prevalence of complications such as diabetes, atherosclerosis,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crease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O (Fragaria orientalis) water extract on fat metabolism in 3T3-L1 cells was observed to develop a new anti-obesity material based on Mongolian medical books. Methods : The effect of FO extract on adipogenesis in 3T3-L1 cells was observed using DPPH scavenging,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MTT analysis and Oil-red-O staining method. And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Results : The FO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5 mg/ml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BHA at 0.1 mg/ml. In oil red O staining at a safe concentration without cytotoxicity, lipid accumul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less than 8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all concentrations. Moreover, treatment of F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such as p-AMPK and p-ACC, in 3T3-L1 cells, and the expression of CPT-1 tended to incr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expression of PPAR-γ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 water extract has a potential anti-obesity effect and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for obesity prevention and treatment.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손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fat Diet on Type-I Muscle Loss in Rats)

  • 백경완;차희재;박정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509-1515
    • /
    • 2013
  • '지질독성'이라는 용어는 근육과 같은 지방세포가 아닌 조직에서 여분의 지질 축적이 어떻게 세포의 기능저하와 괴사를 유도하는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고지방을 투여한 근세포 배양에서 지질독성이 확인된 바는 있지만, 생체 내 시험에서, 특히 지질독성에 의해 대사적으로 영향을 받는 Type-I 근육에서 이러한 결과가 확인된 바는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이가 쥐의 Type-I 근육의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6주간 고지방식이와 일반식이를 섭취한 쥐의 Type-I 근육 내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을 각각 Oil Red O staining, H & E staining, Western blot 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6주 후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지질축적, 염증반응, 핵 침윤현상, cleaved PARP 단백질 발현이 일반식이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ype-I 근육량은 일반식이 집단에 비해서 고지방식이 집단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지방 식이가 지질독성에 의해 Type-I 근육의 세포괴사를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고지방 섭취가 직접적으로 근 감소증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Protopanaxadiol ameliorates palmitate-induced lipotoxicity and pancreatic β-cell dysfunction in INS-1 cells

  • Dahae Lee;Sungyoul Choi;Ki Sung K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572-582
    • /
    • 2023
  • Background: Free fatty acid-induced lipotoxicity is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ancreatic β-cell dysfunction. The effect of ginsenosides on palmitic acid-induced pancreatic beta-cells cell death and failure of glucose-stimulated secretion of insulin (GSIS) was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for a rat insulin was used to quantify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Protein expression was examin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Nuclear condensation was measured by staining with Hoechst 33342 stain. Apoptotic cell death was assessed by staining with Annexin V. Oil Red O staining was used to measure lipid accumulation. Results: We screened ginsenosides to prevent palmitic acid-induced cell death and impairment of GSIS in INS-1 pancreatic β-cells and identified protopanaxadiol (PPD) a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The protection effect of PPD was likely due to a reduction in apoptosis and lipid accumulation. PPD attenuated the palmitic acid-induced increase in the levels of B-cell lymphoma-2-associated X/B-cell lymphoma 2,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cleaved caspase-3. Moreover, PPD prevented palmitic acid-induced impairment of insulin secretion, which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activation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insulin receptor substrate-2, serine-threonine kinase, and pancreatic and duodenal homeobox-1.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PPD on lipotoxicity and lipid accumulation induced by palmitic acid in pancreatic β-cells.

사람 Mesenchymal stromal cell(hMSC) 분리를 위한 간소화된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implifying antibody cocktail technique for isolation of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hMSCs))

  • 박정현;김경화;이용무;구영;류인철;한수부;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93-100
    • /
    • 2004
  • 많은 연구들에서 hMSC를 얻기 위해 centrifugation, fluoroscence activated cell sorter(FACS), magnetic activated cell sorter(MACS)가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centrifugation만을 이용한 경우 순도가 떨어지며 FACS나 MACS의 경우에는 비용,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ntibody cocktail을 이용하여 hMSC를 좀더 쉽게 얻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람의 골반에서 12G의 바늘을 이용하여 골수를 흡입한 후 heparin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고 처리과정을 시행하기 전에 냉장고에 보관하며 가능한 한 빨리 처리 과정을 실시한다. 얻은 골수에 적당량의 RosetteSep( Stemcell Technologies)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그 후 적당량의 Ficoll-paque위에 골수와 RosetteSep의 혼합물을 섞이지 않게 올리고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세포층을 얻어낸다. 이 세포층을 따로 분리한 뒤 배양한다. 배양 시 세포가 80%이상 차기 전에 계속 passage를 시행하며 배양한다. 이는 세포가 밀도가 높아져 원치 않는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배양된 세포가 다양한 분화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적절한 배지와 적절한 환경에서 배양함으로써 얻어진 세포를 osteoblast, chondroblast, adipocyte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된 세포가 원하는 형질의 세포로 분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osteoblast의 경우 alizarin red stain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hondroblast의 경우 toluidine blue staining, adipocyte의 경우 Oil-Red-O staining으로 염색하여 분화를 확인하였다. 분리해낸 세포는 각각 세 가지 세포로 분화가 되었으며 이는 RosetteSep이 hMSC를 성공적으로 분리해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모든 세포가 분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따라서 hMSC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RosetteSep을 이용하면 다른 방법들 보다 쉽게 hMSC를 얻을 수 있으나 기존의 방법과 순도의 측면에서 더 비교할 필요가 있다.

부자(附子)와 오가피(五加皮) 물 추출물의 골수유래 지방세포와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s of Aconiti Lateralis Preparata Radix and Acanthopanacis Cortex on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Derived Adipocytes and Osteoclasts)

  • 이경선;최은식;한상용;김윤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1-165
    • /
    • 2014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coniti Lateralis Preparata Radix (AP) and Acanthopanacis Cortex (AT) extracts in bone-derived adipocyte OP9 cell, osteoclast and osteoblast-like MG63 cells. Methods : MTT assay was us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AP and AT extracts on OP9, osteoclast and MG63 cells. OP9 cells were treated with AP and AT, and the alterations in fat storage in the cells were determined by the Oil red O. To explain effects of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 macrophages, we performed the TRAP staining. The protein level of CAAA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as a adipocyte differentiation marker, and adiponectin was examined using western blot in differentiated OP9 cells. Effects of related genes were confirmed by luciferase assay using reporter assay. Results : AP and AT was not toxic on OP9 and MG63 cells, but AT was a little cytotoxic to osteoclast at the dose of $100{\mu}g/m{\ell}$. They could inhibit differentiation of OP9 cells and osteoclast with results of oil red O staining and TRAP staining. By western blot, AP and A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which is the key transcription factor in adipogenesis and adiponectin secretion. AT also inhibited the BMP-4 activity in luciferase assay. AP also inhibited BMP-4 and Wnt3a activity, stimulated ER-${\beta}$ activity but inhibited androgen receptor activity.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 AP and AT can be useful in osteoporosis and obesity via inhibition of osteoclast and adipocyte differentiation.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서 홍국발효 참당귀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Effects of Extra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i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Rats)

  • 김영완;김태훈;심소연;안희영;박규림;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67
    • /
    • 2018
  •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 흰쥐에 Monascus purpureus균주로 발효시킨 참당귀 추출물을 식이에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중 및 내장지방의 감소, 혈중 및 조직 내 중성지질 및 과산화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FAG섭취로 인해 체중증가 및 내장지방 축적 비율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및 ALP 활성 변화는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FAG를 섭취함으로서 혈중 중성지질 농도가 정상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혈중 leptin 호르몬 함량 또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한 각 조직 과 혈청 내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고지방 식이만 섭취한 C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FAG10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Hematoxylin과 eosin 염색 및 Oil red O 염색을 통해 FAG를 섭취함에 따라 간장 내 지질침착도의 감소를 확인였으며, 부고환 주변 지방 조직의 hematoxylin과 eosin 염색으로 지방세포의 크기가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oricoic acid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억제 효능 (Preventive Effect of Poricoic Acid against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 김혜란;정대영;김세이;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62-970
    • /
    • 2022
  •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의 진행질환으로, 중성지방 침착, 염증 및 간 섬유화가 동반되어 간경변증과 간암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나, 아직까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치료하는 뚜렷한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 Poricoic acid (PoA)는 복령의 약효성분으로 여러 약리작용이 보고되었으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치료 효능은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oA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병인에 작용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하는지를 in vivo 및 in vitro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도하는 식이(high fat and methionine-choline deficient diet, HFMCD)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서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된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간 독성을 나타내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도 감소시켰다. Oil Red O 염색 및 hematoxylin & eosin 염색의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증가하는 간 조직 내 중성지방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qPCR 결과에 의해서도 PoA는 중성 지방 합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간 조직에서 CD68 면역 염색 결과에 의하면, PoA는 HFMCD에 의해 증가는 CD68 면역 염색을 감소시켰으며, 염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도 감소시켰다. 더욱이 Sirius red 염색과 α-smooth muscle actin (α-SMA) 면역 염색으로 간 섬유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PoA는 HFMCD에 증가되는 sirius red 염색과 α-SMA 면역 염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도 감소시켰다. 또한, PoA는 palmitate (Pa)로 처리한 간세포 AML12에서 Pa에 의해 증가하는 중성 지방산 합성, 염증 및 섬유화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oA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중요 병인인 중성지방 생성, 염증 및 섬유화를 억제하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비타민나무 잎 에탄올추출물의 AMPK 활성화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효과 (Ethanol Extract of Hippophae Rhamnoides L. Leaves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주;박주희;김명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2-590
    • /
    • 2015
  • 본 연구는 HRL의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HRL이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 100 ㎍/㎖의 농도에서도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HRL의 경우 100 ㎍/㎖의 농도에서 82.25% 지방 축적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지방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RT-PCR법과 western blot법을 시행하였다. HRL은 SREBP-1c, PPARγ와 C/EBPα의 mRNA 발현을 억제시켰고, 지방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FAS의 생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HRL 처리로 AMPKα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PPARγ의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HRL은 AMPKα의 활성화를 통한 지방 합성을 억제를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홍화씨 추출물 유래 세로토닌 유도체의 지방전구세포 분화억제 효능에 대한 연구 (Inhibitory Effects of Serotonin Derivatives on Adipogenesis)

  • 정은선;김승범;김무한;신승우;이종성;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6
    • /
    • 2011
  •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홍화씨에서 유래하는 특이적인 세로토닌유도체로 주로 식물이 병원균을 방어하기 위해서 만들어내는 hydroxycinnamic acid amides계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oil-red O염색과 triglyceride 양 측정, GPDH 활성 측정 등을 통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 두 물질 모두 유의적으로 지방세포분화를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효능 비교물질로 세로토닌을 처리했을 때 세로토닌 자체로는 지방분화에 유의미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N-(p-Coumaroyl) 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은 또한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p-Coumaroyl)serotonin과 N-Feruloylserotonin이 지방세포분화억제를 통한 항비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