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 Absorption Capacit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Transdermal Delivery of Diclofenac Using Microemulsions

  • Kweon, Jang-Hoon;Chi, Sang-Cheol;Park, Eun-Se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351-356
    • /
    • 2004
  • A transdermal preparation containing diclofenac diethylammonium (DDA) was developed using an O/W microemulsion system. Of the oils tested, lauryl alcohol was chosen as the oil phase of the microemulsion, as it showed a good solubilizing capacity and excellent skin permeation rate of the drug. Pseudoternary phase diagrams were constructed to obta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oil, surfactant and cosurfactant for microemulsion formation, and the effect of these additives on skin permeation of DDA was evaluated with excised rat skins. The optimum formulation of the microemulsion consisted of 1.16% of DDA, 5% of lauryl alcohol, 60% of water in combination with the 34.54% of Labrasol (surfactant)/ethanol (cosurfactant) (1:2). The efficiency of formulation in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DDA was dependent upon the contents of water and lauryl alcohol as well as Labrasol: ethanol mixing ratio. It was concluded that the percutaneous absorption of DDA from microemulsions was enhanced with increasing the lauryl alcohol and water contents, and with decreasing the Labrasol:ethanol mixing ratio in the formulation.

Fly-ash 흡착기법을 이용한 열분해유 정제 (Pyrolysis oil refining by Fly-ash absorption)

  • 임은정;김성현;전병희;선우환;정익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2-222
    • /
    • 2011
  • Plastic product is increasing by the growth of its demand and most of refused plastics are incinerated or reclaimed. However, the refused plastic is not easily decomposed and has the environmental problem with its various toxic gas in case of incinera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such as USA, Japan, Germany and other developed industrial countries as well as Korea are interested in studying the recyclable resource of refused plastic. The macromolecular waste pyrolysis has the advantage of collecting of raw materials in high price and can at least get fuel gas or oil with high heat capacity. It also discharges low waste gas and low toxic gas including SOx, NOx and HCl heavy metals. However, pyrolyzed oil includes enough excess unsaturated hydrocarbons to form tar, which can cause the nozzle of engines to plug when pyrolyzed oil is used as fuel. Activated carbon was proven to have prominent adsorption capability among the other adsorbents that were mainly composed of carb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activated charcoal of its solid formation by analysing the feature of pyrolysis which is one of the chemical recycling methods and getting chemical analysis of the product and activated energy. Analyze the element of the oil produced by pyrolysis using GC-MS. The experiment of tar adsorption using fly-ash showed that fly-ash improved the optical intensity of pyrolyzed oil and decreased oxygen compounds in the pyrolyzed oil.

  • PDF

세제 빌더용 제올라이트 4A의 물성 향상을 위한 합성공정 연구 (A Study on Synthesis Process of Zeolite 4A for Improvement of Properties as a Detergent Builder)

  • 조용식;이원영;홍지숙;서정권;유승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488-494
    • /
    • 2009
  • 세제 빌더의 중요한 물성인 흡유능(O.A.C)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합성방법인 2단계 결정화법을 이용하여 제올라이트 4A를 합성하였다. 즉, 기존의 원료인 cullet($SiO_2$)과 수산화알루미늄 대신에 베트남산 모래와 천연 보크사이트로부터 용출한 알루민산소다 용액을 활성탄소로 정제하여 사용하였고, 합성과정은 1단계는 Si/Al 몰비를 1.15로 조절하고 $55^{\circ}C$에서 4시간, 2단계는 알루미나 용액을 추가로 가하여 Si/Al 몰비를 0.98로 낮추고 $65^{\circ}C$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새로운 방법은 제올라이트 4A의 입도(평균 $1.2{\mu}m$)와 입자응집 및 표면극성을 더 잘 제어할 수 있었고, 백색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합성된 제올라이트 4A는 기존제품과 비교하여 대등한 칼슘이온교환 능력을 가짐은 물론 100 g당 50 ml 이상의 우수한 흡유능력을 보여줌으로서 새로운 공정의 경제성 및 유효성이 검증되었다.

산채류의 식이섬유 함량과 물리적 특성 (Dietary Fiber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Vegetables)

  • 박종숙;이원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0-124
    • /
    • 1994
  • 9종의 산채류를 분석한 결과 건물량으로 33~55%의 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그 중 달래는 22%의 수용성 식이섬유와 49%의 총 식이섬유를 함유하였고 더덕은 21%의 수용성 식이섬유와 55%의 총 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야생더덕은 재배더덕에 비하여 8% 더 많은 식이섬유를 함유하였다. 산채류의 수분 흡착력은 밀기울이나 콩식이섬유보다 높았으나 oil 흡착력은 낮았다. 산채류를 분쇄하여 여과 처리한 결과 더덕의 경우 총 식이섬유 함량이 55%에서 83%로, 달래의 경우 49%에서 69%로 증가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lastic/Gelatin Bilayer Active Packaging Film with Antibacterial and Water-Absorbing Functions for Lamb Preservation

  • Shijing Wang;Weili Rao;Chengli Hou;Raheel Suleman;Zhisheng Zhang;Xiaoyu Chai;Hanxue Ti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128-1149
    • /
    • 2023
  • In order to extend the shelf life of refrigerating raw lamb by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preventing the oxidation of fat and protein, and absorbing the juice outflow of lamb during storage, an active packaging system based on plastic/gelatin bilayer film with essential oil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petroleum-derived plastic films, oriented polypropylene (OPP),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were coated with gelatin to make bilayer films for lamb preserv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xygen, moisture, and light barriers of the bilayer films compared to the gelatin film. The OPP/gelatin bilayer film was selected for further experiments because of its highest acceptance by panelists. If the amount of juice outflow was less than 350% of the mass of the gelatin layer, it was difficult for the gelatin film to separate from lamb. With the increase in essential oil concentration,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decreased. The OPP/gelatin bilayer films with 20% mustard or 10% oregano essential oils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in lamb and displayed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Essential oil decreased the brightness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bilayer films and made the film yellow.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active packaging system based on OPP/gelatin bilayer film was more suitable for raw lamb preservation than single-layer gelatin film or petroleum-derived plastic film, but need further study, including minimizing the amount of essential oil, enhanc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gelatin film after water absorption.

Alkaline Protease에 의한 닭 간 단백질의 분해 (Alkaline Protease Hydrolysis of Chicken Liver for Food Utilization)

  • 이근택;박숙영;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0
    • /
    • 1991
  •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한 부존자원이라 할 수 있는 닭 간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lkaline protease로 가수분해 시켰다. 가수분해시 최적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온도, 시간, pH 및 효소 첨가량(E/S ratio)의 조건을 검토하고 수분과 기름의 흡수성, 유화활성, 점도등의 기능성을 조사하였으며 냄새와 색에 대한 관능검사를 시행하였다. Alkaline protease로 닭 간 단백질을 가수분해 시켰을 때 온도 $60^{\circ}C$, pH8.0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고, 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수분해도는 증가하였다. 수분과 기름의 흡수성은 수분 흡수성에 있어서 0시간에서만 낮은 값을 보여주었고 반응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점도는 증가하였다. 가수분해 1/2시간에서 유화활성도는 가장 낮았고 수분흡수력은 높았으며 1시간 이후에는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동결건조된 닭 간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냄새와 색깔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별차이가 없었으나 색깔에서는 밝기와 붉은색에서 유의성이 있었으며 가수 분해는 닭 간의 밝기를 증가시키면서 녹색을 약간 있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추출 pH가 분리대두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traction pH on the Functionality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산성(pH 2.0, 3.0), 중성(pH 7.0) 및 알칼리성(pH 10.0, 12.0)영역에서 각각 추출된 SPI들의 기능성을 상호비교하였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93.31%로 최고값을, pH 7.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73.93%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0.36%로 최소값을,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47.54%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SPI의 기능성(용해도,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기포안정성, 유화형성력 및 겔형성력)은 대두단백질 추출시 추출용액의 pH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pH 2.0과 3.0에서 추출된 SPI의 용해도는 산성영역에서 크게 나타났고 pH 3.0과 7.0에서 추출된 SPI는 중성 영역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나 pH 2.0, 3.0, 7.0, 10.0 및 12.0에서 추출된 SPI는 모두 알칼리성 영역(pH 9.0-10.0)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 2.0과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및 기포안정성은 다른 pH에서 추출된 SPI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유화력의 경우 추출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유화력이 증가하였다.

  • P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기반 3D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제조 및 오일 흡착 특성 (Preparation and Oil Absorption Properties of PAN Based 3D Shaped Carbon Nanofiber Sponge )

  • 주혜원;강진혁;박종호;고재경;국윤수;남창우;김병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17-22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제조 및 오일 흡착 거동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는 물과 기름의 혼합용액에서 우수한 선택적 오일 흡착 능력을 보였으며, 탄소나노섬유 스펀지의 재사용시 흡착 능력도 확인하였다. 또한, 흡착제 내부구조에 정렬된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빠른 오일 흡착 거동을 보이는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후 사용 폐기된 탄소나노섬유 스펀지는 질소 분위기에서 800℃로 열처리하여, 4-아미노페놀의 전기화학적 검출을 위한 센서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생육단계별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Sources from Peel of Asian Pear Frui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선;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05-911
    • /
    • 2005
  • 상품성이 낮은 배 그리고 가공 부산물의 하나인 과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생육단계별 풍수, 신고, 추황배의 과피로부터 식이섬유원을 분리하여 이들의 성분을 분석하고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3 품종의 3 생육단계에서 과피로부터 분리한 식이섬유원의 총식이섬유 함량은 74.00-88.38%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그 중 92-94%가 불용성 성분이었다. 분리된 식이섬유원에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은 1.64-4.46mg/g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과실의 성숙도에 따라 잔존하는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평균입자의 크기는 $255-381{\mu}m$이었고 동일한 품종내에서 성숙된 과실일수록 분리된 식이섬유원의 입자는 증대하였으며 이에 따라 유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윈의 밀도가 유의적으로 작았다. 보수력은 3.11-6.03g water/g solid이었고 신고와 추황배에서는 유과, 미숙과, 성숙과의 순으로 점차 증가하였으며 oil 흡착력은 1.98-2.57g oil/g sample로 보수력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보수력이 낮은 유파의 식이섬유원이 oil 흡착력은 컸다. 식이섬유원의 입자의 크기는 밀도, 보수력, oil 흡착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성분은 Cellulose와 uronic acid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 과피에서 분리한 식이섬유원은 총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생리활성 물질인 페놀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미숙과, 성숙과 식이섬유원은 비교적 높은 보수력을 갖고 있어 새로운 식이섬유원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깨와 들깨 단백질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and Perilla Protein Isolate)

  • 박현숙;안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50-356
    • /
    • 1990
  • 참깨와 들깨 단백질을 알칼리에서 추출시킨 후 참깨는 pH6.0, 들깨는 pH4.0에서 침전시켜 분리 단백질을 제조하여 그들의 기능성 즉, 용해도, 유화성, 기포성, 유지 및 수분 흡착력 등을 pH와 염농도를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질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6.0에서, 들깨와 대두 단백질은 pH4.0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이었고, pH2.0과 pH8.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0.1M NaCl 첨가시에는 참깨 단백질과 들깨 단백질의 경우 전 pH 범위에서 단백질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유화력은 각 시료 단백질의 등전점 부근에서 가장 낮았으며 0.1M NaCl 첨가시에는 모든 시료들의 유화력이 증가되었으나 0.5M NaCl 농도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유화안정성은 유화력과 비슷한 크기로 나타나, $80^{\circ}C$에서 30분 가열에서도 이들 단백질이 열에 안정함을 보이었다. 기포 형성력은 참깨와 들깨 단백질이 대두 단백질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0.1M NaCl과 0.5M NaCl 첨가시에는 모두 그 값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었다. 기포 안정성은 대두 단백질이 10분 이내에 크게 감소된 반면 참깨와 들깨 단백질은 30분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유지 흡착력은 들깨 단백질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분 흡착력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