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ff-line learning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6초

사이버학습과 인쇄 매체 학습의 자율적 학습 효과성 비교 (Comparison of Autonomous Learning Effectiveness between Cyber Study and Off-line Learning)

  • 한정윤;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07-513
    • /
    • 2013
  • 본 연구는 사이버학습에서 온라인 학습매체와 서책형 학습매체를 활용했을 때의 자율적 학습 효과성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학습 내용의 온 오프라인 학습 매체를 동질 집단에 제공하고, 통제된 환경에서 자율적인 학습을 시행한 후 학습 결과물인 객관적 성적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반기와 후반기 학습 결과를 취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학습이 오프라인 인쇄 매체를 이용한 학습보다 자율적인 학습 면에서 효과성이 높다고 볼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에 온라인 학습의 자율적인 학습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외교육의 비용-효과 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 Curricula Education)

  • 김병주;김선연;김정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9-2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curricula education(ECE). Based on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on-line ECE is defined as internet based learning, and off-line ECE is defined as on-site learning out of school such as private cram schools and private tu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x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received ECE. Off-line ECE is more dominant than on-line ECE. Second, cost for off-line ECE is more expensive than on-line ECE. Third, off-line ECE is more effective than on-line ECE, when cost is ignored. Fourth, on-line ECE is more cost-effective than off-line ECE.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대학에서 오프라인 강의 병행에 대한 효과- (How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Influence Learning Attitudes: Effectiveness of Conducting Off-line Lectures at a Cyber University)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492-499
    • /
    • 2009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효과적 학습을 위해 온라인 상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와 오프라인 강의가 콘텐츠 품질을 인식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다속성 태도모델(multiattribute attitude model)의 속성만족도-중요도 모델(attribute satisfaction-importance model)을 중심으로 온라인 학습에 있어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오프라인 강의를 병행했을 때의 학습태도(learning attitude) 형성의 변화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콘텐츠 만족도에 대한 신념(belief)은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로 음성강의, 동영상강의, WBI방식 강의로 나누어 평가한다. 여기에 웹상의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를 병행했을 때 형성되는 학습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온라인 대학에서 오프강의 병행에 대한 효과- (A study on how the quality of on-line contents influence learning attitudes: Effectiveness of conducting off-line lectures at a Cyber University)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377
    • /
    • 2009
  • 본 연구는 학습자의 효과적 학습을 위해 온라인 상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와 오프 강의가 콘텐츠 품질을 인식하는데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다속성 태도모델(multiattribute attitude model)의 속성만족도-중요도 모델(attribute satisfaction-importance model)을 중심으로 온라인 학습에 있어 콘텐츠 품질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오프 강의를 병행했을 때의 학습태도(learning attitude) 형성의 변화에 대한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콘텐츠 만족도에 대한 신념(belief)은 콘텐츠 품질을 구성하는 요소로 음성강의, 동영상강의, WBI방식 강의로 나누어 평가한다. 여기에 웹상의 강의와 오프강의를 병행했을 때 형성되는 학습태도의 변화에 대해 연구한다.

  • PDF

주기적 외란의 제거를 위한 빠른 오프라인 학습 제어 (A Fast Off-line Learning Approach to the Rejection of Periodic Disturbances)

  • 장정국;김남국;이호성
    • 정보저장시스템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167-172
    • /
    • 2007
  • The recently-developed off-line learning control approaches for the rejection of periodic disturbances utilize the specific property that the learning system tends to oscillate in steady state. Unfortunately, the prior works have not clarified how closely the learning system should approach the steady state to achieve the rejection of periodic disturbances to satisfactory level. In this paper, we address this issue extensively for the class of linear systems. We also attempt to remove the effect of other aperiodic disturbances on the rejection of the periodic disturbances effectively. In fact, the proposed learning control algorithm can provide very fast convergence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aperiodic disturbance.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lity of our work is demonstrated through mathematical performance analysis as well as various simulation results.

  • PDF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 김수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411-41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Blended learning 수업에서 간호학생의 만족도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특론 I (1)' 과목을 수강한 간호학과 4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42부 중 122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는 오프라인 수업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온라인 수업, Blended learning 수업 만족도 순이었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고 오프라인 수업 만족도는 주관적 성적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Blended learning 수업 중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학생들은 기술지원 및 시스템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Blended learning 수업 방안과 Blended learning에 대한 대학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실습 적응을 위한 e-learning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 이여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93-60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junior), to evaluate the program, and to find out its effects on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Methods: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ADDIE model(analysis, design, develop, implement, evaluate) using an Active Tutor Program. Twelve nursing professionals and 31 nursing students(learners) evaluated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Thirty on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both on-line and off-line. Results: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consisted of 5 parts including 'Taking a lesson in gastrointestinal tract', 'Fundamental nursing skill and reading a medical chart', 'Taking a ward orientation by head nurse', 'Clinical practice with preceptors', and 'Writing for case report'. Adapting scores to clinical practicum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t=-5.76, p=.000). Conclusion: The e-learning orientation program of on-line and off-line has an effect on adapting to clinical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 PDF

진화 적응성을 이용한 신경망의 학습률 선택 (Off-line Selection of Learning Rate for Back-Propagation Neural Ntwork using Evolutionary Adaptation)

  • 김흥범;정성훈;김탁곤;박규호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52-56
    • /
    • 1996
  • 신경망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망의 학습속도는 학습율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적인 학습율 선택 방법들은 몇몇 결정적인 방법들을 제외하곤 경험적인 방식에 의존해 왔다. 경험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좋은 학습율을 찾아내는 것은 배우 지류하고 어려운 일이다. 또한 결정적인 방법들은 학습율의 질을 보장하지는 못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새로운 학습율 선택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방법은 진화 프로그래밍기법을 사용하여 통계적인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좋은 학습율을 찾을 수 있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우리의 방식이 경험적인 방식들이나 결정적인 방식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 PDF

A Structure of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Using On/Off-line Mixed Estimations Based on Multiple-Choice Items

  • Oh, Yo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1호
    • /
    • pp.51-5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structure of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to study for a test formalized by uniform multiple-choice using on/off line mixed estimations as is the case of Driver :s License Test in Korea. Using the system a candidate can study toward the license through the Internet (and/or mobile instruments) within the personalized concept based on IRT(item response theory). The system accurately estimates user's ability parameter and dynamically offers optimal evaluation problems and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estimated ability so that the user can take possession of the license in shorter time. In order to establish the personalized e-Learning concepts, we build up 3 databases and 2 agents in this system. Content DB maintains learning contents for studying toward the license as the shape of objects separated by concept-unit. Item-bank DB manages items with their parameters such as difficulties, discriminations, and guessing factors, which are firmly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in Content DB through the concept of object parameters. User profile DB maintains users' status information, item responses, and ability parameters. With these DB formations, Interface agent processes user ID, password, status information, and various queries generated by learners. In addition, it hooks up user's item response with Selection & Feedback agent. On the other hand, Selection & Feedback agent offers problems and content object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user's ability parameter, and re-estimates the ability parameter to activate dynamic personalized learning situation and so forth.

모바일 교육 시스템을 위한 효율적인 영상 검색 구축 (Effective Image Retrieval for the M-Learning System)

  • 한은정;박안진;정기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58-670
    • /
    • 2006
  • 교육 매개체의 디지털화를 위해 정보 통신망과 기술을 본격적으로 교육에 도입함으로써 교육의 패러다임이 e-learning(electronics learning)으로 이동하고 있다. 그러나 e-learning 콘텐츠는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서만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할 때 교육받기 힘든 단점이 있으며, 기존 오프라인 콘텐츠를 e-learning 콘텐츠로 재구성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적인 2차원 시각 정보만을 제공하는 기존 오프라인 콘텐츠의 그림 영상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동적인 인터랙션과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융합할 수 있는 교육용 모바일 콘텐츠 (education mobile contents: EMC)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영어 교육 콘텐츠는 기존 오프라인 콘텐츠의 그림 영상을 저해상도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로 인식하기 위해 모양 기반의 영상 검색 방법을 이용하며, 수행속도와 크기와 기울기 변화에 강건한 시작점 일치를 통한 차분 체인코드 (differential chain code)를 사용한 DTW(dynamic time warping)를 이용한다. EMC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오프라인 콘텐츠에 적합한 온라인 콘텐츠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