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ntobutis platycephala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수컷의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 발달과 혈중 생식소 스테로이드의 변화 (Testicular Development and Serum Levels of Gonadal Steroids Hormone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Male Kor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 이원교;양석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75-485
    • /
    • 1998
  •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수컷의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고자 1995년 1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정소의 발달양상 및 혈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정소의 모양은 7월부터 10월까지는 콩깍지 모양이었는데, 11월부터는 후반부가 비대해져 올챙이와 유사한 형태였다. GSI는 7월부터 9월까지 0.14~0.18였으며, 10월에 $0.43{\pm}0.04$로 증가하여 2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월에는 $0.52{\pm}0.09$로 증가하였으며, 5월까지는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가, 6월에는 $0.28{\pm}0.05$로 낮아졌다.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의 생식세포 발달은 전반부, 경계부, 후반부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7월의 대부분 개체의 정소는 세정관이 없었으며, 정자형성과정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상태로 정원세포들만을 볼 수 있었다. 전반부에서 정자형성단계의 세정관들은 8월에 출현하여 9월부터 12월까지는 80% 이상이었으며 1월부터 3월까지는 점차적으로, 4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6월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2월부터 출현하여 3월까지 점차적으로, 4월에 80%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에 90%로 년 중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원세포들은 7월에 100%, 8월에 65% 였으나 나머지 기간에는 20%이하로 년 중 존재하였다. 경계부에서도 8월부터 정자형성단계 세정관이 출현한 후 매월 증가하여 11월에 82%에 이르렀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2월까지는 18% 이하였으나, 3월부터 6월까지 29%~57%의 수준을 보였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3월부터 6월까지 12%~25%로 나타났다. 정원세포는 8월에 85%, 9월에 67%, 10월에 35%, 11월에 10%로 감소하였으며, 1월부터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4월에 50%를 보인후 6월까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수개의 정원세포를 지닌 세정관이 7월부터 출현하였다. 정자형성단계에 세정관은 8월에 80%, 9월에 85%였으나 10월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서 2월까지는 10%이하였으며,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8월에 출현하여 10월부터 급격히 증가해 11월에는 75%에 이르렀고 12월에는 15%로 급격히 감소하여 3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4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12월에 82%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까지 85%~9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정원세포들은 8월에 15%로 감소하였으며 10월부터 3월까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월부터 다시 출현하여 6월까지 10%이하에 머물렀다. 혈중 testosterone (T)의 농도는 8월부터 완만하게 증가하여 11월에 $0.61{\pm}0.09 ng/m\ell$ 였으며, 12월부터는 $3.99{\pm}1.22 ng/m\ell$로 급격히 상승하여 3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4월에 $0.52{\pm}0.14ng/m\ell$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5월에 $0.17{\pm}0.13 ng/m\ell$로 낮아진 후 7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은 12월에 $0.19{\pm}0.01 ng/m\ell$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4월까지는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고, 5월에 $0.38{\pm}0.03 ng/m\ell$로 급격히 증가하여 peak에 달하였다. 6월에는 $0.19{\pm}0.04 ng/m\ell$로 낮아졌으며, 11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사리는 정소의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른 발달양상을 보였다. 즉 전반부에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11월은 성숙초기, 12월~3월은 성숙중기, 4월~5월은 성숙후기, 6월은 기능적 성숙기로 구분되었다. 경계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 증식기, 8월~10월은 성숙초기, 11월~2월은 성숙중기였으며, 3월~6월은 성숙후기, 기능적 성숙기, 후번식기의 특징이 동시에 출현하였다. 후반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9월은 성숙중기, 10월은 성숙후기, 11월은 기능적 성숙기, 12월~6월은 후번식기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생식주기의 변화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담수어류 (A Study on the Freshwater Fishes in the Region of Sobaeksan National Park)

  • 이승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3-200
    • /
    • 1993
  • 국립공원에서 자연보존의 일환으로 기초자료를 축적하기 위하여 1992년 5월부터 1992년 10월까지 소백산국립 공원 일대의 9개 지소에서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에는 13종의 한국고유종을 포함하여 9개 과에 속하는 27종의 담수어류가 분포하였다. 한강수계에서는 15종이 낙동강 수계에서는 17종이 분포하였고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종은 6종뿐이었다. 이 지역의 우세종은 갈겨니, 피라미, 버들치 그리고 동사리였다. 갈겨니. 피라미, 버들치를 포함한 11종에서 형태적 이상을 나타낸 개체가 출현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양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조사와 사려 깊은 대책이 절실히 요망된다.

  • PDF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 Seo, Jin-Won;Kim, Hee-Sung;Yi, Hye-Suk;Jeong, Sun-A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95-501
    • /
    • 2009
  •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7~2008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Nakdong River.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study sites was 3,671 representing 7 families 24 species.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2 introduced speci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caught in the Gam Stream, a total of 57 individuals were found at shallow depth (0.14~0.46 m) and run (0.239~0.585m $sec^{-1}$). As a result of sieve analysis, stream beds consisted of about 1% gravel and 99% sand (83.4% coarse sand, 15.6% find sand). Therefore, Gobiobotia naktongensis seemed to inhabit shallow-run with coarse sand bed than deep-pool microhabitat. The findings indicate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efficiency of fish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with understanding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in microhabitat including protected species.

태백산 일대 계류의 어류상 (Fishfauna of the Taebaeksan Area Streams)

  • 심재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01-407
    • /
    • 2002
  • 태백산 일대 주변 계류의 어류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강수계에서는 3목 4과 8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는데 이중 버들치(R. oxycephalus)는 각 지점별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 어종은 금강모치(R. kumgangensis)와 미유기(s. microdorsalis)의 2종이었다.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동남천의 상지류인 정암사 계곡의 일부에서 서식하고 있었다. 낙동강수계에서는 4목 7과 74종이 채집 또는 확인되었다. 출현도와 개체수에서 버들치(R. oxycephalus)가 우점이고 갈겨니(Z. temmincki)가 차우점이었다. 고유어종은 8종으로 57.1%의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천연기념물이며 특정보호야생동물로 지정된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백천계곡과 현동천 상류의 계곡에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의암호의 어류군집 (Study of the Fish Community of Lake Uiam)

  • 최재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3
    • /
    • 2005
  • 2003년 7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의암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의 동태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3과 41종 4,706개체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각시붕어 (R. uyekiid)을 포함하여 줄납자루 (A. yamatsutae), 중고기 (S. nigripinis morii), 긴몰개 (S. gracilis majimae), 몰개 (S. japonicus coreanus), 돌마자 (M.yaluensis), 참종개 (I. koreensis), 새코미꾸리 (K. rotundicaudata), 미유기 (Silurus microdorsalis), 퉁가리 (L. andersoni), 동사리 (O. platycephala) 등 11종 (26.8%)이었다. 우점종은 누치 (H. labeo) 16.2%, 피라미 (Z. platypus) 13.8%, 줄납자루 (A. yamatsutae) 11.8%, 긴몰개 (S.gracilis majimae) 10.4%, 돌고기 (P. herzi) 5.8%, 빙어 (H.olidus) 4.3% 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총 92,057.6 g이 채집되었고 누치 (H. labeo)가 35,868.8 g (3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잉어 (C.carpio) 22,471 g (24.4%), 큰입우럭(M. salmoides) 5,446.7 g (5.9%),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5,163.0 g (5.6%), 떡붕어 (C. cuvieri) 3,328.0 g (3.6%), 피라미 (Z. platypus) 2,537.4 g (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암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giurinus),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 등 9종이었다. 이 중 이스라엘잉어 (C. carpio (Israeli type)), 떡붕어 (C. cuvieri), 무지개송어 (S. gairdneri irideus), 파랑볼우럭(L. macrochirus), 큰입우럭(M. salmoides)은 국외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꾹저구 (C. urotaenius), 갈문망둑 (R. giurinus)은 국내 다른 수계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영산강 수계 댐호의 육수생물학적 비교연구 ( 1 ) - 어류상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Limno-biological Aspects of the Dammed Lakes in the Youngsan River in Korea - Centering on Fish Fauna -)

  • Nah, Chang-So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1호
    • /
    • pp.51-65
    • /
    • 1989
  • Some aspects of limno-biology of the five dammed lakes such as Tamyang, Changsong, Kwangju, Naju, and Youngsan Lake along the Yongsan River were investigated from June 1986 to July 1988 for the comparison on the lentic ecosystems in relation to the fish fauna. Sixty four fish species representing 48 genera and 21 families of fishes were collected in these dammed areas, which included 29 species of the family Cyprinidea and 40 speaies of the primary fresh-water fishes. Among, these, 12 species such as Rhodeus Acheilognothus yamatsutae, A canathorhodeus gracilis, Sarcocheilichthys nigripinis morii, S. variegatus wakiyae,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ongicorpus sp, Liobagrus mediadiposalis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are enddmic to Korea. Leiocassis nitidus and Gasterosteus aculeatus which occur in these water areas take note of the zooge rographic study of Korea. The fish species in each of the dammed lakes is in proportion of the scale of the lakes such as 32 species in Thamyang, 40 species in Changsong, 24 species in Kwangju, 35 species in Jaju, and 52 species in Yongsan Lake. The dominant fish species of the 4 upper dammed lakes of Thamyang, Changsong, Kwangju and Naju Lake are Zacco platypus and Rhodeus uyekii, while those of Youngsan Lake are Hemiculter eigenmanni and Carassius auratus. This difference of fish species of those areas suggests that the upper damed lake differ from the lower dammed lakes in the habitable condition of fishes. The migratory fish species have significantly declined and will continue to decline in both population size and number of species in the dammed lakes in near future as a result of the dam construction barriers in the river estuary. The major migratory fishes of this water area are as follows; Anguilla japonica, Plecoglossus altivelis, Hypomesus olidus, Gasterosteus aculeatus, Konosirus Punctatus, Coilia ectens, Hemirhampus sajori, Mugil cephalus. Acanthogobius flavimanus, and Takifugu ocellatus.

  • PDF

춘천호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Structure in Chuncheon Reservoir)

  • 최재석
    • 환경생물
    • /
    • 제23권2호
    • /
    • pp.173-183
    • /
    • 2005
  •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춘천호의 어류군집 구조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 13과 41종 10,821개체이었다. 한국고유종은 어름치 (H. mylodon), 줄납자루 (A. yamatsutae), 가는돌고기 (P. tenuicorpa), 참중고기 (5. variegatus wakiyae), 얼룩동사리(O. interrupta) 등 16종$(39.0\%)$이었다. 우점종은 빙어 (H. olidus) $30.7\%$, 아우점종은 누치 (H. labeo) $14.7\%$였고, 우세종은 피라미 (Z. plarypug) $10.6\%$, 갈겨니 (Z. temminckii) $9.7\%$, 큰입우럭 (M. salmoides) $4.8\%$, 밀어 (R. brunneus) $4.3\%$등이었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은 누치(H. labeo) $34.63\kg$, 빙어 (H. olidus) 19.01kg, 잉어 (C. carpio) 12.77kg, 끄리 (O. uncirostris amurensis) 11.28kg, 피라미 (Z. platypus) 8.04kg, 백련어 (H. molitrix) 5.80kg, 큰입우럭(M. salmoides) 4.62k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춘천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모두 7종이었고, 이 중 떡붕어 (C. cuvieri), 백련어 (H. molitrix), 큰입우럭 (M. salmoides)은 외래도입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빙어 (H. olidus), 산천어 (O. masou masou), 꾹저구 (C. urotaeni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이입된 종이다.

탐진강수계 고도 및 하구로부터 거리에 따른 어류구성 및 분포특성 (Fish Distribution and Compositions Along with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 문운기;배대열;서진원;안광국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2-522
    • /
    • 2012
  • This study is focused on fish fauna and distributional features along with physical gradients and stream orders in the Tamjin River basin, Korea. Fish sampling and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for 2 years from 2009 to 2010.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collected were 47 species of 16 family. The group of cyprinidae was mostly abundant. Both fish abundance and biotic index were declined with increasing altitude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Two species of Zacco temminckii and Pungtungia herzi were prevalent in most of sampling sites and showed no altitudinal and longitudinal differences. Most other species, however, were spatially restricted to specific regional altitudes. Several species including Zacco platyp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P. herzi were broadly distributed from river mouth to 50 km. Eight species including Z. temminckii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only appeared in over 10 km from the river mouth. Both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Pseudobagrus koreanus were classified as "upstream dewelling species" observed only in over 30 km from the river mouth. High proportion of tolerant and omnivorous species were more dominated in the downstream zone of the dam, whereas intolerant and insectivorous species were abundant in the upstream zone of the dam. The variable of stream ord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fish species and total individuals collected. Sensitive species including insectivore had a declining tendency with increasing stream order, while tolerant specie including omnivore species had relatively increased with stream order. Overall, our study suggested that fish distribution considerably depends on altitudinal gradient and longitudinal distance from the river mouth as well as physical habitat.

태화강의 어류군집에 대한 병원체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thogens and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Taewha River)

  • 김진도;양현;조용철;김이청;조미영
    • 환경생물
    • /
    • 제28권3호
    • /
    • pp.143-149
    • /
    • 2010
  • 2007년 3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울산 태화강에 서식 하는 어류의 군집 구조 및 병원체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태화강의 3개 조사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어류는 모두 총 9목 17과 35종이었으며 개체수로서의 우점종은 끄리로서 39%였으며 다음으로 누치가 30.9%였다. 한국고유종은 전체의 20.8%로서 참몰개, 참갈겨니, 기름종개, 꺽지, 동사리의 5종이었다. 누치와 끄리와 같은 대형 어류가 조사지점 2인 삼호교 인근 수역에 계절에 따라 모여들었다. 220개체의 어류에 대한 2종의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은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어류에 병원성이 있다고 알려진 세균은 분리되지 않았다. 어류 병원성 기생충은 총 7종으로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특히 트리코디나충은 매월 검출이 되었으며 그 감염 밀도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하천의 일정지점에서의 일시적인 어류 과밀현상은 질병에 의한 대량폐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PDA 활용 유량측정 신뢰도 향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ystem for Increasing Confidence on the Measurement of Discharge)

  • 정승권;김남일;김재복;박재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9-214
    • /
    • 2005
  • 수위, 우량, 유량, 유사량 등 수문자료중에서 유량자료는 가장 많은 쓰임새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도가 낮은 이유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유량측정자료의 신뢰도가 낮은 이유는 크게 5가지로 들 수 있는데 1)측정 수행자의 잦은 교체 등에 따른 조사역량 부족, 2)수행자별 유량측정 및 분석방법 상이, 3)장비의 유속검정 등 관리미흡 및 성능 저하, 4)유량측정 상당시간 경과후 유량측정성과 정리로 오류 수정 곤란, 5)유량측정성과의 체계적인 관리 미흡 등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현장에서의 유량측정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웹솔루스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용역을 통해 현장의 유량 측정 결과를 PDA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중앙의 서버로 전송하여 과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측정자료의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유량측정자료를 측정하도록 지원하는 유량측정 신뢰도 향상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한국수자원공사와 공동으로 두개의 특허출원을 하였다(특허출원: 10-2002-0049188, 10-2005-11550). 현재 이 시스템은 2002년 8월 착수를 시작으로 9개월이 지난 2003년 3월에 시험판의 개발을 완료하고, 용담댐 유역의 주천교 등 5개 지점에 시험 적용하면서 많은 개선과 보완을 거쳐 2005년 현재에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13개의 댐과 1개의 국가하천에 대하여 총 59개의 관측지점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현재(2005. 2월 기준)까지 1,660여건 이상의 전자야장이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었으며, 유량측정성과 DB는 웹시스템(http://river.kowaco.or.kr)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본 시스템 도입을 통해 유량측정성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향후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오랜기간에 걸쳐 축적된 많은 양의 유량자료는 수자원관리에 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개발계획 및 유역의 특성 등을 조사하고, 시험유역의 선정기준을 수립하여 연구의 목적과 부합되는 지구를 시험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시험유역에 대하여 수문$\cdot$수질 조사 계획을 수립하고, 계측시설을 설치하여 시험운영을 실시하고, 향후 시험유역의 수문계측 및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llele 빈도와 carr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