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onat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 김지석;곽정인;노태환;이병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9-218
    • /
    • 2013
  •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Discovery of the vagrant darter, Sympetrum vulgatum (Odonata: Libellulidae) in Korea

  • Jeong Sun Park;Jong Moon Kim;Hyeong Gi Jeon;Sung Soo Kim;Jee-Young Pyo;Iksoo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8권3호
    • /
    • pp.114-123
    • /
    • 2024
  • Among the 17 species of Sympetrum 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Sympetrum vulgatum Linnaeus, 1758 had not been recorded since its first record in 1932 by Doi,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misidentification. We observed a total of four specimens on September 21, 25, 30, and November 1 2022 in Goseong, Gangwon-do and collected each one male and female. We described th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pecies, conducted molecular analysis using mitochondrial COI, and addressed the controversial past record regarding its presence on the Korean Peninsula.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알의 부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Hatching Rate of Nannophya pygmaea eggs (Odonata: Libellulidae))

  • 김동건;염진화;윤태중;배연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81-383
    • /
    • 2006
  •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부화율을 5개의 온도조건($10,\;15,\;20,\;25,\;30^{\circ}C$)에서 조사하였다. 꼬마잠자리의 알은 2006년 7월 경상북도 문경시 일대의 한 작은 습지에 서식하는 암컷 성충으로부터 채취하였다. 부화율은 100일 동안 부화한 유충의 수로부터 구하였다. 꼬마잠자리의 알은 20, 25 및 $30^{\circ}C$의 온도조건에서 각각 83, 89 및 76%가 부화하였으며, $10^{\circ}C$$15^{\circ}C$에서는 실험기간동안 부화하지 않았다. 꼬마잠자리 알의 부화 임계온도는 $14.3^{\circ}C$로 추정되었으며, 다른 온대성 잠자리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못 조성년도와 크기에 따른 잠자리 군집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y According to Age and Size of Pond)

  • 김지석;피재황;정태준;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301
    • /
    • 2014
  • 서울시내 15개 인공연못의 조성연도와 연못 면적에 따른 잠자리 군집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잠자리는 총 6과 36종이었으며, 잠자리과가 19종으로 가장 많았다. 출현빈도와 밀도를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치를 측정한 결과, 아시아실잠자리와 밀잠자리가 가장 높았으며, 큰청실잠자리, 애기좀잠자리, 먹줄왕잠자리 등 16종은 상대적으로 희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년수에 따라 우점종은 1~3년는 아시아실잠자리, 4~6년는 된장잠자리-밀잠자리-고추좀잠자리, 10년 이상은 방울실잠자리-아시아실잠자리로 나타나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조성연도와 종다양성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10년 이상이 지난 군집의 종다양성지수는 1~3년된 연못보다 높았다. 산란유형은 분산분석결과 10년 이상 된 인공연못이 식물 내 산란 종수와 타니산란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연못면적이 넓을수록 종다양성지수는 증가하였으며, 잠자리 종다양성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인공연못조성 면적은 $100{\sim}300m^2$내외로 판단되었다.

송현천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 (Pisces: Cyprinidae)의 섭식생태 (Feeding Ecology of the Endangered Endemic Species, Rhynchocypris semotilus (Pisces: Cyprinidae) in the Songhyeoncheon (Stream), Korea)

  • 권혁영;서형수;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8-76
    • /
    • 2024
  • 버들가지 Rhynchocypris semotilus의 섭식생태를 밝히기 위해 2022년 4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송현리의 송현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 내용물을 상대중요성지수(IRI)로 분석한 결과, 주로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의 날도래목(Trichoptera, 46.6%),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7.6%), 파리목(Diptera, 12.6%), 잠자리목(Odonata, 9.7%), 강도래목(Plecoptera, 2.8%), 딱정벌레목(Plecoptera, 0.6%), 노린재목(Hemiptera, 0.1%) 순으로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상대중요성지수(IRI)를 계산하여 경향을 분석한 결과, 당년생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을 주로 섭식하지만 성장함에 따라 이들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비교적 크기가 큰 날도래목과 잠자리목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여 만 3년생 이상에서는 가장 중요한 먹이원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먹이 크기도 당년생의 개체가 2.8±2.5 (0.6~9.0) mm로 가장 작았으나 만 3년생 이상에서는 5.1±6.1 (1.1~17.0) mm로 점차 증가하였다. 먹이 선택성을 조사한 결과 강도래목(+0.78), 날도래목(+0.66), 딱정벌레목(+0.66), 노린재목(+0.03)은 양의 선택성을, 단각목(Amphipoda, -1.00), 하루살이목(-0.24), 잠자리목(-0.13), 파리목(-0.05)은 음의 선택성을 보였다.

Influene of aquatic macrophytes on the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in shallow wetlands (Upo Wetland, South Korea)

  • Jeong, Keon-Young;Choi, Jong-Yun;Jeong, Kwang-Se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185-194
    • /
    • 2014
  • Seasonal monitoring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acrophyte bed structure on the composition and trophic interaction of aquatic organisms (algae, zooplankton, macro-invertebrate, and fish) in a shallow wetland (Upo Wetland, South Korea). Distinct division of the plant assemblage (reed zone and mixed plant zone) was observed. The reed zone was composed solely of Phragmites communis, whereas the mixed plant zone comprised a diverse macrophyte assemblage (Salvinia natans, Spirodela polyrhiza, Trapa japonica, Ceratophyllum demersum, and Hydrilla verticillata). Most of the aquatic organisms were more abundant in the mixed plant zone than in the reed zone, and thi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seasonal development of macrophyte cover.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seasonal interactions among aquatic organisms. The majority of aquatic animal (zooplankton, Odonata, and Ephemeroptera) were dependent on epiphytic particulate organic matter (EPOM), and the dependence on EPOM gradually increased toward autumn. Interestingly, Lepomis macrochirus consumed Ephemeroptera and zooplankton in both macrophyte zones, but Micropterus salmoides depended on different food items in the reed zone and the mixed plant zone. Although, M. salmoides in the reed zone showed food utilization similar to L. macrochirus, it consumed Odonata or small L. macrochirus in the mixed plant zone. Based on these results, it appears that differences in the structure of the two macrophyte zones support different assemblages of aquatic organisms, strongly influencing the trophic interactions between the aquatic organisms.

Nannophya koreana sp. nov.(Odonata: Libellulidae): A new dragonfly specie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 Bae, Yeon Jae;Yum, Jin Hwa;Kim, Dong Gun;Suh, Kyong In;Kang, Ji Hyo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1-10
    • /
    • 2020
  • A new dragonfly species, Nannophya koreana sp. nov., is described from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y and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c subunit I (COI) gene sequences. Nannophya materials from Korea and other areas in Southeast Asia were compared. The new species was previously recognized in Korea as the endangered pygmy dragonfly Nannophya pygmaea Rambur, 1842, which is widely distributed in insular and peninsular Southeast Asia. However, male adults of the Nannophya population in Korea could be distinguished from other N. pygmaea populations by the presence of a thick, incomplete black stripe on the lateral synthorax that terminated at half-length (vs. continuous to wing base), light orange (vs. red) anal appendages, and 4-5 (vs. 2-3) black teeth on the ventral superior appendages. In addition, the body length of N. koreana was generally larger (1.2-1.4 times) than that of N. pygmaea, regardless of life stage. COI gene sequences from the two groups exhibited substantial genetic differences (>12%), thereby sufficiently substantiating their differentiation. The taxonomic status, distribution, and habitat of the new species are discussed.

Effects of temperature and water management in rice fields on larval growth of Pantala flavescens (Odonata: Libellulidae)

  • Bosomtwe Augustine;Jinu Eo;Myung-Hyun Kim;Min-Kyeong Kim;Soon-Kun Choi;So-Jin Yeob;Jeong-Hwan Bang;Owusu Danquah Eric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536-541
    • /
    • 2021
  • Pantala flavescens is a dominant Odonata species in the rice fields in Korea.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on its larval growth and emergence, field an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Larval growth was also monitored in mono-cropping and double-cropping rice fields. The growth of larvae was monitored every week by measuring the head width. In the field experiment, no difference was found in larval growth and emergence between the control temperature and +1.9℃ of the control temperature. The larval growth was greater at 23℃ than at 20℃ laboratory temperatures, and no emergence was recorded at either temperature after eight weeks of monitoring. There was a quadratic relationship between larval growth and temperature in an incubator at five temperature regimes of 15, 20, 25, 30, and 35℃. Midseason water drainage caused the extinction of the existing individuals and newly hatched larvae dominated after re-watering in the rice fields. Larval size was greater in double-cropping fields than in mono-cropping fields in late July but the tendency was reversed in early Augu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mperature warming will directly promote the larval growth of P. flavescens and indirectly influence seasonal growth via changes in water management in rice fields.

금강에 서식하는 꺽지(Coreoperca herzi)의 식성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Geum River, Korea)

  • 변화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2-478
    • /
    • 2017
  • 꺽지의 식성 분석을 위해 금강에서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채집을 하였고 크기는 전장이 38~70 mm, 71~109 mm, 110 mm 이상 등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먹이생물은 수서곤충에 속하는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잠자리목(Odonata), 강도래목(Plecoptera), 딱정벌레목(Coleoptera), 파리목(Diptera), 날도래목(Trichoptera) 등과 어류 이었다. 꺽지는 수서곤충을 주로 섭식하였고 개체수에 있어 98.8%, 생체량은 55.8%, 상대중요성 지수는 9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성은 육식성이었으며 먹이 섭취 특성과 형태는 Keenleyside의 분류를 적용하면 육식포식자(stalker)에 속하였다. 꺽지의 주요 먹이원은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었고 잠자리류, 강도래류, 딱정벌레류, 어류 등은 희소하게 섭식하고 있었다. 꺽지는 체장이 증가함에 따라 섭식한 먹이의 생체량에 있어 하루살이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날도래류와 어류가 증가하는 먹이 전환이 발생 하였다. 딱정벌레류와 파리류는 큰 변동이 없이 일정하였다. 전반적으로 꺽지는 먹이생물의 구성이 계절에 따라 큰 변화는 없었다. 하천에 있어 꺽지의 자연증식과 서식지를 복원할 경우 주요 먹이원인 하루살이류, 파리류, 날도래류 등이 다량 서식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