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dbal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2초

Auditory and Visual P300 in ADHD Children with Higher and Lower IQ : Pilot Study

  • Wang, Sheng-Min;Jeon, Yang-Whan;Han, Sang-Ick;Park, E-J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4호
    • /
    • pp.211-218
    • /
    • 2011
  • Objectives : Intellectual impairment in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often associated with relatively severe cognitive dysfun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cognitive function using auditory and visual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children with ADHD with relatively higher and lower IQ. Methods : A total of 20 children aged 6-12 years with DSM-IV-TR diagnosis of ADHD-combined type were recruited. For 10 children with lower IQ (${\leq}$100) and 10 children with higher IQ (>100), auditory and visual P300 using oddball paradigm (target 0.2, standard 0.8, in probability) were employed. Results :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300 amplitude and latency between ADHD children with higher and lower IQ in both modalities. However, auditory P300 amplitude in the right parietal area (P8 electrod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verbal IQ in ADHD subjects (R=-.50, p<.05). Visual P300 amplitude in the left parietal area (P3 electro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formance IQ in ADHD subjects (R=.57, p<.01).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intellectual impairment, as evidenced by lower IQ, could not be associated with cognitive dysfunction reflected in event-related potential P300 in ADHD children. However, cognitive function reflected in intellectual subcomponents and P300 might be processed in a stimulus modality-specific and asymmetric pattern.

Identification of Pisolithus tinctorius from GNU Campus

  • ;;;;김희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33-36
    • /
    • 2009
  • Globose to clavate base-ball sized, pear shaped, fruiting bodies were found under the Himalayan cedar, Cedrus deodora at less fertile and poor sandy poor soil in the campu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Jinju, Korea. The fruiting body was at first, round to club-shaped, usually with a narrow, rooting base with yellowish rhizomorphs attached to it and lack a volva and a sterile base. The peridium of fruiting body was tough and crusty. The peridioles were white pea-like capsules in a blackish matrix. The color change to darker tints of brown at the top of the exterior peridium reflected the gradual ripening of the interior gleba and peridioles, which proceeded from the top downward to become a mass of spore dust, appearing as cinnamon brown at the apex of the vertical section. At around this stage, the peridium cracked open linearly, exposing the gleba with powdery spores mass released from overmatured peridioles. Spores were more or less round, warty or spiny, 10 to $12{\mu}m$; globose, cinnamon brown in powdery mass, with spines up to $2{\mu}m$ long. The thin peridium ruptured further in response to the disintegration of the peridioles, releasing the powdery spores, which proceeded until whole fruiting body disappeared leaving the dry spore dust coats in the vicinity. The absence of a capillitium is a distinctive characteristic that distinguishes the specimen from other puff-ball fungi and from most of earthballs. Based on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specimen was identified as Poslithus tinctorius.

주요우울장애 환자에서 자살사고 동반 여부에 따른 부적격 짝맞추기 음성파의 비교 (Comparison of Mismatch Negativity According to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이민지;이연정;황재욱;우성일;김민재;강병주;김영근;한상우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4-91
    • /
    • 2021
  • Objective : Mismatch negativity (MMN) is known to reflect several abnormalities of cognitive functioning.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MMN among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patients with or without suicidal ideation. Methods : Sixty-seven patients with MDD were recruited into this study. MMN was measured by a 64-channel 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oddball paradigm over the front-central area.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using the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and the Be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SSI-BECK).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o suicidal ideation (N=12) and suicidal ideation (N=55),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suicide ideation in SSI-BECK questionnaires. Results : The MMN latencies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MDD patients with suicidal ideation than in the MDD patents without suicidal ideation (p<0.05). The MMN amplitud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Suicidal ideation may be associated with longer MMN latencies, and it suggests that MMN may play a potential role in assessing the suicidal risk among MDD patients.

기계학습 기반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다중 분류에서 EEG-fNIRS 혼성화 기법 (An EEG-fNIRS Hybridization Technique in the Multi-class Classification of Alzheimer's Disease Facilitated by Machine Learning)

  • 호티키우칸;김인기;전영훈;송종인;곽정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05-307
    • /
    • 2021
  • Alzheimer's Disease (AD) is a cogni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memory impairment that can be assessed at early stages based on administering clinical tests. However, the AD pathophysiological mechanism is still poorly understood due to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different levels of AD severity, even using a variety of brain moda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esent a hybrid EEG-fNIRS modalities to compensate for each other's weaknesses with the help of Machine Learning (ML) techniques for classifying four subject groups, including healthy controls (HC) and three distinguishable groups of AD levels. A concurrent EEF-fNIRS setup was used to record the data from 41 subjects during Oddball and 1-back tasks. We employed both a traditional neural network (NN) and a CNN-LSTM hybrid model for fNIRS and EEG, respectively. The final prediction was then obtained by using majority voting of those models. Class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hybrid EEG-fNIRS feature set achieved a higher accuracy (71.4%) by combining their complementary properties, compared to using EEG (67.9%) or fNIRS alone (68.9%).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n EEG-fNIRS hybridization technique coupled with ML-based approaches for further AD studies.

  • PDF

청각 EPR의 내외생적 요소들과 성격의 상관에 관한 연구 (Correlations of Exogenous and Endogenous Components of Auditory ERPs to Psychometric Measures of Personality)

  • Park, Chang-Bum;Lee, Ji-Young;Chi, Sang-Eun;Park, Eun-Hye;Lee, Young-Hyuk;Kim, Hyun-Teak
    • 감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59-66
    • /
    • 2002
  • 본 실험은 청각 사상관련전위(ERP)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격 특질 모형들의 생물학적 근거와,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48명의 대학생 피험자들에게 4가지 성격 측정 검사(NEO-Pl-R, EPQ-R, BIS/BAS 척도, IVE)를 시행하고, 이어 두 종류의 청각 자극 세트(50㎳와 300㎳)를 이용한 오드볼 과제를 통해 ERP를 측정하였다. 설문지 간의 상관과, 설문지와 ERP 내외생적 구성 요소 간의 상관, 그리고 그 상관의 두피 분포 양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각 성격 검사의 외향성 척도에 해당한다 할 수 있는 E, E, BAS-FUN은 양성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설문지 척도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50㎳ 자극으로 유발된 P3 진폭은 E와 BAS-FUN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Eysenck의 모델과 일견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그가 개발한 EPQ-R의 외향성 척도(E)보다는 오히려 다른 척도들이 뇌파에 반영된 성격의 생물학적 기제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신경증적 경향성을 반영하는 N과 N 척도는 50㎳ 자극에 대한 여성 피험자의 N1, P2 진폭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두 척도에 등가적인 것으로 예상되었던 BIS 척도는 설문지 간 상관이나 ERP요소와의 상관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Eysenck가 성격의 세 번째 축(차원)으로 제시했던 P(정신병적 경향성) 역시 여성 피험자들에게서 두드러지는 설문지간 상관을 보였으나, 300㎳자극에 대한 P2 진폭과의 정적인 상관은 양성을 합한 자료에서만 발견되었다. 여성의 상관 분포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양성 자료의 분포와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P3 진폭과 외향성 간의 부적인 상관 관계를 보고하였던 기존 연구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험에서 확인된 Eysenck 모델의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정신병적 경향성이 ERP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외생적 구성 요소들(Nl, P2)과의 상관 양상은, P3 요소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들이 외향성 이외의 차원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차원과 그것을 지표 하는 ERP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해석할 때에 성별이나 유발 자극의 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기계학습을 이용한 단일 관련자극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One-probe P300 based concealed information test with machine learning)

  • 김혁;김현택
    • 인지과학
    • /
    • 제35권1호
    • /
    • pp.49-95
    • /
    • 2024
  • 국내 형사소송절차에서 진술의 진위여부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도구는 폴리그래프검사, 진술타당도분석, P300 기반 숨김정보검사 등이 있고, 이 중에서 폴리그래프검사의 사용빈도가 다른 도구들에 비하여 높다. 하지만, 검사결과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근거의 부족으로 인하여 재판과정에서 증거채택 가능성이 낮다. 폴리그래프검사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사전연구가 풍부한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가 주목을 받아 왔지만, 기존의 검사기법은 두 가지 제한점이 있어 실제 사건에서의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첫째, 검사에 필요한 관련자극만 3개 또는 6개 등, 사전에 노출되지 않은 정보가 다수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사건에서 사용 가능성이 낮다. 둘째, 기존의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프로토콜에서는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을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오드볼패러다임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이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의 사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전에 노출되지 않은 정보가 단 하나만 있어도 검사가 가능한 단일 관련자극을 사용하는 수정된 P300기반 숨김정보검사 프로토콜을 탐색하였고, 오드볼패러다임 사용으로 인한 무관련자극에 대한 P300요소 전위값이 과소 추정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계학습의 분류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단일 관련자극으로 여성과 남성의 얼굴자극을 사용할 경우, 자극은 400ms 지속시간으로 60회 제시하고, 절단값을 유죄집단은 90%로 무죄집단은 30%로 하여 정점-정점 방법으로 P300요소 전위값을 분석하는 것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단어자극의 경우, 지속시간을 300ms로 60회 제시하고, P300요소 전위값 분석방법은 얼굴자극과 동일하게 시행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에 대한 정점-정점 P300요소 전위값을 6가지 기계학습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로지스틱 회귀(LR), 선형 판별 분석(LDA), K-최근접 이웃(KNN) 알고리즘이 관련자극과 무관련자극의 분류에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지유발전위중의 뇌혈류변화 : 초음파뇌혈류검사 (Changes of the Cerebral Blood Flow During Event Related Petential Test to Auditory Stimuli : A Transcranial Doppler Study)

  • 김종열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1호
    • /
    • pp.26-3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ERP검사 중에는 중뇌동맥의 MFV가 검사전후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힌 소견을 보였다. 비록 중뇌동맥의 혈류속도의 변화가 뇌활동정도를 직접 반영할 수는 없다고 생각이 되지만 이 연구의 결과로 P300의 생성에 중뇌동맥에 의해서 영양받는 전두엽, 측두엽 및 두정엽이나 다른 대뇌부위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경두개도플러검사는 다른 뇌기능활동을 반영할 수 있는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이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과 같이 혈류역학을 볼 수 있는 검사와 병행하여 연구하면 P300의 발생부위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되며 뇌활동을 역동적으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단음절 단어의 사건 관련 전위 (Event-Related Potentials of a Monosyllabic Word)

  • 민병경;김명선;윤탁;김재진;권준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1-215
    • /
    • 2002
  • 본 실험은 종합적 인지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결합 문제(binding problem)를 언어적인지 과정을 통해 알아 본 실험으로, 총 10 명(남:61여:4, 평균나이:24.40 $\pm$ 1.35)의 정상군을 대상으로, 4개의 음소로 이루어진 단음절 명사를 목표 자극(target stimulus)으로 하고, 4개 음소의 임의적인 조합으로서 글자를 이루지 못하는 비목표 자극(non-target stimulus)을, 각각 200 회와 800 회씩 시각적으로 0.5초씩 무작위로 제시하여 128 채널 고밀도 사건관련전위(ERP)를 측정하였다. 이번 실험 결과의 주요 특징은 글자가 아닌 비목표 자극보다 글자인 목표 자극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두정엽 부근의 P500 과 N900 이라고 할 수 있다. 자극 제시 비율의 차이에서 오는 oddball 효과로 인한 기존 P300 의 인지적 의미를 이번 결과의 P500 이 함축한다고 볼 수 있으며, 단음절 단어를 인지할 때, 글자임을 인식하는 순간은 의미적인지 과정이 진행되었다기보다 그 글자의 형태만으로 낯익은 글자인지를 분간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 기존 언어 실험에 자주 등장하던 의미론적 peak 인 N400 은 보이지 않고, 곧바로 형태적이고, 통사적(syntactic)인 인지 처리 과정인 P500이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N400 대신에 N900 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번 ERP 실험과 병행된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피험자가 자극 제시 후, 약 900ms 정도에, 이미 제시되고 사라진 글자 자극을 다시 한번 떠올리는 인지 과정이 일어난다는 점과 관련 지어 해석하면, 기존에 의미적(semantic) 인지 과정으로만 해석했던 negative-peak 를 생각(thinking)과 같은 내재적인지 과정(internal cognitive process)으로 확장하여 일반화하는 추론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요컨대, 언어인지를 통한 이번 실험을 통해, 뇌파에서 검출되는 negative-peak 은 internal cognitive process로 추측되고, positive-peak 는 external cognitive process 라고 생각된다. 덧붙여, 유의해서 볼 점은 각 peak-topology 에서 Cz 의 진폭이 Fz 보다 크게 나온 점과, 일반적으로 언어 기능을 담당한다는 좌측 측두엽(T7)이 우측(T8)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점등이다.

  • PDF

정신분열증의 사건관련유발전위에 대한 연구(I)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건관련유발전위- (P3 in the Auditory Event-Related Evoked Potential of Schizophrenia(I) -P3 in the Schizophrenics-)

  • 오동재;장환일
    • 수면정신생리
    • /
    • 제1권1호
    • /
    • pp.87-98
    • /
    • 1994
  • 연구배경 :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정보처리 과정의 문제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해 주는 사건관련유발 전위인 P3의 이상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있어 저자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 청각사건관련유발 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이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음성 및 양성 정신분열증환자에 P3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으며, 가족력이나 전기충격경련요법, 밖에 임상양상과 P3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 DSM-III-R 진단기준에 맞는 정신분열증 환자 54명 (남자 31, 여자 23) 과 그 대조군 75 명 (남자 33, 여자 42) 을 대상으로 oddball paradigm 을 이용한 사건관련유발전위를 실시하여 P3의 잠복기와 진폭을 측정하였으며, 정신분열증의 인지기능이상을 알아볼 수 있는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를 같이 실시하였다. 결과 : 정신분열증 환자의 P3 잠복기는 그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지연되어 있었으며, 또한 모든 진폭도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정신분열증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10가지 임상증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PANSS의 종합점수에 따라 음성과 양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P3의 잠복기 및 진폭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정신과질환의 가족력의 유무에 따라, 전기 충격경련요법 유무에 따라 비교한 결과 의미 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환자군에서 프랑크푸르트 임상검사의 임상증상, 그밖에 임상특성과 P3의 잠복기와 진폭 사이에 연관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로 정신분열증 환자들에서 선택적 주의집중 과정의 이상이 있을 것이고 추측할 수 있었으며, 임상양상이나 가족력 유무와 P3사이에 연관성이 없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 PDF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혈액투석 전후의 P300 인지유발전위검사 (Event-related Potentials of Pre- and Post-Hemodialysis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 배재천;이상무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3권2호
    • /
    • pp.136-142
    • /
    • 2001
  • Background : Nervous system dysfunction is a major complication of end stage renal disease. Although severe neurologic symptoms are partially or completely reversed by adequate hemodialysis, even optimally dialyzed patients will usually not return to normal neurocognitive functio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ronic renal failure and hemodialysis on higher cognitive function electrophysiologically, we studied auditory P300 event-related potentials in 14 hemodialysis patients and 14 age- and sex-matched normal healthy controls.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4 patients(M: 6, F: 8) with chronic renal failure(CRF) for 1 to 10 years and 14 age- and sex-matched healthy controls(M: 5, F: 9). For the reliability of stud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abnormal brain CT findings, or low mini-mental state score(below 20) were excluded. Event related potentials(ERPs) for hemodialysis patients were performed at pre- and post-hemodialysis. To obtain ERPs, subjects underwent 2-tone auditory discrimination test(oddball paradigm). Results : Although the age(control: $48.79{\pm}10.31years$, CRF: $51.21{\pm}7.61years$) and mini-mental state score(control: $27.00{\pm}1.71points$, predialysis CRF: $25.07{\pm}3.58points$) were not different in normal control and CRF groups significantly(P>0.05), P300 latencies at Cz(control: $288.11{\pm}17.36msec$, predialysis CRF: $332.35{\pm}42.34msec$) were significantly delayed(P<0.05)and the duration of Trail making test A was significantly prolonged(control: $64.2{\pm}24.2sec$, CRF: $118.9{\pm}101sec$) in CRF group. P300 latencies between pre- and post-hemodialysis CRF patients(predialysis CRF: $332.35{\pm}42.34msec$, postdialysis CRF: $325.82{\pm}38.69msec$)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300 latency was not related with the duration of CRF(Spearman's correlation test, r=0.25, P>0.05) and the frequency of hemodialysis(Spearman's correlation test, r=0.28, P>0.05).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P300 latency is valuable in evaluating cognitive brain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RF and hemodialysis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brain dysfunction in patients with CR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