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l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38초

치커리(Cichorium intybus L.)와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의 기내 종자발아 개선 (Improvement of In Vitro Seed Germin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 황현정;최근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5
    • /
    • 2008
  • 치커리와 쑥갓에 있어 기내 파종 시 발아 및 무균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NaOCl의 적정 처리농도와 시간 검정을 통해 치커리 'Precole'과 'Chiavari' 및 쑥갓 'Okiku 3' 모두 Naocl 5%로 15분간 처리하는 것이 발아 및 유묘형성을 촉진시키고 오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배지조성에 있어 MS와 1/2 MS처리구들의 발아반응성은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ucros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아 및 유묘형성이 지연되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반응성의 차이는 치커리 'Precole'의 경우 petri-dish에서 양호한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보여주었지만, 치커리 'Chiavari'와 쑥갓 'Okiku 3'에서는 용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초음파 처리는 치커리의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증가시켰지만, 쑥갓 'Okiku 3'에서는 초음파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치커리와 쑥갓 모두에서 NaOCl 5%, 15분간 종자소독하고, sucrose가 무첨가된 1/2 MS 배지로 petri-dish를 이용하며, 초음파 처리는 NaOCl 5% 용매에서 120분간 하는 것이 기내 발아향상에 적당한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인삼 모상근 유도를 위한 최적 조건 (The Optimum Conditions for Induction of Ginseng Hairy Roots)

  • 양덕춘;김용해;양덕조;신성련;최광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1999
  • 인삼 뿌리 절편으로 부터 모상근 유기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Agrobacterium rhirogenes와 인삼 뿌리 절편의 항생제 내성 조사 및 최적의 모상근 유도 배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NaOCl로 인삼 뿌리를 멸균하였을 때, 오염 정도가 감소하면서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 NaOCl의 농도는 7% NaOCl에서 15-20분, 9% NaOCl에서 5분으로 나타났다. 인삼근은 년수가 증가할수록 오염 정도가 심하였으며, 특히 6년근중 표피가 있는 처리구는 오염 정도가 매우 높았다. Agrobacterium의 성장억제를 위한 항생제는 tetracycline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30mg/L 이상의 농도에서 균의 성장이 억제되었다. 하지만 30mg/L tetracycline에서 인삼 조직이 고사하였으며, cefotaxime(500mg/L), carbenicillin(500mg/L)에서 균의 성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조직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3년근 인삼에서 모상근 유도을 위한 배지로는 1/2MS 배지에 500mg/L의 cefotaxime이 첨가된 배지가 가장 좋았으며, 인삼 뿌리 절편에 Agrobacterium을 발라주는 것 보다는 균과 공동배양할때가 절편이 좋았다. Agrobacterium접종 2주 후부터 callus가 유기되기 시작한 후, 다시 2주 후에 모상근이 유도되었다. 유도된 hairy roots는 PCR에 의하여 rol C유전자를 조사함으로서 형질전환체임을 확인하였다.

  • PDF

산 표면처리된 상아질 표층의 교원섬유 용해가 레진-상아질간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ON RESIN-DENTIN ADHESION)

  • 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856-868
    • /
    • 1995
  • The effect of collagen dissolutio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on resin - dentin adhesion was investigated. 160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randomly and dentin surfaces were exposed. 40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not acid conditioned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bonding agents within dentin bonding systems of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Clearfil Photobond and Superbond D - Liner respectively. Each 10 of another 40 exposed dentin surfaces were acid conditioned by the acid within the above four bonding systems respectively and applied with corresponding bonding systems. After acid conditioning of the other 40 exposed dentin surfaces as above, they were treated with 5% NaOCl for 2 minutes,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the above four dentin bonding systems respectively. The remaining 40 dentin surfaces were acid conditioned and treated with 10% NaOCl for 2 minutes, and each 10 of them were applied with corresponding bonding agents as the above. After the procedures were finished, composite resin (Z -100, 3M Dent. Prod., USA) were applied on the dentin surfaces and light cured. Shear bond strength values were measured. Surface changes of fractured dentin specimens were observed using SEM (Hitachi S-2350, Jap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all of dentin bonding systems, shear bond strengths of non - conditioned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specimens (P<0.05). 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bond strengths did not exist between acid conditioned specimens and 5% NaGCI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and Clearfil Photobond (P>0.05). However, strength values of 5% NaOCl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Superbond D - Liner were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specimens (P<0.05). 3. In all the applied dentin bonding systems except Clearfil Photobond, bond strengths of 10% NaOCl retreated specimens were lower than those of acid conditioned and 5% NaOCl retreated specimens (P<0.05). 4. The resin - dentin hybrid layer of 4 - $5{\mu}m$ thickness was formed in the acid condition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Scotchbond Multipurpose and Superbond D-Liner. 5. The resin - dentin hybrid layer of 3 - $4{\mu}m$ thickness was still formed in the 5% NaOCl retreated specimens applied with All Bond 2 and Scotchbond Multipurpose. In addition, this layer was not completely removed after the retreatment with 10% NaOCl.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solution of collagen in acid conditioned dentin layer by NaOCl solution can not be achieved completely and the collagens contribute to the resin - dentin adhesion considerably.

  • PDF

도금폐수 중 시안(CN)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Ferrate (VI) 적용 (Application of Ferrate (VI) for Selective Removal of Cyanide from Plated Wastewater)

  • 양승현;김영희
    • 청정기술
    • /
    • 제27권2호
    • /
    • pp.168-173
    • /
    • 2021
  • 도금폐수의 처리는 폐수의 pH, 중금속 및 시안(CN)함유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한 공정이 적용된다. 이중 시안(CN)의 처리는 차아염소산(NaOCl)을 이용한 알칼리 염소 처리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성 질소(NH3-N)와 시안(CN)이 동시에 함유될 경우 암모니아성 질소(NH3-N)의 처리를 위해 차아염소산(NaOCl) 이 과다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시안(CN)처리에 있어서 1) 알칼리염소법에서 암모니아성 질소(NH3-N)농도에 따른 차아염소산(NaOCl)의 소모량을 조사하고 2) ferrate (VI)가 시안(CN)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모의폐수를 이용한 실험결과 알칼리염소법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NH3-N)농도가 높을수록 시안(CN)의 제거율이 감소하였으며 차아염소산(NaOCl)의 소비량이 암모니아성 질소(NH3-N) 농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Ferrate (VI)를 이용한 시안(CN) 제거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NH3-N) 농도에 관계없이 시안(CN)의 제거를 확인하였으며 이때 암모니아성 질소(NH3-N)의 제거율은 낮아 ferrate (VI)가 시안(CN)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하였다. Ferrate (VI)의 시안(CN) 제거효율은 pH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ferrate (VI) 주입량에 관계없이 99% 이상을 보였다. 실제 도금폐수에 적용한 결과에서는 ferrate (VI)와 시안(CN)의 투입 몰비 1:1에서 99%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으며 이는 화학양론 반응식의 몰비와 일치하는 결과로 모의 폐수와 동일하게 암모니아성 질소(NH3-N) 및 기타오염물질이 함유된 실제 폐수에서도 선택적으로 시안(CN)을 제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NaOCl 처리에 의한 한라천마(Gastrodia verrucosa Blume)와 애기천마(Hetaeria sikokiana Tuyama)의 기내발아 (In vitro germination of Gastrodia verrucosa Blume and Hetaeria sikokiana Tuyama treated by NaOCl)

  • 배기화;고명석;최선아;이학봉;김남영;송재모;송관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63-168
    • /
    • 2012
  • 본 실험은 TTC테스트를 통해 난과식물인 한라천마(G. verrucosa Blume)와 애기천마(H. sikokiana)의 종자기내배양시 NaOCl의 적정 처리시간과 농도조건을 확립한 결과이다. TTC테스트를 통한 종자활력은 애기천마의 경우 무처리구에서 95%이상 높았지만 배비대율, 비대배 직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1%에서 30분간 처리 할 경우 종자활력대비 배비대율 77%, 배직경 $33{\mu}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라천마 역시 종자활력, 배비대율, 배직경 비대, 프로토콤 형성, 프로토콤직경 비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1% NaOCl을 30분간 처리할 경우 최종적으로 종자활력대비 배비대율 87%, 배직경 $59{\mu}m$, 프로토콤의 형성율이 91%, 프로토콤 직경 $138{\mu}m$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국내외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애기천마와 한라천마의 종자 기내배양 시 발아율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고 더 나아가 자생 생물소재를 활용한 연구의 소재확보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이다.

염소산화공정을 이용한 도금폐수의 중금속 제거 특성 (Break Point Chlorination (BPC) Characteristics for Heavy Metals Removal in Plating Wastewater Treatment)

  • 정병길;이승원;윤권감;정진희;김정웅;최영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1055-1064
    • /
    • 2020
  • In this research, heavy metals and T-P removal characteristics of plated wastewater are derived using BPC(Break Point Chlorination) process. AA sedimentation pond outflow(Influence) was evaluated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Ni) and T-P at a reaction time of 25 minutes by NaOCl input volume(9, 11, 13 and 15 mL). In the case, the higher the NaOCl input volumes, the higher the ORP values were maintained and the higher the removal efficiency tended to be. On the other hand, T-P was judged to have a low relationship between the ORP value and the removal efficiency.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removal heavy metals and T-P in the plated wastewater by injecting 10 mL, 15 mL, 20 mL and 25 mL NaOCl, increased as the amount of NaOCl injected increased, the amount of NaOH input for pH increased. It was found that suspended solid in effluence also increase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color of the plating wastewater changed from yellowish green to green to charcoal gray to black as the amount of NaOCl injected increased.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action time, the longer the reaction time with the substance to be treated after the input of NaOCl, the more the heavy metal removal efficiency tended to increase. Through XRF analysis of the sludge, the constituents in the sludge such as NaCNO, CNCl, Na3PO4, CrO4, 2Na2CrO4 and 2NaNO3 will be analyzed in detail, and the mechanisms of the reaction between the plated wastewater and the complex compound will be elucidated.

Soft chelating irrigation이 GP/AH Plus로 충전된 근관의 sealing ability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EFFECT OF SOFT CHELATING IRRIGATION ON THE SEALING ABILITY OF GP/AH PLUS ROOT FILLINGS)

  • 유이숙;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6호
    • /
    • pp.484-49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glucose leakage test를 이용하여 soft chelating irrigation이 근관 충전의 sealing ability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발치된 45개의 단근치를 수집하여 치관부를 잘라내 치근이 총 13mm가 되게 하였다. 근관은 K3 NiTi 구동 기구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45/.06 taper까지 확대하였다. 3개의 실험군(n=13)과 2개의 대조군(n=3)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다음의 세척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1군, 2.5% NaOCl로 세척; 2군, 2.5% NaOCl로 세척 후 17% EDTA로 최종 세척; 3군, 2.5% NaOCl과 15% HEBP 혼합 용액으로 세척, 근관은 gutta-percha와 AH Plus를 사용하여 측방가압으로 충전하였다. $37^{\circ}C$, 습도 100%에서 7일 동안 보관하고 glucose leakage model을 이용하여 치관부로부터 치근부 방향의 미세누출을 정량화하였다. 1, 4, 7, 14, 21, 28일 째 누출된 glucose의 농도를 spectrophotometry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 기간 동안 누출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HEBP처리군은 실험 기간 동안 EDTA처리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EBP처리군은 21일 이후부터 도말층으로 덮인 NaOCl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누출을 보였다. HEBP로 처리된 상아질은 EDTA로 처리된 상아질과 비슷한 양상의 폐쇄를 보였으나 도말층이 남아있는 상아질보다는 우수한 sealing ability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약한 킬레이트제인 HEBP는 EDTA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EDTA의 세정시간에 따른 근관 내 smear layer의 제거효과에 관한 연구 (TIME-DEPENDENT EFFECTS OF EDTA APPLICATION ON REMOVAL OF SMEAR LAYER IN THE ROOT CANAL SYSTEM)

  • 이자경;박상혁;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3호
    • /
    • pp.169-178
    • /
    • 2006
  • 본 연구는 EDTA용액의 적용 시간에 따른 도말층의 제거 효과를 비교하여 EDTA용액의 최적 적용 시간을 알고자 시행되었다. 단근치 35개를 NaOCl 용액 하에서 근관 형성 후 대조군은 NaOCl 용액 5 ml로 2분간, 실험군은 30초군, 1분군, 2분군으로 세분하여 17% EDTA 용액 5 ml로 각각 30초, 1분, 2분간 세정하였다. 세정이 끝난 치근의 도말층 제거 정도와 상아 세관의 erosion 정도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 도말층이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2. 실험군 1) 중간$\frac{1}{3}$: 세 군 모두에서 도말층이 거의 완전히 제거되었고, EDTA적용 시간이 증가할수록 erosion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2) 치근단$\frac{1}{3}$: 2분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도말층 제거 정도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erosion 발생을 최소화면서 도말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17% EDTA 용액을 2분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온 균일침전법으로 $TiOCl_2$ 수용액에서 얻은 $TiO_2$ 초미분체의 형성기구 (Formation Mechanism of Ultrafine $TiO_2$ Powders from Aqueous $TiOCl_2$ Solution by Homogeneous Precipitation Process at Low Temperature)

  • 김선재;이희균;박순동;전치중;이창규;김흥회;이은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73-478
    • /
    • 2000
  • The TiO2 powder with the values of the large specific surface area more than 150$m^2$/g has been prepared with the homogeneous precipitation process below 5$0^{\circ}C$ and its formation mechanism was investigated using the SEM, TEM and Raman Spectroscopy. With the spontaneous hydrolysis of aqueous TiOCl2 solutions, all the precipitates were fully and homogeneously crystallized with the rutile TiO2 phase simply by heating, which as transformed to the anatase TiO2 phase as increasing the addition of SO42- ions to the aqueous TiOCl2 solution. The precipitates were formed with spherical secondary particles which consisted of acicular, spherical and mixed primary p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rutile, anatase and mixed phases, respectively. It can be thought that the formation and phase determination of crystalline TiO2 powders even at ambient temperature would be related with the existence of the capillary force. This force might be varied depending on the shape change of the primary partic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