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cancer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7초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current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Pulmonary Embolism

  • Hwang, Hun-Gyu;Choi, Won-Il;Lee, Bora;Lee, Choong W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4호
    • /
    • pp.341-347
    • /
    • 2019
  •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epidemiology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recurrence in Korea is lac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TE cumulative recurrence rates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VTE recurrence among Korean adults.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adult patients (${\geq}18years$) admitted to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for pulmonary embolism (PE) from 2005 to 2013. The main outcome of interest was a recurrence of VTE. We used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es to calculate the relative risk of VTE recurrence. Results: Five-year cumulative incidence of recurrent VTE events was 21.5% (95% confidence interval [CI], 17.7-25.4) in all cases of PE; 17% after provoked and 27% after unprovoked P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body mass index (BMI) of ${\geq}25$ (hazard ratio [HR], 2.02; 95% CI, 1.17-3.46; p=0.01) and longer anticoagulation therapy duration (HR, 0.90; 95% CI, 0.84-0.96; p<0.0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isk of VTE recurrence. Risk factor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included history of VTE (HR, 1.81; 95% CI, 0.84-3.88; p=0.12), unprovoked PE (HR, 1.70; 95% CI, 0.89-3.25; p=0.10), symptomatic deep vein thrombosis (HR, 1.62; 95% CI, 0.89-2.94; p=0.10), and female sex (HR, 1.42; 95% CI, 0.78-2.55; p=0.24). We found that age, history of cancer, and other co-morbidit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isk of VTE recurrence. Conclusion: Recurrence of VTE after PE is high. Patients with BMI ${\geq}25$ or reduced anticoagulation therapy duration have a higher risk of recurrent VTE.

Cohort Study Protocol: A Cohort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and Their Offspring

  • Seong-geun Moon;Ansun Jeong;Yunji Han;Jin-Wu Nam;Mi Kyung Kim;Inah Kim;Yu-Mi Kim;Boyoung Par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1호
    • /
    • pp.1-11
    • /
    • 2023
  • In 1945, atomic bombs were dropped on Hiroshima and Nagasaki. Approximately 70 000 Koreans are estimated to have been exposed to radiation from atomic bombs at that time. After Korea's Liberation Day, approximately 23 000 of these people returned to Korea. To investigate the long-term health and hereditary effects of atomic bomb exposure on the offspring, cohor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atomic bomb survivors in Japan. This study is an ongoing cohort study to determine the health statu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and investigate whether any health effects were inherited by their offspring. Atomic bomb survivors are defined by the Special Act On the Support for Korean Atomic Bomb Victims, and their offspring are identified by participating atomic bomb survivors. As of 2024, we plan to recruit 1500 atomic bomb survivors and their offspring, including 200 trios with more than 300 people. Questionnaires regarding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s, past medical history, laboratory tests, and pedigree information comprise the data collected to minimize survival bias. For the 200 trios, whole-genome analysis is planned to identify de novo mutations in atomic bomb survivors an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de novo mutations with trios in the general population. Active follow-up based on telephone surveys and passive follow-up with linkage to the Korean Red Cros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eath registry, and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data are ongoing. By combining pedigree information with the findings of trio-based whole-genome analysis, the results will elucidate the hereditary health effects of atomic bomb exposure.

인체 방광암 T24 세포에서 감초(Glycyrrhizae radix) 열수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Water Extract of Glycyrrhizae radix in Human Bladder T24 Cancer Cells)

  • 이기원;김정일;이승영;최경민;오영택;정진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55-26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감초 열수추출물(GRW)의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방광암 T24 세포에서 생존율 및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 및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GRW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핵의 형태 변화, DNA 단편화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역시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GRW의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 변형이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하여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GRW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apoptosis와 연관성을 가지는 Bcl-2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GRW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Bax 단백질의 발현증가와 더불어 Bcl-2 및 Bcl-xL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관찰되었다(Fig. 3A). 이는 GRW에 의한 T24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Bcl-2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 조절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GRW의 처리에 따른 MMP의 소실은 미트콘드리아 막의 교란이 유발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MMP 값의 변동은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 변화에 의한 것이라 추정된다. 한편 Apoptosis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3/-8/-9)의 발현과 이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IAP family (XIAP, cIAP-1, cIAP-2)의 발현에 GRW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caspase-3, -8 및 -9의 활성형 단백질 발현 및 정량적 활성증가를 확인하였으며, IAP family 속한 3가지 단백질 모두 발현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RW은 외인적 및 내인적 경로의 개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aspase-8 및 -9의 활성을 모두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caspase-3의 활성증가에 의하여 apoptosis가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두 경로의 동시 활성화에는 미트콘드리아의 기능 소실과 Bcl-2 및 IAP family의 발현 변화가 관여하고 있었으며, 특히 Bid의 발현 감소는 GRW에 의한 내인적 경로를 증폭시키는 효과로 작용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방광암의 치료에 보다 효과적인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을 발굴하고 그와 관련된 분자 및 세포수준에서의 기전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기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GRW로 수행될 추가 실험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천시 고잔동에서 제기된 유리섬유에 의한 건강피해 역학 조사 (Health Assessment for Glass Fibre Landfill at Gozan-dong, Inchon)

  • 조수헌;주영수;김경렬;이강근;홍국선;은희철;송동빈;홍재웅;권호장;하미나;한상환;성주헌;강종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1호
    • /
    • pp.77-101
    • /
    • 1997
  • In September 1994, residents of Gozan-dong, Incheon City, made a petition to the government about their health problems which might be caused by previous glass fibre landfill nearby 'H' company. In february 1995, at regular academic meeting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a research team of 'D' University presented that they had found glass fibres in groundwater of the area through their survey. They were suspicious of probable association between ingestion of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glass fibres and skin tumors among residents. A joint research team was formed and carried out the survey of environment concerning groundwater and its glass fibre existence, and health assessment of residents in the area and industrial workers of 'H' company during May to November, 1995. Analysis of groundwater flow system indicates that the flow lines from the glass fibre landfill pass through or terminate at the 6 houses around the landfill. This means that the groundwater of the 6 houses around the glass fibre landfill could be affected by some possible contaminants from the landfill, but the groundwater quality of the other houses was irrelevant to the landfill. The qual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for glass fibres in 54 groundwater samples including those from the nearby 6 houses, were carried out using SEM equipped with EDS, resulting in no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glass fibres in the waters. Major precipitates, formed in waters while boiling, were identified as calcium carbonates, in particulary, aragonites in needle form. The results of health assessments of 889 residents in Gozan-do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st medical histories of skin tumor and respiratory disease between the exposed group (31 persons who inhabited in 6 houses around the landfill) and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st medical histories of other diseases, such as cancer mortality, current gastroscopic findings, current skin diseases and respiratory diseases, etc. Also, we could not prove any glass fibres in excised specimens of 9 skin tumors in both groups and there were no health problems possibly associated with glass fibres in employees of the 'H' company. After all, we could not authenticate the association, raised by prior investigators, between groundwater streams, assumedly contaminated with glass fibres or not, and specific disease morbidities or common disease/symptom prevalences. That is, we could not find any glass fibres in groundwater as the only exposure factor of this study hypothesis, and there were not enough certain evidences such as increasing disease prevalences, for examples, skin,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s etc, possibly related to glass fibre exposure, in exposed group. As a matter of course, the conditions for confirming causal association, for example, strength of the association, consistency of the association, specificity of the association, temporality of the association and dose-response relationship etc, have not been satisfied. In conclusion, we were not able to certify the hypothesis that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with glass fibres might cause any hazardous health effects in residents who used it for drinking.

  • PDF

치료 방사선량이 쥐의 난포 퇴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diation Dose for Radiotherapy on Ovarian Follicle Atresia in Rat)

  • 이원정;선종률;유세종;안봉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08-212
    • /
    • 2012
  • 쥐의 난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임상에서 암 치료에 사용되는 선량보다 높은 선량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암 치료에 사용되는 단일조사 방사선 선량이 쥐의 난포 퇴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4 주령의 흰쥐(Sprague-Dawley계통)를 실험 동물로 사용하였다.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2 cGy 조사군, 2 Gy 조사군으로 나누어 방사선을 4 Gy $min^{-1}$ 선량으로 조사하였다. 이때 사용된 방사선속은 6 MV-X선(Mevatron 67, Siemens, Germany)을 사용하였으며, 조사 면적은 $30{\times}30cm$, SSD (source-surface-distance)는 100 cm 거리에서 배측 방향으로 난소를 향해 단일 전신조사하였다. 2 cGy군과 2 Gy군은 조사 24 시간 후에 경추 탈구사시킨 후 개복하고, 생리적 식염수 내에서 난소를 적출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형태학적인 변화와 난포의 발육단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H & E 염색을 실시하였다. 난포의 폐쇄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난포 과립세포의 세포고사 정도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절편화된 DNA를 염색할 수 있는 TUNEL 염색을 실시하였다. SPSSWIN(ver.19.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체난포에 대한 폐쇄된 난포의 비율과 난포의 각 발육단계에서 전체난포 중 폐쇄가 일어나지 않은 정상난포의 비율을 구하여 평균${\pm}$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비모수검정의 Mann Whitney 테스트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전체난포에 대한 퇴축난포의 비율이 2 Gy군은 대조군(p=0.011)과 2 cGy군(p=0.025) 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난포동형성전 난포에서는 2 Gy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상난포의 비율을 보였다(64.0 vs. 87.7, p=0.027). 난포동 난포에서는 2 cGy군이 대조군과(53.4 vs. 39.8, p=0.020) 2 Gy군(vs. 33.9, p=0.053) 보다 정상난포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2 Gy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정상난포 비율(33.9 vs. 39.8, p=0.522)을 보였다. 임상에서 암 치료에 사용되는 2 Gy의 단일조사 방사선 선량은 쥐의 난포 퇴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농작업자 위해성평가 (Operator exposure risk assessment of benzimidazole fungicides on Korean agricultural condition)

  • 이제봉;신진섭;정미혜;박연기;임건재;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7-353
    • /
    • 2005
  • 한국 농업환경에서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안전사용 및 농약살포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단기(30일 이내) 및 장기(6개월 이상) 노출에 대한 농작업자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농작업자의 노출량 산출은 일본의 EPN 45% 유제 노출시나리오를 이용하였으며, 일일 작업시간은 4시간으로 가정하였고, 작업자에 대한 급성 및 만성 허용노출량(AOEL)은 단기노출은 기형독성, 만성노출은 만성독성 NOAEL로부터 산출하였다. Benzimidazole계 농약들은 US/EPA가 $Q_1^*$를 설정하여 발암성평가를 하고 있는 농약들로서 본 연구에서도 작업자의 만성 노출에 대한 발암성평가를 평균일일노출량(LADD)를 일생 동안 농업에 종사하는 연수, 농약살포 횟수, 농업형태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농작업자에 대한 농약 노출량은 benomyl, carbendazim 및 thiophanate-methyl에 대하여 각각 0.2, 0.36 및 0.42 mg/kg/day 이었고, sAOEL은 0.3, 0.1 및 0.2 mg/kg/day 이었으며, cAOEL의 경우 benomyl과 carbendazim은 0.025, thiophanate-methyl은 0.08 mg/kg/day이었다. 만성 및 발암위해성평가를 위한 LADD는 benomyl 0.0038, carbendazim 0.0067 및 thiophanate-methyl 0.0081mg/kg/day로 산출되었다. 위의 수치를 이용하여 AOEL/exposure를 산출한 결과 급성위해성은 $0.28{\sim}1.5$, 만성 위해성은 $3.73{\sim}9.88$로서 작업자에 대한 급성 위해성은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최대 90%까지 노출량이 감소하므로 보호장비 착용시 안전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만성 위해성은 AOEL/exposure가 1 이상으로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암위해성평가 결과는 보호장비를 착용할 경우 $9.12{\times}10^{-7}{\sim}1.13{\times}10^{-5}$으로 실제적인 농약살포 인자를 고려하여 평가하면 농약살포자에 대한 위해성은 없을 것으로 추정되나 보다 실제적인 노출성적을 이용한 농약살포 작업자 위해성평가가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인체백혈병 U937 세포에서 부처꽃 에탄올추출물에 의한 apoptosis 유도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 Extract of Lythrum anceps (Koehne) Makino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 정진우;김철환;이영경;황용;이기원;최경민;김정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9-28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부처꽃 에탄올 추출물(ELM)에 대한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백혈병 U937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와 함께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먼저 ELM 처리에 따른 증식 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핵의 형태 변화, DNA 단편화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역시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M 처리에 따른 U937 세포에서의 apoptosis 유발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막의 기능 손상이 관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의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MMP의 소실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MMP의 소실에 가 관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멸수용체(DR4, 5, Fas) 및 사멸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FasL, TRAIL)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DR4 및 DR5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내인적 경로에 관여하는 Bcl-2 family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확인한 결과, Bcl-2 발현 감소 및 Bax의 발현 증가의 변화를 보였으며, Bid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나타났으므로 상대적으로 tBid의 생성이 증가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한편apoptosis 유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3, -8 및 -9의 발현에 미치는 ELM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ELM은 death receptor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8 및 세포질로 방출된 cytochrome c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9의 활성화를 유발하였으며, caspase cascade에 의하여 apoptosis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화된 caspase-3에 의하여 분해가 일어나는 기질 단백질인 PARP의 경우 ELM 처리에 의하여 모두 단편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체 백혈병 U937 세포에 ELM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인 DR4 및 DR5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내인적 경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실에 의하여 caspase-9 및 -3의 활성화 유발과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하여 caspase의 활성이 억제되지 못하는 것도 apoptosis 유도에 어느 정도 관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ELM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 및 내인적 경로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며, 이때 caspase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요구 (Spiritual Needs of Hospice Patients)

  • 한영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1호
    • /
    • pp.39-48
    • /
    • 2000
  •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과 독립기관에 입원한 환자의 영적 요구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9개 기관에서 선정한 환자 49명과 보호자 40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6월부터 8월까지였다. 결과 :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 요구는 환자의 경우 위암 환자 군, 여성 군, 대졸 이상군, 기독교군, 호스피스 간호기간 $8{\sim}14$일 군 및 신앙이 중요하다고 하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보호자의 경우는 기타 종교를 가진 군, 투병기간 $3{\sim}5$년 미만인 군이 높았다. 2) 영적 요고, 전체 평균에서 환자가 $3.69{\pm}0.52$로 보호자 $4.06{\pm}0.4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영역별 순위는 환자가 삶의 의미와 희망영역에서, 보호자는 사랑과 관심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종교적 영역은 공통적으로 낮았다. 문항에서는 사랑과 관심영역에서 환자는 '부드럽게 말해주길 원한다'가, 보호자는 '슬프고 외로울 때 따뜻하게 질문에 대답해 주길 원한다'를 가장 많이 요구했고, 또한 환자는 '다른 환자보다 본인에게 신경 써 주길 원한다'와 보호자는 '환자는 부드럽게 말해주길 원한다'가 가장 요구가 낮았다. 종교적 영역의 문항 중 '모든 것에서 벗어나 마음이 평안해 질 수 있도록 도와주길 원한다'는 환자와 보호자 모두 요구가 높았으며, '신을 알 수 있는 책을 권유해 주길 원한다'가 가장 요구가 낮았다. 삶의 의미와 희망에 관한 영역의 문항 중 두 군 모두 '희망을 갖도록 해 주길 원한다'가 가장 많이 원했으며, '관계가 좋지 않은 사람과 화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도록 배려해 주길 원한다'가 가장 낮았다. 결론 : 호스피스 환자의 영적 요구를 더 깊이 알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심층면담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사료되며, 이를 통해 호스피스 팀은 환자가 원하는 영적 간호를 실시하도록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건축물 유형에 따른 라돈 저감 효과 평가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Radon Mitigation on Dwellings and Public Buildings in Korea)

  • 이동현;류승훈;조정흠;서성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8-527
    • /
    • 2014
  • Objectives: The adverse health effects attributed to exposure to radon have been well known over the world. However, the efforts fo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radon have not been taken in Korea so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itigation methods applied for various types of houses and public buildings with high level of rad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National Radon Survey" perform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NIER) in 2010-2012, we selected 30 candidate buildings consisting of 20 houses and 10 public buildings with greater than $148Bq/m^3$ of radon level.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radon in 30 buildings, using E-PERMs and RAD-7 during January to March of 2013. More than five E-PERMs and one RAD-7 per house were installed for seven days. Ten houses and five public buildings were finally chosen to be mitigated after mainly considering the level of radon and the location of buildings nationwide. Three mitigation methods such as Sealing, two types of Active Ventilation(window-shaped and wall-typed ventilations), and Active Soil Depressurization(ASD) were applied, and the concentrations of rad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mitigation,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itigation methods, reduction rates of radon were calculated and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concentration of 15 buildings just before radon mitigation was $297.8Bq/m^3$, and most of the buildings were located in Gangwon, Chungbuk, Chungnam, and Daegu areas(73.3%), and built in 1959-1998. The level of radon decreased from 48% to 90% and kept the below recommendation limit of $148Bq/m^3$ after installation of radon mitigation. Among mitigation methods applied, the reduction rate(58.7-90.4%) of radon attributed to ASD was the greatest than that of other methods, followed by Active Ventilation(48.4-78.4%) and Sealing(<22%). The effectiveness of radon reduction by window-shaped Active Ventilation(63.2-75.2%) was relatively better than that of wall-typed Active Ventilation(48.4-54.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SD could be more effective for radon mitigation. Moreover, our findings would be background information in future for making the strategy for radon mitigation nationwide, as well as for developing Korean-version of mitig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types of dwellings in Korea.

EFFECTS OF 50Hz CIRCULARLY POLARIZED MAGNETIC FIELDS ON SPONTANEOUS MAMMARY TUMORS IN RATS

  • Negishi, T.;Imai, S.;Shibuya, K.;Ltabashi, M.;Nishimura, I.;Sasano, T.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1999년도 제3회 전자장의 생체영향에 관한 워크숍
    • /
    • pp.173-186
    • /
    • 1999
  • Several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esidential or occupational exposure to power frequency magnetic fields (MF) might increase the risk of canc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ossible carcinogenic effects of MF exposure using female Sprague-Dawley (Crj:CD)rats. A total of 360rats was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of 60 rats each. Two groups were served as a negative control (vehicle: sesame oil only) or a positive control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7, 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90mg/kg body weight at 50-52days of age). Other four groups were simultaneously exposed to 0 (sham-exposed) 7, 70 or 350 $\mu$T(rms), continuous circularly polarized 50HzMF, 22 hrs/day, 7 days/weeks for 30weeks from 8weeks of age. Experiment was conducted under SPF condition and in a blinded manner, Ten animals in each grout were served as satellite animals and their several hormonal concentrations in sera, such as melatonin and prolactin, collected at the midnight were measured. In addition, complet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ere performed in other 50 animals per each group.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first mammary nodule was palpated at the 7th weeks of experiment in 5 out of 59 animals. Afterward, the incidence of palpable mammary nodules increased steadily and reached at 76% and 98% of live animals at 14weeks and the end of experiment in sham and 350$\mu$ T-expos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ham-exposed and negative control groups. Histopathologocally, most of palpable nodules were mammary tumors. The incidences of animals with mammary tumors per animals survived ant the end of experiment were 4.1 and 100% in the negative and positive control groups, and 0.0, 6.0, 8.0 and 6.0% in the sham-, 7, 70and 350 $\mu$T-exposed groups, respectively. These incidences in three MF-expos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both the sham- exposed and negative control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not supported that continuous circularly polarized 50 Hz magnetic fields at up to 350$\mu$T affect the incidence of spontaneous mammary tumors in female SD rats under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