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vertical dimension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3초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의 수직 교합량이 상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D Snoring Design on Pharyngeal Airway Dimension)

  • 라인실;이장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07-3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의 종류에 따라 최소한의 수직 교합량을 각각 다르게 확보하여 1급 교합을 가진 대상이 각 장치를 착용한 뒤, 수직 교합량이 하악의 위치, 근육의 변화, 혀의 위치등을 부가적으로 변화시켜 상기도의 면적에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직량이 높을수록 상기도의 면적은 감소했으며, 혀의 위치를 후방으로 처지지 않게 할수록 상기도의 면적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코골이 감소를 위해 의사들은 환자들의 교합관계를 정확하게 진단하여 그 교합에 맞는 하악전방이동 코골이 장치를 선택해야 하고, 선택된 장치를 제작하는 치과 기공사 또한 장치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직 교합량, 후방연 설정과 장치의 두께 등 디자인 설정을 고려해야 한다.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완전도재관을 이용한 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all ceramic restorations)

  • 김태수;이재현;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06-313
    • /
    • 2016
  • 치아의 마모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생리적 마모는 그 정도가 적고 치조골의 보상성 성장과 치아의 정출에 의해 수직고경이 유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병적마모는 병적인 치수상태, 교합부조화, 기능장애와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완전 구강회복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수복 시에는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는 적절한 수직고경의 변경이 필요하며 근신경계와 조화를 이루는 고경의 결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36세 여성으로, 전반적인 치아마모와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마모된 정도와 심미를 고려하여 상악 전치부 절단면 기준으로 감소한 수직고경을 2 mm 회복하고 완전도재관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이에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활용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키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한 보철 수복 증례 (Using implants for worn dentition with the alter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 이재현;김태수;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9-56
    • /
    • 2016
  • 과도한 마모 같은 잔존 치아 구조의 파괴는 전치유도와 저작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상실된 구치부를 수복하여 적절한 교합을 회복시켜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구치부의 무치악부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의치나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임플란트로 수복시에는 경제적인 제약으로 위해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증례는 86세 남환으로,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어 있었고, 구치부 교합의 붕괴와 과도한 치질 소실, 수직 피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구치부에서 붕괴된 교합을 재형성해주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정하였으며, 가철성 보철물 대신,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된 2개의 임플란트와 고정성 국소의치, 레진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다. 소구치 부위에서 2 mm의 수직고경을 거상하였으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악 수복에 비하여 적은 비용으로 이를 대체하는 치료를 고정성 보철물로 할 수 있었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완전 구강 회복술 (Full Mouth Rehabilitation)

  • 이승규;이성복;권긍록;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3호
    • /
    • pp.171-185
    • /
    • 2000
  • The treatment objectives of the complete oral rehabilitation are : (1) comfortably functioning temporomandibular joints and stomatognathic musculature, (2) adherence to the basic principle of occlusion advocated by Schuyler, (3) anterior guidance that is in harmony with the envelope of function, (4) restorations that will not violate the patient's neutral zone. There may be many roads to achieving these objectives, but they all convey varing degrees of stress and strain on the dentist and patient. There are no "easy" cases of oral rehabilitation. Time must be taken to think, time must be taken to plan, and time must be taken to perform, since time is the critical element in both success and failure. Moreover, a systematized and integrated approach will lead to a prognosis that is favorable and predictable. This approach facilitates development of optimum oral function, comfort, and esthetics, resulting in a satisfied patient. Such a systematized approach consists of four logical phase : (1) patient evaluation, (2) comprehensive analysis and treatment planning, (3) integrated and systematic reconstruction, and (4) postoperative maintenance. Firstly, we must evaluate the mandibular position. The results of a repetitive, unstrained, nondeflective, nonmanipulated mandibular closure into complete maxillomandibular intercuspation is not so much a "centric" occlusion as it is a stable occlusion. Accordingly, we ought to concern ourselves less with mandibular centricity and more with mandibular stability, which actually is the relationship we are trying to establish. The key to this stability is intercuspal precision. Once neuromuscular passivity has been achieved during an appropriate period of occlusal adjustment and provisionalization, subsequent intercuspal precision becomes the controlling factors in maintaining a stable mandibular position. Secondly, we must evaluate the plann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 relationship to what may now be an altered(generally diminished), and avoid the hazard of using such an abnormal position to indicate ultimate occlusal contacting points. There are no hard and fast rules to follow, no formulas, and no precise ratios between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Like centric relation, it is an area, not a point.

  • PDF

CAD-CAM으로 제작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 with implant overdenture using CAD-CAM denture system: A case report)

  • 이한나;심지석;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74-381
    • /
    • 2022
  • 본 증례는 74세 남환으로 20년 전 제작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잦은 탈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존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이 감소되었으며, 상악 총의치는 입술 지지 및 유지력이 부족하였으며, 하악 피개의치는 bar attachment 손상으로 clip의 유지력 부족이 관찰되었다. 손상된 bar attachment를 제거 후 ball attachment로 교체하였으며, DENTCATM Tray를 이용하여 인상 채득, 수직고경을 측정하고, 고딕 아치 기록방법으로 중심위를 결정하여 교합기록을 시행하였다. 채득한 인상체를 스캔하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최종 의치의 형태를 디자인하였고, 3D 프린터로 시적의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적의치를 장착하여 교합평면 및 교합관계, 안모 형태, 발음 등을 평가한 후 교합기록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최종 의치를 제작하였다. 최종 의치의 내면 조정 및 양측성 균형교합을 형성하였으며, 하악 의치에서는 직접법으로 attachment를 연결하였다. 새로 제작된 상하악 의치 사용 시, 수직고경의 증가 및 입술지지를 회복하여 개선된 안모가 관찰되었으며, ball attachment 교체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이 증가하여 기능적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체계적 분석, 진단, 치료 계획을 통한 전악 보철 재건 증례 (Full mouth prosthetic rehabilitation based on system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 a case report)

  • 권수연;백장현;배아란;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2-338
    • /
    • 2013
  • 성공적인 보철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이 근거가 되어야 한다. 즉, 처음 환자가 내원하였을 때, 환자의 주소를 바탕으로 한 문제점을 찾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이에 입각한 치료 계획을 세웠을 때,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77세 여성으로, 저작 시 상 하악 좌측 소구치 부위의 통증 및 기존 보철물의 비심미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및 모형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여러 문헌에 근거하여 지대치 평가, 보철물의 여러 가지 디자인에 따른 예후 및 최종 보철물의 장착 시 유지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심미적 문제, 보철을 위한 악간 공간의 부족을 해소하고자 최소한의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수복을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기능, 심미성 및 교합의 안정을 통한 환자의 적응도를 평가하여 치료 계획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따라서, 최종적인 고정성 국소 의치를 제작하고 장착하여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심한 교모와 구치부 상실을 보이는 환자의 전악 수복: Jaw motion tracking과 digital workflow를 활용한 증례 보고 (Full-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trited dentition with missing posterior teeth: a case report using digital workflow with jaw motion tracking)

  • 박찬영;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3-307
    • /
    • 2023
  • 최근 다양한 증례 보고에서 소개되고 있는 jaw motion tracking은 환자의 안궁 이전 및 개별화된 하악 운동 경로를 기록한 후, 이를 computer-aided-design/computer-aided-manufacturing (CAD-CAM) 소프트웨어의 가상공간상에 재현하는 방법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오랜 기간 구치부의 상실로 인해 교합평면의 붕괴가 관찰되었기에,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를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술을 계획하였다. 우선 jaw motion tracking을 진행하여 새로운 중심위 상에서 환자의 하악 운동을 기록한 후, 이 정보를 환자의 초진 구내 데이터 및 3차원 안면 스캔 데이터와 조합하여 가상 환자를 생성하였다. 가상 환자 상에서 진행한 디지털 왁스업과 임플란트 식립 계획을 바탕으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새롭게 설정된 수직 교합 고경 상에서 적절한 견치 유도를 보이는 임시 보철물의 검증을 통해,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이처럼 디지털 치의학 기술의 장점을 활용하여 환자는 저작능과 심미성의 개선에 만족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편측성 안면 신경마비 환자에서 3D printing gothic arch tracer와 POP bow system을 이용한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implant fixed prostheses using POP bow system and 3D printing gothic arch tracer in a patient with unilateral facial nerve palsy)

  • 정성윤;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01-214
    • /
    • 2024
  •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하는 환자가 불수의적인 안면근육의 움직임과 안모의 비대칭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교합수직고경의 결정과 중심위 기록, 그리고 교합평면의 정보 전달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편측성 안면 신경마비의 증상을 갖고 오랜 기간 무치악 상태였던 환자를 위해, 3D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개인맞춤형의 고딕아치 묘기장치와 조립식의 교합평면 인기장치인 POP bow system을 이용하여 CAD-CAM 임시보철물을 제작하고 안정적인 악간관계를 도모하였다. 이후, 적절한 교합수직고경과 재현성 있는 중심위 및 올바른 3차원적 교합평면의 전달을 통해 전악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고,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시행하여 환자에게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구강건강을 회복해 주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안면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교합평면의 재구성 (INDIVIDUALIZED RECONSTRUCTION OF THE LOWER OCCLUSAL PLANE ACCORDING TO SKELETAL PATTERN)

  • 현성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85
    • /
    • 1995
  • 본 연구는 개별적 골격 형태에 따른 하악 교합평면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Vertical dimension ratio(VDR)와 Lower occlusomandibular plane angle(LOM)과의 적절한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 234명, 부정교합군 358명, 치료군 358명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연구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연령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이 121명이고 평균 연령은 10.82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113명이고 평균연령은 23.76세였다. 부정교합군은 연령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은 274명이고 평균연령은 11.36세였다. 14세에서 18세 이하인 군은 54명이고 평균 연령은 15.4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30명이고 평균연령은 21.35세였다. 치료군도 연령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14세 이하인 군은 145명이고 평균연령은 12.91세였고, 14세에서 18세 이하인 군은 166명이고, 평균연령은 15.64세였다. 18세가 넘는 군은 47명이고 평균연령은 21.61 세였다. 상기 표본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였고 그 결과는 본 연구를 위해 작성된 program을 이용하여 각도, 거리, 백분율항목을 각각 $0.01^{\circl}$, 0.01mm, 0.01%까지 계측하여 486 DX.P.C에 기록되었다. 모든 계측항목에 대하여 군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관심있는 항목간의 상관계수 및 그 상관계수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변수 간, 군간 one-way ANOVA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골격 형태에 따른 교합평면의 적절한 위치를 심도 있게 연구하기 위하여 대조군과 치료군 중에서 overbite 1-3mm, overjet 1-3mm, curve of Spee 1.75mm 이하를 만족시키는 표본을 선택하여 Optimal occlusion group이라 명명하였다. 이 군의 표본의 수는 187명이었고 대조군에서 83명, 치료군에서 104명이 선택되었다. 이 군을 다시 연령, 전후방적 골격 형태에 따라서 군을 세분화 시키고 각 군별로 VDR과 LOM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여러 계측항목간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나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어떠한 단일 계측항목도 전치부 수직피개정도를 정확히 표현하지는 않았다. 2. 수직적 골격 형태를 표현하는 여러 계측항목중에서 LOM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은 VDR이었다. 3. 전체 표본에서 VDR의 수치에 관계없이 정상범위의 수직피개량을 갖고있는 표본의 분포는 80% 이상이었다. 4. Optimal occlusion group을 연령과 전후방적 골격 형태에 따라 9개 subgroup으로 나누고 각 군의 VDR과 LOM간의 상관계수 및 결정계수를 구하였는데 전 군에서 상관계수는 0.8 이상, 결정계수는 0.7 이상이었다. 5. 각 Subgroup마다 VDR에 따라 알맞은 LOM을 구하기 위한 회귀방정식을 유도하였다. 6.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데 교합평면 경사도의 평균치 자체는 큰 의미가 없으며 골격 형태에 적합한 개별적인 교합평면의 위치설정이 중요하다.

  • PDF

엇갈린 교합 환자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Kennedy class IV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and maxillary Kennedy class IV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case report)

  • 강석형;한중석;김성훈;윤형인;여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2호
    • /
    • pp.842-849
    • /
    • 2017
  • The term, 'crossed occlusion' implies clinical situation in which the residual teeth in one arch have no contact with those in the antagonistic arch,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he treatment goal of this pathologic condition is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and stabilization of abnormal mandibular position. Previously, konus removable prostheses or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were suggested to solve crossed occlusion. Nowadays,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for definitive suppor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case report, a 65 years old female patient had a crossed occlusion, in which the maxillary posterior residual teeth and mandibular anterior residual teeth cross. Interim removable and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used to confirm the proper vertical and horizontal jaw relation. After that, the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restoration-driven implant placement. The maxillary an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Kennedy class IV removable prosthesis, considering the patient's economic status. The patient's jaw position and prostheses have been well maintained at the follow-up after 6 months of definitive restoration. The antero-posterior crossed occlusion problems appeared to be effectively solved with the combination of removable in one arch a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n the 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