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maxillary C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중안모 계측과 상악골 절단술에의 응용 (MIDFACIAL MEASUREMENT USING OCCLUSAL MAXILLARY CT AND SURGICAL IMPLICATIONS OF MAXILLARY OSTEOTOMIES)

  • 정필훈;유충규;이은경;서제덕;정일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22-228
    • /
    • 2006
  •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in the past to indirectly analyze the craniofacial region. Among these, the lateral and posterior-anterior cephalometircs a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dentofacial deformities. However, cephalometircs create inaccuracies because of the inherent enlargement and distortion of the image. The interpretation of cephalometric films is also problematic: the number of anatomic landmarks that can be identified accurately is limited, and the overlap of structures on a radiograph making locating these landmarks difficult. To overcome these problems, computed tomography(CT) has been recommended as an useful modality in the diagnosis, surgical planning, and follow-up of craniofacial anomalies. There is no significant enlargement or distortion of the image, overlap of structure, or tracing error. And the number of anatomic landmarks is va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bit and midfacial region using Occlusal Maxillary CT, consisted of slices parallel to the occlusal plane. Based on these CT scan, we provide the data that could be applied to monitor an individual patient's skeletal pattern and the guide to the maxillary osteotomy.

3D CT를 이용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매복 견치 위치 정보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r potency or panoramic radiography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maxillary impacted canines using 3D CT)

  • 김혜정;박효상;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5-274
    • /
    • 2008
  • 3D CT를 이용하여 파노라마에서 얻어진 상악 매복 견치 위치 정보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악 견치 매복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과 3D CT에서의 매복 견치의 위치를 평가하였다. 대상은 25명(남자 7명, 여자 18명)으로 평균 나이는 10.9세(범위 : 8.2 - 15.7세)이며, 35개의 상악 매복 견치증례를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확대되어 촬영되므로 3D CT의 계측치보다 상악 견치의 tooth length, crown width, vertical distance 그리고 lateral shift값에서 큰 값을 가졌다. 단,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파노라마에서 더 작은 값으로 계측되었다. 둘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상 상악 견치가 구개측으로 매복된 경우,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3D CT보다 작게 측정되고 vertical distance는 더 크게 측정되었다. 셋째,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매복 견치의 tooth length, crown width 그리고 순측으로 매복된 경우 상악 견치의 angulation to occlusal plane은 3D CT와 근접된 계측치를 가졌다. 또한 CT와 비교하였을 때, 치근 흡수 정도 평가에 대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감수성은 33.3%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협측 매복견치의 위치는 실제와 유사하다고 생각되나 구개측 매복의 경우 3D CT보다 더 높게, 각도는 더 작게 나타나는 등 상당한 차이가 있어 CT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Micro-computed tomography analysis of chang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proper induced by occlusal hypofunction of rat molars

  • Shimizu, Yasuhiro;Hosomichi, Jun;Nakamura, Saeko;Ono, Takash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263-267
    • /
    • 2014
  • Objective: To three-dimensionally elucidate the effects of occlusal hypofunction on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proper of rat molars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Methods: Occlusal function in the molar area was restricted by attaching an anterior bite plate on the maxillary incisors and a metal cap on the mandibular incisors of 5-week-old male Wistar rats for 1 week. The periodontal ligament space and alveolar bone proper around root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were assessed by histology and micro-CT. Results: The periodontal ligament space was narrower and the alveolar bone proper was sparser and less continuous in the hypofunc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Further, both the volume of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the volumetric ratio of the alveolar bone proper to the total tissue in the region of interes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ypofunction group (p < 0.05). Conclusions: Occlusal hypofunction induces atrophic chang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proper of rat molars.

정상교합자의 치열궁과 기저골 형태에 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between dental arch and basal bone in normal occlusion)

  • 김지태;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24-236
    • /
    • 2011
  • 본 연구는 정상교합자의 치열궁과 기저골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정상교합자 27명(남-15명: 25Y $10M{\pm}4Y$ 4M/여-12명: 26Y $1M{\pm}7Y$ 4M)을 대상으로 두개골의 전산화 단층촬영을 시행하고 입체영상을 제작한 뒤, 상악 중절치의 FA point의 중점을 원점으로 하는 3차원 좌표계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악 교합평면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하여 상하악의 치열궁과 기저골의 형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상하악기저골은 A point, B point 부위와 양측 제1대구치 부위의 좌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상하악의 치열궁은 기저골악궁에 비해 전치부에서 순측으로 위치하였다. 또한 치열궁과 기저골악궁의 협설측 교차는 상악은 대구치 부위에서, 하악은 소구치 부위에서 이루어졌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안면비대칭의 외과적 교정 (Facial asymmetry: Critical element of clinical successful treatment)

  • 홍종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2권10호
    • /
    • pp.623-632
    • /
    • 2014
  • 안면비대칭의 주원인은 하악골이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에 대한 상악골의 보상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 등이 초래된다. 디지털 사진과 삼차원 CT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수술을 포함한 치료계획을 세운다. 술전 교정 치료는 상악골과 하악골 치열의 치성 보상(dental compensation)을 제거하면서 상악 치열의 중심은 상악골의 정중선에, 하악 치열의 중심은 하악골 정중선에 맞게 이동하여 술후 상하악 치열궁이 일치하면서 동시에 안모 정중선에 일치하게 맞추어야 한다. 악교정 수술은 일반적으로 상하악 동시 수술을 하게 되며 우각부 풍융도 교정과 이부 성형술(genioplasty) 등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으며, 교합면 경사 교정과 수평 회전 등의 이동이 상하악 위치에 서로 영향을 주면서 수술 후 안모 변화에 대한 예측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정확한 예측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1 - 성장기 아동에서 상하악 폭경 부조화와 하악과두의 비대칭 성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verse discrepancy of the jaws and asymmetric growth of the condyles in children)

  • 이지나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1권6호
    • /
    • pp.302-312
    • /
    • 2013
  •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disk displac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can cause mandibular asymmetry in growing subjects. One of the causes of internal derangement of TMJ seems to be the result of poor positioning of the joint structure in unilateral cross bite, and the subsequent occlusal trauma transferred to the functioning unit of the mandible, the joint and disc. Transverse discrepancy of the maxillary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dentoalveolar units was often found in mandibular asymmetric subjects. Most of the asymmetry in growing subjects becomes worse with further growth if left untreated. However once sufficient posterior overjet is gained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many cases have shown improvement in facial asymmetry. Furthermore, the position of condyles in computed tomogram(con-beam CT) changed from anatomically unfavorable position to more concentric position.

3D Dental-CT를 이용한 상악 매복 과잉치의 진단 : 증례보고 (DIAGNOSIS AND EXTRACTION OF IMPACTED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XILLA WITH 3D DENIAL-CT)

  • 김수경;양연미;백병주;김성희;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91-98
    • /
    • 2006
  • 과잉치는 법랑기(enamel organ)가 치배형성을 지속하거나 과도한 세포증식을 함으로써 발생한다. 과잉치는 상악 전방부에서 종종 발견되며,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과잉치는 형태에 따라서 보충치(supplemental tooth)와 흔적치 (rudimental tooth)로 나눌 수 있다. 보충치는 정상 절치와 크기 및 형태가 유사하나, 흔적치는 비정상적인 형태와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보충치는 영구 측절치 부위에서 호발하며 정상 전치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고 있으므로, 발치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3증례는 상악 전방부에 정상 전치 형태의 과잉치를 갖는 증례들이다. 모든 증례에서, 치근단 교합,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등의 기존 방사선 사진 촬영 외에 3 Dimensional Dental-Computed Tomography(3D Dental-CT)를 촬영하여 진단하였다. 기존 일반 방사선 사진들(conventional radiographs)과 3D Dental-CT를 비교시, 일반 방사선 사진들은 2차원적인 영상만을 제공하여 상의 해석에 있어서 술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한계가 있다. 반면 3D Dental-CT는 과잉치의 정확한 위치와 형태에 대한 객관적 인 정보를 제공하며, 좀 더 보존적 인 수술을 시행하고, 수술 시간과 스트레스를 줄이는데 유용하다. 그러므로 일반 방사선 사진 촬영 후 과잉치의 위치가 불분명하고 인접 영구치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3D Dental-CT를 이용한 진단이 고려된다.

  • PDF

Effect of bite force on orthodontic mini-implants in the molar region: Finite element analysis

  • Lee, Hyeon-Jung;Lee, Kyung-Sook;Kim, Min-Ji;Chun, Youn-Sic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218-224
    • /
    • 2013
  •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 of bite force on the displacement and stress distribu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OMIs) in the molar region according to placement site, insertion angle, and loading direction. Methods: Five finite element models were creat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images of the maxilla and mandible. OMIs were placed at one maxillary and two mandibular positions: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between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nd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The OMIs were inserted at angles of $45^{\circ}$ and $90^{\circ}$ to the buccal surface of the cortical bone. A bite force of 25 kg was applied to the 10 occlusal contact points of the second premo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The loading directions were $0^{\circ}$, $5^{\circ}$, and $10^{\circ}$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Results: With regard to placement site, the displacement and stress were greatest for the OMI placed between the mandibula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and smallest for the OMI placed betwee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In the mandibular molar region, the angled OMI showed slightly less displacement than the OMI placed at $90^{\circ}$. The maximum Von Mises stress increased with the inclination of the loading dire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acement of OMIs between the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 at $45^{\circ}$ to the cortical bone reduces the effect of bite force on OMIs.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 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석: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STRESS ANALYSIS OF MAXILLARY PREMOLARS WITH COMPOSITE RESIN RESTORATION OF NOTCH-SHAPED CLASSⅤCAVITY AND ACCESS CAVITY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이선화;김현철;허복;김광훈;손권;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70-57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쐐기형 5급 와동과 근관와동을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상악 제2소구치에 대한 응력 분포를 3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여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로 스캔한 후 3D-DOCTOR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근관 와동을 형성하고 쐐기형 5급 와동과 글래스 아이오노머 기저재의 사용 여부를 구분하여 근관 와동을 혼합형 복합레진으로 충전하였다. 협측 교두 또는 설측 교두에 500 N의 하중을 가하고, ANSYS 8.0 프로그램으로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하여 평가한 결과 베이스 사용유무에 따른 응력 분포의 차이는 없었다. 협측 교두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구개측 백악법랑경계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5급 와동이 있는 경우에 약간 더 높았다. 설측 교두의 협측 경사면에 하중이 가해질 때, 하중점과 교합면의 중심구, 협측 치경부에 과도한 인장 응력이 집중되었으며, 5급 와동이 있는 경우가 5급 와동이 없는 경우보다 약간 더 낮았다.

교합력이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e influence of occlusal loads on stress distribution of cervic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y)

  • 박찬석;허복;김현철;김광훈;손권;박정길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246-25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유한요소분석법을 사용하여 교합력의 위치와 방향이 상악 제2소구치의 치경부 복합레진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발치된 상악 제2소구치를 이용하여 micro-CT (SkyScan1072; SkyScan, Aartselaar, Belgium)로 스캔한 후 HyperMesh Ver 6.0 (Altair Engineering, Inc., Troy, USA)와 3D-DOCTOR (Able Software Co., Lexington, MA, USA)로 3차원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구치 모형에 쐐기형 와동을 형성하고 탄성계수가 서로 다른 혼합형 복합레진과 흐름성 복합레진으로 각각 수복하였다. 수복 후 설측교두의 협측사면 세 위치에 각각 수직, 20도, 40도의 각도로 하중을 가한 후 응력분포를 ANSYS Ver 9.0 (Swanson Analysis Systems. Inc., Houston,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장 응력의 분포를 분석한 바 하중 위치와 관계없이 하중방향의 각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수복재료의 탄성 계수가 높을수록 인장응력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교합력의 방향과 수복재료의 탄성계수가 치경부 수복물의 응력분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