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bjective Indicator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 of Hounsfield Unit Value with Convent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Intraoperative Distraction on Postoperative Intervertebral Height Reduction in Patients Following Stand-Alone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 Lee, Jun Seok;Son, Dong Wuk;Lee, Su Hun;Ki, Sung Soon;Lee, Sang Weon;Song, Geun Sung;Woo, Joon Bum;Kim, Young 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1호
    • /
    • pp.96-106
    • /
    • 2022
  • Objective :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of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is cage subsidence and maintenance of disc height affects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We considered cage subsidence as an inappropriate indicator for evaluating preservation of disc height. Thus,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patients with complications such as reduced total disc height compared to that before surgery and evaluate the relevance of several factors before ACDF.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0 patients who underwent stand-alone single-level ACDF using a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8. Our study population comprised 19 male and 21 female patients aged 24-70 years.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 year. Twenty-seven patients had preoperative bone mineral density (BMD) data on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Clinical parameters included sex, age, body mass index, smoking history, and prior medical history. Radiologic parameters included the C2-7 cobb angle, segmental angle, sagittal vertical axis, disc height, and total intervertebral height (TIH) at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eriods. Cage decrement was defined as the reduction in TIH at the 6-month follow-up compared to preoperative TIH. To evaluate the bone quality, Hounsfield unit (HU) value was calculated in the axial and sagittal images of conventional computed tomography. Results : Lumbar BMD values and cervical HU valu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r=0.733, p<0.001).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based on cage decrement, and 47.5% of the total patients were regarded as cage decre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ameters of measuring the HU value of the vertebra and intraoperative dist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hese identified factors, we perform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Based on the ROC curve, the cut-off point was 530 at the HU value of the upper cortical and cancellous vertebrae (p=0.014; area under the curve [AUC], 0.727; sensitivity, 94.7%; specificity, 42.9%) and 22.41 at intraoperative distraction (p=0.017; AUC, 0.722; sensitivity, 85.7%; specificity, 57.9%). Using this value, we converted these parameters into a bifurcated variable and assessed the mult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cage decrement in ACDF. Intraoperative distraction and HU value of the upper vertebral body were independent factors of postoperative subsidence. Conclusion : Insufficient intraoperative distraction and low HU value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postoperative intervertebral height reduction following single stand-alone PEEK cage ACDF.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ss Level and Stress Vulnerability of Workers on Heart Rate Variability)

  • 이종국;서희영;전선영;박선규;방주현;황용범;임경빈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1호
    • /
    • pp.7-15
    • /
    • 2022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직장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주관적인 스트레스와 심박변이도 기기를 통해 얻어진 객관적 스트레스 지표의 유의성을 확인하고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에서 통합적 스트레스 측정도구로서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20년 6월부터 동년 7월까지 K병원에서 수행한 직장인의 스트레스 관리 및 정신건강증진 사업에 참여하고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929명의 기록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일반적 특성 모두 SDNN (ln), RMSSD (ln), LF (ln), HF (ln)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지만 근무경력은 RMSSD (ln)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트레스 수준 및 스트레스 취약성은 심박변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 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β=0.118, p=0.023). 결 론 본 연구에서 스트레스 수준의 하위요인인 스트레스 지각이 RMSSD (ln)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 부교감신경의 활성과의 관련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역사회 정신건강 현장에서 만성 스트레스 및 통합적 스트레스의 직접적인 지표로 평가하기에는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rneal Ulcer Region Detection With Semantic Segmentation Using Deep Learning

  • Im, Jinhyuk;Kim, Dae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1-12
    • /
    • 2022
  • 안과 환자의 질병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특수 촬영 장비를 통해 찍은 안구영상을 이용한 안과의사의 주관적 판단의 개입이 전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과 의료진이 질병을 판단할 때 보조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객관적 진단결과를 제시해주는 각막궤양 의미론적 분할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DeepLab 모델을 활용하였고 그 중 Backbone network으로 Xception과 ResNet 네트워크를 이용하였다. 실험결과를 나타내기 위한 평가지표로 다이스 유사계수와 IoU 값을 이용하였고 ResNet101 네트워크를 사용하였을 때 'crop & resized' 이미지에 대해 최대 평균 정확도 93%의 다이스 유사계수 값을 보였다. 본 연구는 객체 검출을 위한 의미론적 분할모델 또한 안구의 각막궤양 부분과 같은 불규칙하고 특이한 모양을 추출하고 분류하는데 뛰어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성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학습용 Dataset을 양적으로 보강하여 실험결과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하고 실제 의료진단 환경에서 구현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가상현실 주거공간을 위한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 (The Method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Virtual Living Space)

  • 김미선;백희원;서혜란;고일주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795-806
    • /
    • 2017
  • 본 논문은 가상현실 주거공간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사용자경험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사용자경험 평가 요인을 적용하여 사용자경험을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사용자평가 방법론은 기존 사용자평가 방법론에 기반하되, 가상현실 주거공간의 특성에 맞도록 사용 경험과 평가 요인을 변경하여 수립하였다.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가상현실 주거공간 시뮬레이션은 실제 사용자가 현실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 공간과 유사하게 구성하였고,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사용하는 오브젝트들을 각 공간에 배치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주어진 시나리오대로 작업을 수행한 뒤, 시뮬레이션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시뮬레이션의 주요 목표인 사용자에게 현실감을 느끼게 하는 항목이 예상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추후 시뮬레이션은 현실감을 높이는 요소의 추가하거나 확장하는 방식으로 수정 방향을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렇게 본 논문에서 제안한 UX평가 방법은 콘텐츠 개발자 또는 디자이너에게 가상현실 주거공간에서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및 소상공인 온라인쇼핑몰 지속성장 방안 제안 (Big data analysis on NAVER Smart Store and Proposal for Sustainable Growth Plan for Small Business Online Shopping Mall)

  • 장현문;김선주;김채운;서지일;이경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72
    • /
    • 2022
  • 온라인 쇼핑은 디지털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수요 및 COVID-19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이슈 등에 해결책으로 도소매 서비스 분야의 선두에서 전체 시장을 변화시키고 빠르게 성장해왔다. 온라인 쇼핑 산업의 중심에서 다수를 이루고 있는 소상공인도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정책의 변화 및 시장 동향 정보를 수집하여 마케팅 등 영업 활동에 활용하고 있으나, 한정된 자원과 경쟁 여건에서 본연의 사업에 더욱 밀착된 객관적이고 정제된 정보를 또한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빅데이터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몰인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의 상품 분류, 판매 동향, 소비자 선호도 및 리뷰 정보에서 핵심 변수를 선정하여, 등급별 영향도 및 경쟁자 비교 분석 및 온라인 쇼핑몰 사업 지속성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빅데이터 기반으로 소상공인이 경쟁자 또는 우수사업자를 벤치마킹하고, 시장의 트렌드 및 소비자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면, 본인의 영업 수준 및 위치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더욱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발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아울러 온라인 쇼핑몰 사업자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표로 확인할 수 있다면, 한 단계 향상된 측정 방안을 보유하게 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정책의 수립 및 리스크관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성별임금격차는 어떻게 완화되는가?: 최고경영자의 경영철학에 기반한 합리적 인사제도의 효과 (How Can the Gender Pay Gap be Overcome?: The Effect of Rational HR System based on Management Philosophy of CEO)

  • 신수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14-222
    • /
    • 2022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고용평등을 실현해 가는 것이 중요하며, 그 성과를 가늠하기에 가장 적합한 지표는 성별임금격차이다.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에서도 성별임금격차가 가장 심각한 국가로 꼽히고 있으나, 그동안 성별임금격차에 대한 연구는 노동시장의 구조, 정부의 정책, 산업과 같은 거시적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시도가 주로 이어져 왔다. 본 연구는 성별임금격차에 영향을 주는 조직 내부요인 중에서도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인사제도에 주목하였다. 최고경영자의 경영철학은 조직의 의사결정의 방향을 정하고 제도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인사제도는 규칙과 절차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공정하고 객관적인 조직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인사제도의 합리화를 추구하는 조직에서도 소수자가 소외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인사제도의 합리화가 기존 의도와는 달리 차별을 정당화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1].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 인사제도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경영철학에 기반하여 이뤄져야 함을 제안한다. 즉, 최고경영자의 특성과 합리적 인사제도의 통합적 관점에서 성별임금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탐색하였다. 특히, 실질적으로 인력을 활용하는 기업 내부요인에 기반하여 성별임금격차를 살펴봄으로써 조직이 인사제도를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Should Threshold Growth Be Considered a Major Feature in the Diagno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LI-RADS?

  • Jae Hyon Park;Yong Eun Chung;Nieun Seo;Jin-Young Choi;Mi-Suk Park;Myeong-Ji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10호
    • /
    • pp.1628-1639
    • /
    • 2021
  • Objective: Based on the Liver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version 2018 (LI-RADS, v2018), this study aimed to analyze LR-5 diagnostic performance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hen threshold growth as a major feature is replaced by a more HCC-specific ancillary feature, as well as the frequency of threshold growth in HCC and non-HCC malignancies and its association with tumor size.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treatment-naive patients who underwent gadoxetate disodium-enhanced MRIs for focal hepatic lesions and surgery between January 2009 and December 2016. The frequency of major and ancillary features was evaluated for HCC and non-HCC malignancies, and the LR-category was assessed. Ancillary features that were significantly more prevalent in HCC were then used to either replace threshold growth or were added as additional major features, an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readjusted LR category was compared to the LI-RADS v2018. Results: A total of 1013 observations were analyzed. Unlike arterial phase hyperenhancement, washout, or enhancing capsule which were more prevalent in HCCs than in non-HCC malignancies (521/616 vs. 18/58, 489/616 vs. 19/58, and 181/616 vs. 5/58, respectively; p < 0.001), threshold growth was more prevalent in non-HCC malignancies than in HCCs (11/23 vs. 17/119; p < 0.001). The mean size of non-HCC malignancies showing threshold growth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non-HCC malignancies without threshold growth (22.2 mm vs. 42.9 mm, p = 0.040). Similar results were found for HCCs;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26.8 mm vs. 33.1 mm, p = 0.184). Additionally, Fat-in-nodule was more frequent in HCCs than in non-HCC malignancies (99/616 vs. 2/58, p = 0.010). When threshold growth and fat-in-nodule were considered as ancillary and major features, respectively, LR-5 sensitivity (73.2% vs. 73.9%, p = 0.289) and specificity (98.2% vs. 98.5%, p > 0.999) were comparable to the LI-RADS v2018. Conclusion: Threshold growth is not a significant diagnostic indicator of HCC and is more common in non-HCC malignancies.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LR-5 was comparable when threshold growth was recategorized as an ancillary feature and replaced by a more HCC-specific ancillary feature.

철도 서비스수준을 고려한 노후철도역사 평가기준 마련 및 적용방안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 Old Railway Station Considering the Level of Railway Service)

  • 김경호;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101-108
    • /
    • 2024
  • 국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전체 철도역사는 322개(일반·광역철도 포함)로 상당히 많은 역사에서 노후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철도역사의 규모와 출입구의 수 측면에서 적정한 서비스 용량을 확보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도시개발 등 주변 여건 변화를 겪으며 역사개량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과거에는 철도역사가 유지 또는 관리 차원에서 연결통로라는 단순한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으나, 최근 들어 철도역사도 이용자 중심의 쾌적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서비스 제공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후역사의 개량 기준에 부합하는 개량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철도 노후역사 개량 관련 사례조사를 시행하고, 서비스 수준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 모형에는 서비스 수준(LOS) 개념을 도입하여 역사 혼잡도, 역사 이동 편의성, 역사 안전성을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개발 모형은 각 지표의 다양한 평가요소들을 주요 요소와 세부 요소로 나누어 계층화하고, 계층별 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 분석적 계층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시설별 LOS 상 E와 F의 개수 비율을 활용하여 개량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객관적이고 형평성 있는 철도역사 개량을 위한 평가 기준으로 활용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Prediction of Cognitive Progression in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Using Radiomics as an Improvement of the ATN System: A Five-Year Follow-Up Study

  • Rao Song;Xiaojia Wu;Huan Liu;Dajing Guo;Lin Tang;Wei Zhang;Junbang Feng;Chuanming L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호
    • /
    • pp.89-100
    • /
    • 2022
  • Objective: To improve the N biomarker in the amyloid/tau/neurodegeneration system by radiomics and study its value for predicting cognitive progression in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Materials and Methods: A group of 147 healthy controls (HCs) (72 male;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73.7 ± 6.3 years), 197 patients with MCI (114 male; 72.2 ± 7.1 years), and 128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74 male; 73.7 ± 8.4 years) were included. Optimal A, T, and N biomarkers for discriminating HC and AD were selec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A radiomics model contain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of the whole cerebral cortex and deep nuclei was established to create a new N biomarker. Cerebrospinal fluid (CSF) biomarkers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optimal A or T biomarkers. All MCI patients were followed up until AD conversion or for at least 60 months. The predictive value of A, T, and the radiomics-based N biomarker for cognitive progression of MCI to AD were analyzed using Kaplan-Meier estimates and the log-rank test. Results: The radiomics-based N biomarker showed an ROC curve area of 0.998 for discriminating between AD and HC. CSF Aβ42 and p-tau proteins were identified as the optimal A and T biomarkers, respectively. For MCI patients on the Alzheimer's continuum, isolated A+ was an indicator of cognitive stability, while abnormalities of T and N,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indicated a high risk of progression. For MCI patients with suspected non-Alzheimer's disease pathophysiology, isolated T+ indicated cognitive stability, while the appearance of the radiomics-based N+ indicated a high risk of progression to AD. Conclusion: We proposed a new radiomics-based improved N biomarker that could help identify patients with MCI who are at a higher risk for cognitive progression. In addition, we clarified the value of a single A/T/N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cognitive progression of MCI.

Hyperoxia-Induced ΔR1: MRI Biomarker of Histological Infarction in Acute Cerebral Stroke

  • Kye Jin Park;Ji-Yeon Suh;Changhoe Heo;Miyeon Kim;Jin Hee Baek;Jeong K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4호
    • /
    • pp.446-454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hyperoxia-induced ΔR1 (hyperO2ΔR1) can accurately identify histological infarction in an acute cerebral strok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In 18 rats, MRI parameters, including hyperO2ΔR1,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cerebral blood flow and volume, and 18F-fluorodeoxyglucose uptake on PET were measured 2.5, 4.5, and 6.5 hours after a 60-minutes occl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brain was perform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maging studies. MRI and PET images were co-registered with digitized histological images. The ipsilateral hemisphere was divided into histological infarct (histological cell death), non-infarct ischemic (no cell death but ADC decrease), and nonischemic (no cell death or ADC decrease) areas for comparisons of imaging parameters. The levels of hyperO2ΔR1 and ADC were measured voxel-wise from the infarct core to the non-ischemic region. The correlation between areas of hyperO2ΔR1-derived infarction and histological cell death was evaluated. Results: HyperO2ΔR1 increased only in the infarct area (p ≤ 0.046) compared to the other areas. ADC decreased stepwise from non-ischemic to infarct areas (p = 0.002 at all time points). The other parameters did not show consiste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reas across the three time points. HyperO2ΔR1 sharply declined from the core to the border of the infarct areas, whereas there was no change within the non-infarct areas. A hyperO2ΔR1 value of 0.04 s-1 was considered the criterion to identify histological infarction. ADC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infarct core to the periphery, without a pronounced difference at the border between the infarct and non-infarct areas. Areas of hyperO2ΔR1 higher than 0.04 s-1 on MRI were strong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cell death (r = 0.862; p < 0.001). Conclusion: HyperO2ΔR1 may be used as an accurate and early (2.5 hours after onset) indicator of histological infarction in acute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