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ject Lesson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스토리텔링 기반의 교수-학습 과정안 구안 및 현장적용 가능성 탐색 - 고등학교 수학과 집합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Lesson Plan based on Storytelling and Search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 강한균;김회용;김두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302-318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asily-understandable mathematics class to highschool students, who usually take no interest in mathematics, by apply teaching strategy based on storytelling to real lessons. The approaching methods for the mathematics education are emphasiz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during making storytelling-studying plans, inducing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by applying the mathematical situations in the story. The effects of the storytelling such as induction of the interest, persistency, perception of the practicality,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oincides with the way national mathematical education orients. This study contains the definition of the storytelling based on education, and applicability to the students, and application to the real lesson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s by focus-group interview with the students and observing teachers. I made the lesson plan based on storytelling for achievements to the object of the highschool mathematical study, and searched the best way to apply the lesson plan to the real lessons. I studied designing lesson strategy based on dissertations and books and reports directly related this study, and did focus-group interview to find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trategy. And finally I could make the well-applicable lesson plan.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NOS)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맥락에서- (The Characteristics of NOS Lessons by Science Teachers: In the Context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민환;신해민;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362-375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NOS 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의 수업에서 NOS를 가르치고 있는 과학교사 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NOS 수업을 관찰하였고 수업의 전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분석적 귀납법과 지속적 비교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NOS에 대한 교사들의 전통적 관점이 수업 중에도 그대로 드러났으며 면담에서 현대적인 관점을 보이더라도 수업에서는 전통적인 관점으로 모순된 모습을 보이는 경우도 있었다. 세 교사가 가르친 NOS의 영역은 다양하였으나 '잠정성'은 모두 가르쳤으며 이를 중요한 목표로 생각하였다. 교사들은 주로 자신의 전공과 관련된 내용으로 NOS를 가르치고자 하여 NOS 교수는 교사의 전공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미지의 탐구 대상을 추론함으로써 NOS를 학습하는 활동에서 활동의 규칙과 달리 탐구 대상을 공개하기도 하였는데 이것이 오히려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NOS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나 NOS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지 않거나 제한된 방법으로만 평가를 실시하는 등 평가에서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교육과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과학·공학 융합 수업의 중학교 현장적용을 위한 전문가 제안 (Expert Sugges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in Middle Science Classrooms)

  • 이효진;남윤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3호
    • /
    • pp.20-3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aningful way of implementing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s in school science settings. To this end, two typ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units (focusing on the physic concepts of light and wav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ore elemen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 object, context, engineering design, and connection with science. These two units were implemented in free semester program in a middle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program implementation, instructor's reflec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with participant students were collected to reveal problems arising from the field implementation. In addition, engineering education experts were interviewed to discuss the potential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s. As results of the study, five main problems of implementing e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lessons in a school science setting were revealed and practical solutions for the problems were suggested by the experts.

미국 Nature-Study 형성 과정과 과학교육에의 시사점 (The Formation Process of Nature-Study in U.S. and Its Implication for Science Education)

  • 박종석;박상민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18-125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Nature-Study의 형성 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과학교육의 방향과 의미를 재고하여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Nature-Study의 사상은 실물 교육을 강조한 캄파넬라, 라트케, 코메니우스, 페스탈로치 등의 사상에 기초하고 쉘던의 사물학습, 아가시의 자연사, 파커의 진보주의에 의해 형성되었다. Nature-Study는 방법적 측면에서는 사물학습의 '실물 주제 중심의 학습', 내용적 측면에서는 자연사의 '자연에 대한 학습', 철학적 측면에서는 진보주의의 '학습자 중심의 학습'에 영향을 받아 발전해 나갔다. 아가시의 제자로 쉘던의 오스위고 사범학교와 파커의 쿡 카운티 사범학교에서 근무한 스트레이트는 이 세 영역을 종합화하여 Nature-Study 형성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어 쿡 카운티 사범학교의 잭만은 Nature-Study를 교과로서 확립시켰으며 코넬 대학의 베일리와 콤스톡은 미국 Nature-Study 협회를 구성하여 대중화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교육자들이 점차 통합적인 Nature-Study를 거부하고 직접 경험보다 교과서를 중요하게 여기면서 1920년대 이후 Nature-Study가 쇠퇴하게 되었다. 과학교육에서 Nature-Study 정신은 통합과 실제적 학습을 강조하는 오늘날 과학교육에 있어 자연을 주제로 한 통합교육, 자기주도적 학습, 자연과의 교감, 학습자의 인격 형성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ign-First Approach 와 UML이용 (A Case Study on the Design-First Approach and using UML for a Video Rental Store)

  • 국중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8
    • /
    • 2007
  • 객체지향기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소위 @큰 그림@ (big picture)으로 나타내는 @design-first@ approach 방식으로 채택하는 하는 경향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도 이 방식을 채택하여 video rental store(VRS) system을 개발하였다 이 system은 효과적으로 모델링(modeling) 할 수 있도록 UML을 이용하였으며, PHP script, MySQL Database, Java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실습 프러적트(project)로 구현하였다. 단계별 프로세싱을 통해 학생들이 프로그래밍을 작성하는데 원칙을 따르도록 지도 하였으며, 코딩(coding)을 시작하기 전에, 계획, 분석, 그리고 설계를 이행하도록 지도했다. 학생들이 가능한 실제 세계와 같은 경험을 가지도록 노력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그 개발과정은 긍정적이었다.

  • PDF

엑셀의 활용이 일차함수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n Problem Solving of Linear Function Using Excel)

  • 이광상;조민식;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3호
    • /
    • pp.265-29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엑셀의 활용이 일차함수의 문제해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엑셀을 활용한 교수실험 전과 후에 학생들의 함수에 관한 문제해결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문제해결검사를 실시하였다. 문제해결검사 분석은 정확한 과정-대상관점, 근접한 과정-대상관점, 부정확한 과정-대상관점으로 범주화해 이루어졌다. 문제해결검사 분석 결과, 교수실험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 일차함수에 관한 문제해결관점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되었다. 엑셀을 활용한 탐구학습환경이 지필환경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IIM 기반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 탐구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IIM-based Science Writhing Lessson on Science Process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 신명렬;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67-2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IM-based science writhing lesson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To verify research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one classes of an elementary science-gifted class in Busan National Universty of education : the re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IIM-based science writing lessons. During 12 weeks, the IIM-based science writing lessons was executed in the reasearch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We look into detailly this,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basis science skill. The sub-factor 'expectation'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effects a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the re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In conclusion, IIM-based science writing lesson was more effective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self-directed learning.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progra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program.

초등학생을 위한 소음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ois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

  • 천혜경;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3호
    • /
    • pp.18-30
    • /
    • 2007
  •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nois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NEEP) for elementary student. And through this program, the student who is remaining as a spector or has not active attitude for noise problems will be encouraged to solve the troubles spontaneously.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he two classes in H elementary school where is near to the Daegu international airport. One class that is a group for experiment has five NEEP lessons during five weeks in the time for the creative discretional activities. The other class, which wa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no lessons. NEEP was made on the bases that are the contents related with noise in 7th elementary education policy and the data developed by previous researchers. This program is containing basic concepts for noise and the effects of noise problems on human body or studying in class. And after using NEEP, students became more sensitive for noise environments than previous. And also students showed the positive attitude for solving noise troubles. It was meaningful in the level of p<.001 that the result of noise knowledge and awareness in the pre-post test within experiment group. However, all of the results in comparison group didn't represen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nd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 after carrying out NEEP. In the area of noise knowledge and awareness, there were clearly meaningful results in the level of p<.001. Although the difference in noise attitude was a little, it was analyzed to have not a meaningful result. What suggested for researches in future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until now the concrete research for the elementary student who exposed to noise and experienced a difficulty in hearing is deficient, many studies are needed. Second, NEEP with more lessons is required because the change of effective attitude needs long term. Third, due to the student who exposed to noise generally has low ability for concentration, NEEP compensated with activities is needed.

  • PDF

'Dolittle'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ming Lessons using 'Dolittle' on Logical Thinking)

  • 권창미;권보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1467-1474
    • /
    • 2009
  • 지식정보 사회에서 살아갈 사람들에게 중요시되는 능력은 새로운 상황에 당면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이 요구된다. ACM은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해 프로그래밍언어를 통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는 개념 중심이며 차후학습으로의 연계성이 상당히 부족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논리적 사고력 형성을 위해 교육용프로그래밍 언어인 '두리틀'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인지발달 수준과 논리적 사고력 형성 및 구체적 하위 논리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객체 지향 CASE 도구에 대한 재구조화 실험 (An Experiment in Refactoring an Object-Oriented CASE Tool)

  • 조장우;김태균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32-940
    • /
    • 1999
  • 객체 지향 기법은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재구조화 과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Refactoring은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정제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Refactoring 기법을 기존에 구현된 바 있는 객체 지향 CASE(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인 OODesigner 버전 1.x에 적용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버전 1.x는 Rumbaugh의 OMT(Object Modeling Technique) 모델 중에서 객체 모델을 지원하며, 객체도표 작성, 클래스 자원에 대한 문서화, 자동적인 C++ 코드생성, 클래스 재사용을 위한 정보 저장소, C++코드의 역공학 기능들을 지원한다. 비로 버전 1.x가 요구되는 기능과 신뢰성에 문제가 없었으나 구조적인 관저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버전 1.x를 재구조화하여 보수 유지가 용이한 시스템 구조로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재구조화의 필요성, 재구조화 과정, 재구조화 내용 그리고 재구조화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의 OODesigner 버전 1.x 와 재구조화된 OODesigner 버전2.x를 소프트웨어 메트릭(metric)를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와 이 과정에서 얻은 경험들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