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id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Tempor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the fish-killing dinoflagellate Karlodinium veneficum (Dinophyceae) in Tongyeong, Korea

  • Park, Tae-Gyu;Ok, Yu-Ran;Park, Young-Tae;Lee, Chang-Kyu
    • ALGAE
    • /
    • 제26권3호
    • /
    • pp.237-241
    • /
    • 2011
  • The toxic dinoflagellate Karlodinium veneficum has been implicated in numerous fish kill events around the world. Since this species commonly co-occurs with other morphologically similar dinoflagellates, field monitoring of this species in natural waters via light microscopy only has been problemati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emporal changes in K. veneficum's abundance in the waters of Obido, Tongyeong, using a species-specific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The field survey, from April to December 2010, revealed K. veneficum occurred at low densities (12 to 425 cells $L^{-1}$) during this time and that cell numbers peaked in June (early summer in Korea), indicating this species generally occurs in the warmer season (mostly at $16.9-22.3^{\circ}C$ and 33.4-34.5‰) in the Obido area.

통영 서부 사량도응회암의 암석학적 진화 (Petrological Evolution of the Saryangdo Tuff in Western Tongyeong)

  • 이소진;황상구;송교영
    • 암석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1-83
    • /
    • 2019
  • 사량도 지역의 화산암류는 하부로부터 윗섬안산암, 풍화리응회암, 아랫섬안산암, 오비도층, 남산유문암 그리고 사량도응회암으로 구성된다. 이 화산암류는 안산암-유문데사이트-유문암의 범위를 가지며 칼크알칼리 계열이고 조산대의 화산호환경을 지시한다. 또한 이 화산암류는 미량원소 변화도와 REE 패턴에서 각기 다른 마그마챔버에서 유래된 것으로 해석되는 세 그룹(윗섬안산암, 아랫섬안산암, 사량도응회암)으로 나뉜다. 사량도응회암은 수직 변화도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데사이트에서 유문암까지 순차적으로 보여준다(점진적으로 변화하는 화학적 조성누대). 순차적인 일련의 조성 변화는 응회암이 중심부의 유문암질 마그마를 둘러싼 상대적으로 데사이트질인 마그마로 누대된 마그마챔버의 상부에서 하부의 연속적인 분출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누대된 마그마챔버는 분별결정작용에 의한 마그마 분화과정으로 일어난 연변 누적 및 결정 퇴적으로부터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