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esity prevention

검색결과 576건 처리시간 0.029초

외식산업에서 약선(藥膳)음식의 인지도 (Acknowledgement of Herbal Foods in Foodservice Industry)

  • 황대욱;이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65-73
    • /
    • 2006
  • 21세기 새로운 음식의 컨셉으로 건강에 관한 관심증대로 한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음식, 약선음식, 한방음식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약초 및 식품의 효능, 약선음식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여 건강에 가장 관심이 많은 40-50대 고객들을 지속적으로 유인하고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방음식을 영양가가 많고, 성인병 예방과 장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 식품의 효능에서 마늘(암 예방, 노화방지), 미역(피를 맑게하고 혈압하강작용), 은행(천식, 해독작용)에 대해 잘 알고 있고, 약초효능에서 쑥, 인삼, 로얄젤리의 효능을 높게 인지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계절에 따라 약선차를 음료수로 제공한다. 둘째, 밥에 여러가지 곡식, 한약재, 야채를 넣어 매일 섭취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마늘과 은행을 넣은 영양 돌솥밥, 고구마 차수수밥이 있다. 셋째, 약초 및 식품 효능의 구체적인 설명을 메뉴판에 넣어서 소비자의 관심과 호기심을 유도한다.

  • PDF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에서의 우울증 위험요인 연구 (Study of depression risk factors in simple labor occupation group)

  • 이범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53-258
    • /
    • 2020
  •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혈압과 같은 여러 질병들뿐만 아니라 사망률과도 연관성이 높은 질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성인 중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에서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임상학적 위험지표를 발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데이터로는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2016-2018)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우울증과 인구학적 정보와의 연관성에서는 나이, 성별, 스트레스 인지정도, 스트레스 인지율 지표들이 우울증과 매우 높은 통계적 연관성이 나타났고, 교육과 결혼유무도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둘레 및 체질량지수와 같은 비만 지표들은 우울증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정보 중 hemoglobin과 hematocrit은 우울증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나이로 보정한 분석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보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Benefits, barriers, self-efficacy and knowledge regarding healthy foods; perception of African Americans living in eastern North Carolina

  • Pawlak, Roman;Colby, Sar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1호
    • /
    • pp.56-63
    • /
    • 2009
  • African Americans in the United States suffer from many health disparities such as obesity, diabetes or hypertension. Lifestyle factors including diet and physical activ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on of these health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was to assess beliefs, barriers and self-efficacy of eating a healthy diet and self efficacy of shopping for foods such as whole grains or foods designated as low fat or low sodium. Additionally, the objective was to assess beliefs about healthfulness, appropriate consumption, and protective aspect of specific foods including fruits, vegetables, and whole grains. The assessment was done using a survey instrument developed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at two church locations. Data were obtained from 57 African Americans, mean age 50 years old (SD 12.70) completed the surve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58.1%) were females and most (75%) had at least some college education. Generally, benefits of eating healthy foods received considerably higher scores compared to barriers of eating healthy. A belief that healthy foods would help to take care of one's body received the highest mean score while a belief that healthy foods are too expensive had the highest score from all barriers. The results showed high self-efficacy of eating and purchasing healthy foods, high awareness of knowledge regarding foods associated with disease prevention but low awareness of recommendations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 high scores for benefits, self-efficacy and knowledge regarding eating healthy food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erception of intake of such foods. Most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y do not eat enough of healthy foods. Interventions design to help African Americans make dietary changes should be culturally relevant and should involved working on a community level utilizing messages that are familiar and relevant to African Americans.

분화된 3T3-L1 세포와 비만유도 쥐에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지질분해 효과 (Lipolytic Effect of Sparassis crispa Extracts in Differentiated 3T3-L1 Cells and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미애;박진경;엄미향;전정우;이정민;박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08-171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된 3T3-L1 지방 세포와 비만 유도 쥐에서 지질분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In vitro, preadipocyte에서 MTT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한 결과 시간, 농도에 관계없이 세포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분해 효과는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해 산물인 glycerol 양을 측정한 결과 48, 72시간에서 시간,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Lipolytic enzyme의 CPT-1 및 UCP-2 발현을 측정하기 위해 Western blot assay를 실시한 결과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이 CPT-1 및 UC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vo에서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쥐에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동물의 체중은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군에 비해 저농도, 고농도 꽃송이버섯을 처리한 군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와 지방조직 무게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체중과 장기 및 지방조직의 감소가 저농도, 고농도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혈청 및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혈청지질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함량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중성지방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총 콜레스테롤 역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의 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이 비만이 유도된 쥐의 혈청 및 간의 지질 농도 변화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은 lipolytic enzyme의 발현을 증가시켜 지방산의 산화 반응 및 열 발생에 의한 에너지 소비율을 증가시켜 lipid accumulation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한 체중 감소 및 혈청이나 간의 지질함량을 개선시켜 지질분해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비만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사회 거주 중년 여성 집단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과체중 집단과 정상체중 집단 간 비교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Wome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Overweight and Normal-Weight Groups)

  • 양화미;추진아;김혜진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 /
    • 제18권4호
    • /
    • pp.159-168
    • /
    • 2018
  • 연구배경: 중년기 여성은 젊은 여성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의 유병률이 높으며,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비만과 관련된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나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건강관련 삶의 질에 취약한 과체중 중년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전략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건강증진 행위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체중 중년 여성이 정상체중의 중년 여성에 비하여 건강증진 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은지를 조사하고, 과체중 중년 여성에서 건강증진 행위가 일반적(generic) 혹은 비만특이적(obesity-specific)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비교 연구이다. 서울시 성북구에 거주하는 30-49세 중년 여성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과체중군은 63명이고 정상체중군은 56명이었다. 건강증진 행위는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 II)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일반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ief version(WHOQOL-BREF)을 사용하였으며, 비만특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은 Impact of Weight on Quality of Life-Lite(IWQOL-Lite)를 사용하였다.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 간의 건강증진 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수행하였고, 과체중군 안에서 건강증진 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하여 건강증진 행위의 스트레스 관리(P=0.029)를 포함하여 영양(P=0.004)과 신체활동(P=0.006)의 하부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과체중군은 정상체중군에 비하여 일반적 건강관련 삶의 질 총점(P<0.001)과 비만특이적 건강관련 삶의 질 총점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더욱이, 과체중군에서 건강증진 행위 하부영역 중 스트레스 관리 점수가 높을수록 일반적 건강관련 삶의 질 총점이 높고(${\beta}=1.58$, P=0.003), 비만특이적 삶의 질 영역 중 자아존중감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beta}=11.58$, P=0.034). 결론: 중년기 과체중 여성이 정상체중 여성과 비교하여 특히 건강증진 행위 중 스트레스 관리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역사회 중년기 과체중 여성의 일반적 혹은 비만과 관련된 건강관련 삶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스트레스 관리의 전략적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G시 보건소에 등록된 미숙아의 영유아기 성장과 발달 상태 (Growth and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 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4권1호
    • /
    • pp.44-52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during the 2 years after birt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02 infants, 51 each for premature infants, and for healthy full-term infants. Participants in the premature group accounted for 17.5% of all premature infants who were registered at the public health center in G city. Developmental status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Denver II. Results: The catch-up growth of the premature was 100% in weight and in height.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the Korean Denver II was 3.9% in normal infants and 31.2% in premature infants. Factors related to the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in premature infants were their age and health state at birth. The rate of suspicious developmental delay was higher in infants over 6 months and infants unhealthy at birth. Conclusion: A premature follow-up program, which includes nutrition education to achieve catch-up growth and to prevention obesity, along with continuous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born prematurely is recommended. Provision for home visits and telephone counseling for premature infants and their families who do not to use the public health center should also be included.

  • PDF

폐경기 여성의 랄록시펜과 혈중 지질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Raloxifene and Lipid Profiles in Postmenopausal Women: A Systematic Review)

  • 유지수;안지현;김두리;추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63-7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raloxifene in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Data sources: The existing literature from 1986 to 2009 was searched electronically using the data base of Medline with the key words of hypertension, obesity, diabetes, cholesterol, lipid, myocardial infarction, coronary events with combination of raloxifene. Study selection: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review were 1) an randomized clinical trial (RCT), 2) postmenopausal women, 3) English or Korean language. Finally, 1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review. Data extraction: Findings from the studie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ipid profile changes by two authors. Results: Among 15 articles, 12 studies repor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raloxifene on LDL cholesterol and 9 studies on total cholesterol in the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 The consistent results on reduction of LDL cholesterol and total cholesterol in raloxifene using postmenopausal women were confirmed. However, the effect of raloxifene on other components of lipid profile and endothelial function were still remaining controversial.

운항승무원의 생활습관과 건강검진 결과가 병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ifestyle and Health Examination Results on Sick Leave in Commercial Airline Pilots)

  • 김지선;이남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4-19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health examination results, and sick leave days by airmen medical examination decision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ick leave days.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2,361 Korean pilots who worked for a commercial airline. Comparison of the results by airmen medical examination decision (Fit or waver) was conducted using the 𝝌2 test or Fisher's exact test. Factors affecting sick leave day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ge, smoking history, blood pressure, obesity, and fasting blood sugar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it and Waver groups. Rate of using sick leave long-term was higher in the Waver than in the Fit. Sick leave day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habits of drinking, and smoking in the Fit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health risk factors that affect the number of sick leave day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health care of workers, it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the provision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programs for workers.

비알콜성지방간의 유병율과 병리기전에 대한 문헌적 고찰 (Overview for Prevalence and Patholog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박연화;유사라;손창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32
    • /
    • 2011
  • Objectives :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s known to be increasing and becoming a health-related issue worldwid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ts prevalence and characterize NAFLD. Methods : NAFLD-related papers were surveyed via PubMed and in Korean medical journals, and then the prevalence and pathology were review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NAFLD in the general population is around 10~30% worldwide. The prevalence of NAFLD in Korea is estimated as 15~30%, which is higher than in China and Japan. The most important etiological-factors of NAFLD include central obesity resulting from excessive calorie intake and less physical activity, which lead to adiponectin hypo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The Oriental medicine view point of NAFLD pathology is phlegm-dampness by dysfunction of free flow in liver.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d an overview of the prevalence and pathology of NAFLD, and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strategy for traditional Korean medicine-based prevention or treatment of NAFLD.

영양교육이 체중조절 프로그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Weight Control Program)

  • 임경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7-183
    • /
    • 1999
  • This study attemp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a weight control prog-ram. The major components of nutrition education in this program held for 8 weekly sessions were the general nutrition information about the diets especially low fat high carbohydrate hypocaloric diets methods of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strategies for the maintenace of proper body weight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obesity. Twenty five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Nutrition Education (NE) group or the Diet Only (DO) group. Mean energy intake of the NE group was 1,230kcal(CHO:61% PRO:15% FAT:24%) DO group consumed 1,472kcal(CHO:58%, PRO:16% FAT:26%). The NE group lost 3.3$\pm$0.7kg of body weight. In contrast the DO group lost 1.8$\pm$0.6kg The NE group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holesterol LDL-cholesterol level however the DO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in triglycer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gressive nutrition education in a weight control program might re-duce body weight and serum lipids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