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A screen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6초

수면호흡장애의 진단과 수면다원검사 (The diagnosis of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 and polysomnography)

  • 박지운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4호
    • /
    • pp.238-248
    • /
    • 2015
  • Sleep related breathing disorders(SRBDs) are a group of diseases accompanied by difficulties in respiration and ventilation during sleep. Central sleep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OSA), sleep-related hypoventilation, and hypoxemia disorder are included in this disease entity. OSA is known to be the most common SRBDs and studies show it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eral health problems including hypertension, arrhythmia,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The diagnostic process of OSA is composed of physical examinations of the head and neck area and also the oral cavity. Radiologic studies including cephalography, CT, MRI, and fluoroscopy assist in identifying the site of obstruction. However, polysomnography(PSG) is still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OSA since it offer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cording of the events during a whole night's sleep. The dentist who is trained in sleep medicine can easily identify patients with the risk of OSA starting from simple questions and screening questionnaires. Diagnosis is the first step to treatment and considering the high rate of under-diagnosis for OSA the dentist may play a substantial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A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the well-being of the patient as a whole person. So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ssist dental professionals in gaining knowledge and insight of the diagnostic measures for OSA including PSG.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두부규격방사선사진 상의 특징 및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 (Cephalometric Characterstics and their Relationship to Respiratory Disturbance Indices in Snorer an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최재갑;최정미;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4호
    • /
    • pp.369-376
    • /
    • 2001
  • Objectives :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in snorers and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to see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ices (RDI). Materials and Methods : Twelve snoring patients, 11 patients with OSA, and 10 normal subjects were included for the study. After taking a screening sleep study for a night to obtain RDI, $SaO_2$, and snoring index, a detailed cephal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to obtain SNA, SNB, SN-MP, IAS, MAS, SPAS, SAAS, Mn-H, and PNS-P. All the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For a group including 12 snoring patients and 11 OSA patient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and each item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Results : The mandible and the maxilla are retropositioned. The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airway is reduced in area and is a factor that could produce or enhance OSA symptoms. The hyoid bone is displaced inferiorly. The soft palate is significantly elongated. Conclusions : These data suggest that cephalometric evaluation could be useful to evaluate snoring and OSA patients, and to assist with the planning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upper airway patency.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에서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과 비의존성 무호흡의 호흡의 비교 (Comparison of REM Sleep-Dependen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with Sleep Stage Non-Dependent One in Women Patients)

  • 박태준;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15권1호
    • /
    • pp.25-32
    • /
    • 2008
  • 렘수면 의존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REMOSA)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SAS)에 대한 연구에 비해 지난 10여 년 동안 활발한 편이 아니었으며, 그 중요성 역시 간과되어 왔다. REM-OSA가 남자에서보다 여자에서 좀 더 흔히 일어난다고 보고한 연구들은 있었으나, 아직까지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렘수면 의존성 무호흡증군(REM-OSA)을 렘수면 의존성이 없는 무호흡증군(SND-OSA)과 비교 연구하여 이 질환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의학센터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을 받은(AHI>5 ; AHI:apneahypopnea index) 여자 환자 53명중 비교 연구를 위해 경도(52와 AHI-NR<15(AHI-R : AHI during REM sleep, AHI-NR : AHI during non-REM sleep)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기준을 설정하였고, 렘수면에 의존하지 않는 무호흡증환자(SND-OSA)군과 제반 변인들에 관해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을 적용한 환자군과 육안판독으로 진단한 환자군도 비교하였다. 결 과 : 총 44명 중 산술적인 진단기준을 통해 REMOSA로 진단된 환자는 28명(63.6%), 육안 판독으로 진단된 환자는 24명(54.5%)이었다. 산술적 진단기준에 따른 REM-OSA군과 SND-OSA군 비교에서 두 군간에 저호흡지수, 무호흡-저호흡지수, 비렘수면 무호흡-저호흡지수, 총 수면시간, 총각성시간, 수면효율, 1단계 수면 분율, 2단계 수면 분율, 렘수면 단계 분율, REM 잠복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다. 진단에 관여하는 변인인 무호흡-저호흡지수 비율(AHI-R/AHI-NR)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렘수면 단계 분율(B=0.537, p=0.002)이었으며, REM-OSA는 중증도가 경할수록(${\chi}^2=13.117$, p<0.001), 렘수면 단계 분율이 클수록(${\chi}^2=13.325$, p=0.001) 더 흔하게 진단되었다. 그리고, 산술적인 진단기준으로 REM-OSA를 진단한 결과와 육안 판독으로 진단한 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57). 결론 :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로는 REM-OSA 환자군과 SND-OSA 환자군 간에 야간 수면다원검사로 산출한 수면 변인과 수면 구조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여자 환자군을 대상으로 REM-OSA를 국내외 최초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안면 및 혀의 크기에 대한 연구 (A size analy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 배응권;;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65-870
    • /
    • 1997
  • 폐쇄성 수면무호흡(이하 OSA)환자의 일반적 특징의 하나로 다소 비대한 Submental부위를 든다. 따라서 근간에는 경부 주위의 측정을 임상적 진단의 한 보조방법으로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80명의 환자로 부터 직접위와 앙와위의 두 자세에서 각각 두 장의 측모두부방서선사진을 채득하여 OSA환자의 안면과 혀의 크기를 일반인의 그것과 비교 하였다. 채득된 실험자료는 각각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무증상군, 경미군 중증군 그리고 중중근으로 나누었다. 크기 측정의 방법으로는 각각의 두 계측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모든 계측치의 합으로 해부학적 크기를 대신하였다. 결과로서, 안면의 크기가 혀의 크기보다 체중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증상의 심한 정도와는 혀의 크기가 더 중요한 측정치 임을 알수 있었다. 혀의 크기가 증상의 정도에 비례함에 있어서 $1\%$의 유의차를 보였다.

  • PDF

코골이용 압전센서를 이용한 수면무호흡 검출에 관한 예비 연구 (Sleep Apnea Detection Using a Piezo Snoring Sensor: A Pilot study)

  • 에르덴바야르;이효기;김호중;이경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80
    • /
    • 2014
  •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sleep apnea by using features extracted from pulse rate variability(PRV) signals induced from piezo snoring sensor for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OSA). We have extracted eight features(NN, SDNN, RMSSD, NN10, NN50, LF, HF and LF/HF ratio) based on time and frequency analyses of PRV. Sleep apnea was classified by 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A). A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snore recordings from 13 patients with OSA (ages: $54.5{\pm}10.5$ years, body mass index: $26.3{\pm}2.5kg/m^2$, apnea-hypopnea index: $19.2{\pm}6.0/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8.9{\pm}0.9%$ and $78.9{\pm}0.9%$ for training set and $77.7{\pm}10.9%$ and $79.0{\pm}2.8%$ for test set, respectively. Our study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a piezo snoring sensor based on a portable device as a simple and cost-effective solution for contributing to the OSA screening.

Snoring during Bronchoscopy with Moderate Sedation Is a Predictor of Obstructive Sleep Apnea

  • Cho, Jaeyoung;Choi, Sun Mi;Park, Young Sik;Lee, Chang-Hoon;Lee, Sang-Min;Lee, Jinwoo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2권4호
    • /
    • pp.335-340
    • /
    • 2019
  • Background: Snoring is the cardinal symptom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Snoring and upper airway obstruction associated with major oxygen desaturation may occur in populations undergoing flexible bronchoscopy. Method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patients at a high risk of having OSA among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with sedation and to investigate whether snoring during the procedure predicts patients who are at risk of OSA, we prospectively enrolled 517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the procedure with moderate sedation. Patients exhibiting audible snoring for any duration during the procedure were considered snorers. The STOP-Bang (Snoring, Tiredness, Observed apnea, high blood Pressure-Body mass index, Age, Neck circumference and Gender)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patients at high (score ${\geq}3$ out of 8) or low risk (score <3) of OSA. Results: Of the 517 patients, 165 (31.9%) snored during bronchoscopy under sedation. The prevalence of a STOP-Bang score ${\geq}3$ was 61.9% (320/517), whereas 200 of the 352 nonsnorers (56.8%) and 120 of the 165 snorers (72.7%) had a STOP-Bang score ${\geq}3$ (p=0.001). In multivariable analysis, snoring during bronchoscop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STOP-Bang score ${\geq}3$ after adjustment for the presence of diabetes mellitu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ronic kidney disease, and stroke (adjusted odds ratio, 1.91; 95% confidence interval, 1.26-2.89; p=0.002). Conclusion: Two-thirds of patients undergoing bronchoscopy with moderate sedation were at risk of OSA based on the screening questionnaire. Snoring during bronchoscopy was highly predictive of patients at high risk of OSA.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환자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을 위한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the Berlin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for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Sleep Clinic Population)

  • 강현희;강지영;이상학;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18권2호
    • /
    • pp.82-86
    • /
    • 2011
  • 목 적 : 베를린 설문은 시행이 간편하고 비용이 들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 검사 중 하나이다. 최근까지 다양한 문헌을 통해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에 대한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폐쇄성수면무호흡을 선별하는 도구로서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 법 : 코골이 및 수면 중 무호흡 등의 증상으로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121명을 대상으로 베를린 설문 및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분석 대상자를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중증도에 따라 인구학적 특성 및 수면다원검사상 수면 변인 및 호흡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또한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증도에 따라 베를린 결과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등을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을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중증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정상 25명(20.6%), 경도 30명(25%), 중등도 26명(21.4%), 중증 40명(33%)의 분포를 보였다. 베를린 설문 결과상 고위험군은 84명(69.4%), 저위험군은 37명(30.6%)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진단에 있어 베를린 설문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AHI 5를 기준으로 71.9%, 40%, AHI 15를 기준으로 75.8%, 38.2%, AHI 30을 기준으로 77.5%, 34.6%였으며 정확도는 65.3%였다. 결 론 : 베를린 설문은 수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 도구로서의 유용성은 높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