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GOTROPH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꼬마잠자리(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a Restoration of Habitats for Nannophya pygmaea Rambur (Odonata: Libellulidae))

  • 이은희;장하경;박민영;윤지현;김재근;배연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5-42
    • /
    • 2008
  •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물종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꼬마잠자리는 잠자리과에 속하는 초소형 잠자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국내의 서식처는 중남부 일부 지역에 매우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복원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꼬마잠자리의 서식이 확인된 4개 지역 10개 지점의 경관, 서식처 면적, 식생 유형, 수환경, 수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대부분 산지의 묵논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서식처 면적은 $113.4m^2\sim1,153.1m^2$로 나타났다. 식생은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2.6\sim7.3cm$ 사이였고, 수온은 $16\sim27.8^{\circ}C$이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고산 습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조사 결과 해발 고도 $139\sim243m$ 사이의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주변이 위요된 육화되기 전의 빈영양화 초기 단계의 묵논과 같은 습지에 복원되어야 하며, 꼬마잠자리는 다른 잠자리보다 환경에 예민한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서식처 복원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팔당호 상류 유입하천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분포 패턴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Pattern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 박혜경;변명섭;김은경;이현주;전명진;정동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5-624
    • /
    • 2004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biomass in upper inflow rivers of lake Paldang had surveyed. In North-Han river system, nutrient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was below the standard of mesoand oligotrophy from lake Soyang to lake Paldang, maintaining good water quality, except the N5 site located near the Chuncheon-Si, showing high nutrients concentrations and algal biomass. The algal biomass of the South-Han river system showed oligotrophic level in the upstream near the lake Chungju, and increased along the flow direction showing eutrophic level in the downstream within the lake Palda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nutrients were detected in the middle stream near the Yeoju-Si and Yangpyung-Gun rather than in the downstream suggesting algal biomass in lake Paldang would not come from the upper river area but come from the growth within the lake area using nutrients from the upper inflow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