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H.

검색결과 66,756건 처리시간 0.066초

솔잎 (Pinus Densiflora)부탄올 획분이 간장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영향

  • 김현숙;이지혜;최진호;김대익;박수현;백승진;조원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91-295
    • /
    • 2002
  •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평균적으로 하루에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을 25, 50, 100mg/kg BW가 섭취하도록 사료에 첨가하여 45일 동안 투여하였다. BuOH-25 투여그룹을 제외한 BuOH-5- 및 BuOH-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s은 대조그룹 대비 11.6%, 20.1% 및 10.5%, 13.5%의 매우 유의적인 간장 내 콜레스테롤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2.9%, 13.3%, 18.5%의 .OH 라디칼 억제효과로서 BuOH-5-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높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microsome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15.7%, 20.0%, 20.6%의 매우 효과적인 .OH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 획분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5.2%, 8.0%, 11.1%의 $O_2$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 그룹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간장 mitochondria 획분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Cu/Z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각각 4.6%, 10.3%, 15.9%의 Cu/Zn-SOD 활성 증가효과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지만, Mn-SOD 활성은 세가지 BuOH 투여그룹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 획분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각각 9.0%, 19.4%, 25.6%의 매우 유의적인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솔잎의 BuOH 획분은 조직의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효과할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제거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노화과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lyaluminumchloride와 NaOH 첨가량에 따른 수산화알루미늄 합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s of Aluminum Hydroxide Using NaOH Additional Amounts and Polyalmuniumchloride)

  • 황대주;조계홍;최문관;안지환;한춘;이종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2호
    • /
    • pp.205-211
    • /
    • 2010
  • 상 하수 응집제인 폴리염화알루미늄(polyaluminumchloride, PAC)과 가성소다(NaOH)를 이용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합성하고, 가성소다(NaOH) 첨가량 변화에 따른 합성물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때 합성된 수산화알루미늄의 특징을 XRD, SEM, PSA로 분석하였다. XRD 분석 결과, NaOH 15g에서는 비정질 수산화알루미늄로, NaOH 20g에서는 깁사이트(gibbsite)(37%), 바이어라이트(bayerite)(35%), 보헤마이트(boehmite)(28%)의 혼합상(mixed phase)으로 나타났으며, NaOH 25g에서는 깁사이트(gibbsite)(67%), 바이어라이트(bayerite)(33%)로, NaOH 30g에서는 깁사이트(gibbsite) (83%), 바이어라이트(bayerite)(17%)로 나타났다. SEM 분석 결과, NaOH 25, 30g에서 판형 형태로 분석되었다. PSA 분석 결과, 수산화알루미늄의 입자 크기는 NaO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금속-치환 $AlPO_4-5$ 분자체에서 가교 $T_1-OH-T_2(T_1$=Al,B 그리고 $T_2$= P, Si)에 대한 성질 : MNDO (Properties of $T_1-OH-T_2$(T1 = Al, B and T2 = P, Si) Bridges on Metal-Substituted $AlPO_4-5$ Molecular Sieves : MNDO Calculations)

  • 손만식;백우현
    • 대한화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
    • /
    • 1994
  • 알루미노인산염 족($AlPO_4-5$, BAPO-5, 그리고 SAPO-5)분자체의 구조 골격인 가교 $$T_1-OH-T_2$(T_1$ = Al, B 그리고 $T_2=$ P, Si) 안정성 및 가교 OH 그룹 이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반경험적 MNDO 계산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이러한 계산은 Al-OH-P, B-OH-P 그리고 Al-OH-Si덩어리 모델로써 실행하였다. Al-OH-P가교 모델에서 Al대신에 B원자를 치환할 때 B-OH-Si가교에서는 변형이 우선적으로 일어났으나, P 대신에 Si원자를 치환한 Al-OH-Si가교에서는 회전이 우선적으로 일어났다. 이러한 모델 덩어리에서 OH그룹 이온성 및 가교 안정성은 B-OH-P < Al-OH-P < Al-OH-Si 가교 순서로 증가하였다.

  • PDF

항산화 활성이 높은 구기엽 추출물 제조 (Development of Extracts of Lycii folium Having High Antioxidant Activity)

  • 김태수;박원종;고상범;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18-1322
    • /
    • 2008
  • 본 연구는 구기엽(Lycium chinesis Miller Lycii folium)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최적추출 용매를 설정하고자 100% MeOH, 80% MeOH, 80% EtOH 및 water로 혼합 용매를 제조하여 구기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은 80% MeOH 1.420 mg/mL> 80% EtOH 1.382 mg/mL> 100% MeOH 1.085 mg/mL> water 1.084 mg/mL 순으로 나타났고,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에서도 80% MeOH 추출물에서 83.85%, 88.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water 추출물에서 54.65%, 67.47%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80% MeOH 추출물에서 73.58%로 가장 높았고, 100% MeOH 추출물에서 66.65%로 가장 낮은 활성이었다. Hydrogen radical 소거능 또한 80% MeOH에서 35.40%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100% MeOH 추출물에서 11.70%로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 결과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지만 구기엽의 항산화 활성 검토에서 80% MeOH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구기엽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Hydrogen-Atom and Charge Transfer Reactions within Acetylene/Methanol and Ethylene/Methanol Heteroclusters

  • 신동남;최창주;정경훈;정광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10호
    • /
    • pp.939-943
    • /
    • 1996
  • Reactions that proceed within mixed acetylene-methanol and ethylene-methanol cluster ions were studied using an electron-impact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When acetylene and methanol seeded in helium are expanded and ionized by electron impact, the ion abundance ratio, [CH3OH+]/[CH2OH+] shows a propensity to increase as the acetylene/methanol mixing ratio increases, indicating that the initially ionized acetylene ion transfers its charge to adjacent methanol molecules within the clusters. Investigations on the relative cluster ion intensity distributions of [CH3OH2+]/[CH3OH+] and [(CH3OH)2H+]/[CH3OH·CH2OH+] under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suggest that hydrogen-atom abstraction reaction of acetylene molecule with CH3OH ion is responsible for the effective formation of CH2OH ion. In ethylene/methanol clusters, the intensity ratio of [CH3OH2]/[CH3OH] increases linearly as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methanol decreases. The prominent ion intensities of (CH3OH)mH over (CH3OH)m-1CH2OH ions (m=1, 2, and 3) at all mixing ratios are also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of hydrogen atom transfer reaction between C2H4 and CH3OH to produce the protonated methanol cluster ions.

분광용매화 구리(II) 착물에 의한 메탄올 이성분 혼합용매들의 Donor Number (Donor Number of Mixed MeOH Solvents Using a Solvatochromic Cu(Ⅱ)-Complex)

  • 유승교;김진성;사공열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96-801
    • /
    • 1992
  • 분광용매화 기질인 [Cu(tmen)(acac)]$CIO_4$를 이용하여 혼합용매의 Lewis basicity인 Gutmann의 Donor Number(DN)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여덟가지 MeOH 혼합용매들의 DN값 변화는 단순히 용매의 조성변화와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혼합용매들은 그 변화 형태에 따라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가 있었다. (1) 기질에 대한 용매화가 주로 cosolvent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MeOH-DMSO, MeOH-PY, MeOH-DMF)와 (2) 기질의 용매화에 혼합용매의 두 성분이 거의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경우 (MeOH-MeCN, MeOH-dioxane, MeOH-AC) 및 (3) 전적으로 MeOH에 의한 기질의 용매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이다(MeOH-DCE, MeOH-TCE). 또한 순수한 용매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 혼합용매들에 대한 DN과 Kamlet-Taft의 basicity 변수인 $B_{KT}$값들간에는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성을 볼 수 있었으며, 혼합용매들의 반응성 해석에서도 유용한 인자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p-Nitrophenyl Picolinate의 가수분해에 대한 코발트(Ⅲ) 착물의 촉매효과 (Catalytic Effects of Co(Ⅲ) Complexes on the Hydrolysis of p-Nitrophenyl Picolinate)

  • 노재근;김창석;홍순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4-263
    • /
    • 1996
  • 두 자리 또는 세 자리의 질소 리간드를 갖는 5종류의 코발트(III) 착물을 합성하였다. 이 착물들의 촉매 작용을 질소의 위치가 다른 세 종류의 기질, 즉 P-Nitrophenyl Picolinate, P-Nitrophenyl nicotinate, 및 P-Nitrophenyl isonicotinate의 가수분해 반응에 대하여 자외선 분광법으로 측정하였다. 이 세 가지 기질 중에서 P-Nitrophenyl Picolinate가 촉매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 화합물의 가수분해 반응은 pquohydroxo형태의 착물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pH 6.5에서 이 촉매들에 의하여 21-40배 촉진 되었다. P-Nitrophenyl Picolinate의 가수분해 반응에 대한 착물의 효과는 $Co(ibpn)(OH)>Co(aepn)(OH)_2(OH_2)>Co(tn)_2(OH)(OH_2)>Co(bpy)_2(OH)(OH_2)>Co(dien)(OH)_2(OH_2)$와 같이 나타났으며 이 가수 분해 반응은 분자내 일반 염기성 촉매 반응이 우세한 과정을 따르며 부분적으로 분자내 친핵성 촉매반응 메카니즘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동축류 확산화염의 OH 라다칼 분포 및 매연 특성 (OH Radical Distribution and Sooting Characteristics in Co-Flow Diffusion Flames)

  • 이원남;송영훈;차민석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1997년도 제15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11
    • /
    • 1997
  • The soot and OH radical distributions have been experimentally studied in ethylene and propane laminar diffusion flames. The integrated soot volume fraction was measured along the centerline of a flame using a laser light extinction method. Planar laser light scattering and PLIF techniques are employed for the soot and OH radical distribution measurements utilizing Nd:YAG laser and OPO, FDO system. The concentration of OH radical is rapidly decreased at the edge of sooting region, which implies the importance of OH radical species on the soot oxidation process. For ethylene flames, the addition of air in fuel moves the OH radical distribution towards the center line of a flame at the soot oxidation region, while the concentration of OH radical remains relatively high at the soot formation region. The interaction between soot particles and OH radicals becomes more active with fuel-air at the soot oxidation region. For propane flames, however, any indication of the increased interaction between soot particles and OH radicals with fuel-air was not noticed.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ference of Water Vapor on the Chemical Ionization of OH by Sulfur Hexafluoride Ion

  • Park, Jong-Ho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5권4호
    • /
    • pp.120-123
    • /
    • 2014
  • The interference of water vapor on the chemical ionization (CI) of hydroxyl radicals (OH) by sulfur hexafluoride ion ($SF_6{^-}$) was investigated using a flow tube system coupled to a high-pressure CI mass spectrometer. Water vapor, which is required to study heterogeneous reactions of OH under real tropospheric conditions, transforms the reagent ion $SF_6{^-}$ into $SF_4O^-$ and $F^-(HF)_n$, resulting in a substantial loss in CI sensitivity. Therefore, under humid conditions, peaks corresponding to OH are drastically diminished, while those corresponding to OH-water complex ions ($[OH(H_2O)_n]^-$) are enhanced. $[OH(H_2O)_3]^-$ was observed as the major OH species. The obsercation of $[OH(H_2O)_n]^-$ by isolating humid conditions to the CI region and preliminary ab initio calculations suggested that $[OH(H_2O)_n]^-$ ions were produced from reactions between OH ions ($OH^-$) and water molecules. An additional helium buffer flow introduced into the CI region reduced loss of the reagent ion and resulted in a partial recovery of OH peak intensities under humid conditions.

솔잎의 부탄올획분이 SD계 Rats의 지질대사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tanol Fraction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on Serum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 김현숙;이지혜;최진호;박수현;김대익;김창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96-302
    • /
    • 2002
  •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에 각각 25, 50 및 100mg/kg B.W. 이 섭취될 수 있도록 BuOH 획분을 사료에 각각 0.025%, 0.05% 및 0.1% 첨가하여 조제된 사료로싸 45일 동안 투여하였다. 솔잎 BuOH획분의 투여는 체중변화 및 사료 섭취랑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렇지만,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12.8%, 19.1% 및 21.6%의 현저한 항콜레스테롤효과가 인정되었고, 또한 10.2%, 15.6% 및 23.7%의 유의적인 LDL-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24.8%, 30.4%, 36.2%의 매우 유의적인 동맥경화지수 (AI)의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13.3%, 13.3% 및 16.7%의 매우 유의적인 LPO의 억제효과가 인정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9.8%, 19.7% 및 21.2%의 ·OH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 때문으로 기대된다. 또한 활성산소의 제거효소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SOD의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1% 및 23.3%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솔잎의 BuOH획분의 투여는 성인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노화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