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D 분석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3초

가변수요 통행배정의 민감도 분석을 통한 최적가로망 설계 (Optimal Network Design Using Sensitivity Analysis for Variable Demand Network Equilibrium)

  • 권용석;박병정;이성모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99
    • /
    • 2001
  • 기존의 고정수요(Fixed Demand)를 전제로 한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는 가로망의 구조나 용량이 개선되더라도 장래 기·종점 통행수요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이는 단기적인 가로망 설계에서는 성립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기·종점 통행수요는 네트워크 서비스수준에 따라 변화하므로 고정수요를 전제한 장기적인 가로망 설계문제에서는 그 타당성을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장래 최적 가로망 설계는 현실적 여건과 교통특성상 기·종점 통행 수요가 모형 내부에서 결정되는 내생변수로 처리하는 가변수요(Variable Demand)를 반영한 가로망 설계 문제로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가변수요를 갖는 가로망 설계문제에 대한 이중계층 모형을 구축한 다음, 가로망내의 특성치가 변화하였을 때 그 파급영향을 먼저 파악하고 현 가로망 개선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링크를 찾아내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고, 민감도 분석과 연관되어 전체 시스템 효과척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대안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적용하여 구축된 모형으로 그 유효성을 검증하였고, 기존 고정수요 가로망 설계기법에 내재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 PDF

복합 통행행태모형을 이용한 동적 기.종점 통행량 추정 (Dynamic OD Estimation with Hybrid Discrete Choice of Traveler Behavior in Transportation Network)

  • 김채만;조중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102
    • /
    • 2006
  • 정적 기 종점 통행량을 가정함으로써 갖는 동적 시뮬레이션 모형의 현실 모사 능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동적 기 종점 통행량 추정은 통행자의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 선택 행태모형을 결합한 복합통행행태 수요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요 시뮬레이션 모형과 기 개발된 공급 시뮬레이션 모형인 LiCROSiM-P를 결합하여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단속류/연속류가 공존하는 다경로 가로망에서 출발시간/수단선택/통행경로 선택모형은 AGtt(기 종점통행시간의 시뮬레이션 시간과 기대치의 차이 백분율)는 수렴하지 않고, 평균스케줄지체는 안정 상태로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시뮬레이션 모형은 교통시설공급 변화와 통행자의 속성 변화에 따른 기 종점 통행량 변화 추정과 효과분석이 가능함을 모형의 적용을 통해 제시하였다. 따라서 통합시뮬레이션 모형은 수요관리정책, 교통시설변화, 교통정보제공 등이 가져오는 출발시간, 통행수단, 통행경로변화를 반영한 시스템의 효과분석이 가능하다

전위차법 효소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식품의 구연산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Citrate in Foods Using a Potentiometric Enzyme Biosensor)

  • 권지영;김미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9-175
    • /
    • 2006
  • Citrate Iyase(CL)와 oxaloacetate decarboxylase(OD)를 고정화하여 효소 반응기를 제작하고 효소반응으로 생성된 carbonate ion을 ion selective electrode를 이용한 전위차법 FIA system으로 식품에함유된 구연산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최적 센서 시스템의 조건은 CL과 OD을 같이 고정화시키는 방법으로 CL과 OD의 양이 각각 10 units, 60 units, 담체량은 0.3 g, carrier buffer 1(0.1 MTris buffer)은 pH 7.5, carrier buffer의 유속은 12 mL/hr으로 결정되었다. 최적 상태에서의 표준검량곡선은 $10^{-1}\;M-10^{-3}\;M$ 범위에서 직선적인 상관관계$(r^2=0.9986)$를 나타내었다. 당류와 유기산류에 대한 센서 시스템에 대한 방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당류는 거의 저해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기산의 경우도 저해 효과가 5% 미만으로 이들 물질에 의해 감응도가 크게 방해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연산 바이오센서와 GC를 사용하여 식품 시료에 함유된 구연산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두 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구축한 구연산 바이오센서 시스템은 식품에 함유된 구연산 분석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주는 것으로 보여졌다.

대체의학 임상실험 현황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Clinical Trials on Alternative Medicine)

  • 조현;유진영;박수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395-4403
    • /
    • 2010
  • 본 연구는 2000년 1월부터 2010년 3월까지 Pubmed에 게재된 논문 중, alternative medicine 으로 검색하여 근거중심 대체의학에 대한 연구 현황을 알아보고자 문헌고찰을 하였다. 682편의 연구 중 대체의학에 관한 임상연구는 19개였으며 연구전체 대상자는 2,573명이었다. 논문분석 결과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실험 설계연구가 44%였으며 CCT(Controlled Clinical Trials)가 16%, OD(efficacy studies with either a controlled or an Other than controlled Design) 40%였다. 가장 많은 임상실험이 시행된 중재 방법은 Acupuncture과 Massage 였다. 대상 질병군 분포는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과 관련된 '통증 완화'에 대한 임상연구가 20%, 다음으로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신생물이 각각 15% 순이었다. 근거중심 대체의학 현황을 파악하고자 문헌 고찰한 결과 대체의학을 통한 중재가 질병치료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임상연구가 부족하다. 대체의학의 품질, 안정성, 유효성 확보를 위해 대체의학에 대한 질 높은 연구필요하며 근거중심 대체의학의 활성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미세조류 활성도 평가를 위한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P&R) Analyzer 분석조건 최적화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P&R) Analyzer Analysis Optimization for Microalgal Activity Evaluation)

  • 허재희;심태석;황선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49-457
    • /
    • 2021
  •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rate of microalgae are important factors during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research using microalgae, There are several equipments and measurement methods for measuring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with different challenges that occur during pretreatment and stabilization of the analysis process. Therefore, in this study, for accurate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P&R) analyzer measurement, the analysis process was divided into pre-processing, DO stabilization, and analysis stages and each was optimized to enable accurate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e effect of DO saturation of the sample on P&R analysis, DO stabilization according to the degassing flow rate, and photoinhibition of the OD level on photosynthesis was investigated. Based on our study results, when DO was supersaturated, photosynthetic efficiency decreased due to photorespiration, making it inappropriate as a P&R sample. In addition, 0.5 L-N2/min level was the optimal nitrogen degassing flow rate for DO desaturation. The inhibition of photosynthetic efficiency by self-shading caused by the increase in OD was observed from OD 2.0, and it was found that P& R analysis is preferably performed on samples with OD less than 2.0. In addition, based on the above three optimization results, an optimized P&R Analyzer instruction for accurate P&R analysis was also presented.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응급의료서비스 권역 재조정 방안 - 대전광역시 사례 연구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 권필;이영민;허용;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21
    • /
    • 2015
  • 최근 각종 재난재해로 인해 인명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응급의료서비스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응급의료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119구급대의 이동 시간은 인명 구출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119구급대의 효율적인 출동 방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119구급대의 출동 권역을 효율적으로 재조정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권역을 형성하기 위해 대전지역 경계 내에서 무작위로 생성한 약 80만 개의 가상 신고 위치와 26135개의 소방관서 위치를 기점으로 기종점 OD 행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Thiessen Polygon을 생성함으로써 새로운 권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각 소방관서로부터 신고 위치까지의 평균 이동 시간이 9.93분에서 5.53분으로, 4.4분이 단축되었으며, 면적의 경우 평균 $32.07km^2$에서 $20.72km^2$로, $11.35km^2$가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관 기관에서 소방관서의 관할권역을 재조정하고자 하는 경우 본 연구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분대역 잡음 재밍환경에서의 비동기 FH-BFSK 시스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Noncoherent FH-BFSK System in Partial-Band Noise Jamming)

  • 이철호;유흥균;김기근;최영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29-43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부분 대역 잡음 재밍이 존재하는 직교성 비동기 FH-BFSK 통신시스댐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전체 확산대역에서의 재밍대역 비융인 $\rho$값의 변화할 때 처리이득에 따른 비트에러확률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수치해석과 SPW를 이용한 컴퓨터 시율레이션을 수행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JSR이 lOdB일 때 시스템의 SNR이 lOdB이하라면 높은 처리이득에서도 error floor가 발생하여 요구하는 성능을 실현할 수 없었으며 SNR이 12 dB이상에서는 $\rho$의 변화에 따라 요구하는 에러확률를 만족하는 처리이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PDF

중력모형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량추정 및 탄력성분석 (A Green 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Based on Gravity Model and Its Elasticity)

  • 임용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5-93
    • /
    • 2011
  • 교통부문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자전거나 보행 등 녹색 교통수단의 이용활성화, 그리고 차량운행시 배출되는 온실가스(green house gas) 를 감축하는 정책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중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교통측면의 행태적인 분석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교통측면에서 좀 더 행태적인 측면을 고려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식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즉, 특정 존에서 발생하는 차량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종점간 통행수요(travel demand for each OD pair)와 통행거리(travel distance)를 반영하여 결정한다. 여기서 기종점간 통행수요는 통행비용의 함수로 중력모형(gravity model)을 이용하여 구해지며, 통행거리는 평균 통행거리가 아닌 기종점간 실제 통행거리를 고려한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 차이가 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온실가스 추정식의 적용성과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통행비용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민감도(sensitivity)와 탄력성(elasticity)을 유도하며, 정책적 측면에서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온실가스 통행료(green house gas pricing)의 부과 효과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및 통행량 기반 대중교통 기종점 통행량 추정 (A Transit Assignment Model and Transit Passenger OD Estimation from Passenger Counts)

  • 이신해
    • 대한교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교통학회 2002년도 제41회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45-77
    • /
    • 2002
  • 교통혼잡 문제가 점점 심각해짐에 따라 대중교통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며, 대중교통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들이 속속 입안되고 있어 대중교통을 심도 있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의 개발은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과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OD) 추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의 개발부분에서는 기존의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이 개별차량과 다른 대중교통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최적경로 탐색에는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통행량 배정에는 로짓모형을 기반으로 한 확률적 통행량 배정모형(Stochastic Network Loading Model)을 이용하여 TATSN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중교통 기종점통행량의 추정은 전통적인 기종점통행량 추정 방법인 기종점조사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된다는 단점을 인식하여 관측통행량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도시와 농촌의 13세 어린이에 대한 굴절상태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 in 13-year-old Children)

  • 김덕훈;김정숙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8-815
    • /
    • 2017
  • Purpose. To analyze the refractive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children in Korea, in the age group of 13. Methods. From October 2016 to January 2017, forty subjects( 20 male subjects, 20 female subjects; 13 year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ion.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anisometropia were defined as spherical equivalent(SE)${\leq}-0.50$ diopters, SE ${\geq}+1.00D$, cylinder error ${\geq}0.75D$ and SE difference${\geq}1.00D$ between binocular ey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76.25%, astigmatism 35%, emmetropia 16.25%, anisometropia 8.75%, and hyperopia 5%. The prevalence of my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urban than rural regio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Emmetr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rural region than urban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ce of spherical equivalent was much common from -1.00 diopter to -4.00 diopte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much more than hyperopia.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rural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0).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OD and OS of urban region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4).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n the OD and OS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similarity between urban and rural regions of the OD and OS in the astigmatism power(p<0.000). However, in the rural and urban regions ther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OD and OS concerning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 and astigmatism power (p>0.1). Conclusions.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in Korea young children. while hyperopia was few.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e between rural and urban at spherical equivalent power( P> 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status at young children can give the useful diagnosis data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ac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