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양생물중의 조직결합 삼중수소 농도 (OBT Concentrations of Marine Organisms around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 김도성;박규준;임수경;김완;강희동;도시홍;김창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75-78
    • /
    • 2003
  • 월성 원자력발전소 주변의 해양생물(해조류와 패류) 시료를 채취하여 조직결합 삼중수소 (OBT) 방사능농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해조류의 OBT 방사능농도는 $0.372{\sim}2.72$ Bq/kg-fresh의 범위였으며, 패류의 OBT 방사능농도는 $0.239{\sim}2.02$ Bq/kg-fresh의 범위였다. 그리고 해조류의 OBT에 의한 내부피폭선량은 $3.4{\times}10^{-7}mSv/year$로 평가되었다.

벼의 종실 발육단계에 따른 주간 및 야간 HTO 증기 피폭시 TFWT 및 OBT 농도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Rice Plants Exposed to HTO Vapor during Daytime and Nighttime at Different Seed-Developing Stages)

  • 최용호;임광묵;이원윤;강희석;최희주;이한수;실비아디아바테;지그프리드슈트락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9-18
    • /
    • 2003
  • 벼를 쌀알의 발육단계별로 주간 및 야간에 1 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키고 작물체 부위별로 조직자유수 $^3H$ (TFWT) 및 유기결합형 $^3H$ (OBT) 농도를 조사하였다. 피폭종료 직후$(h_0)$ 잎의 TFWT 농도는 주간실험에서는 공기수분중 1 시간 평균 HTO 농도의 100% 내외였으나 야간실험에서는 $30{\sim}40%$에 불과하였다. 주 야간 피폭 모두 TFWT 농도는 초기에는 급히 감소하다가 나중에는 훨씬 천천히 감소하였고 수확시에는 $h_0$에 비해 수백${\sim}$수만 배 낮았다. OBT 농도는 부위 및 피폭시기에 따라 변화양상이 달랐고 $h_0$와 수확시 간 차이는 대체로 10 배 이내였다. 야간피폭 중에도 주간피폭의 약 1/3 수준으로 OBT가 생성되었다. 공기중 HTO의 수확시 쌀알내 OBT로의 전환 정도는 주간피폭시 야간피폭보다 수 배 높았고 주 야간 피폭 모두 쌀알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에 가장 높았다. 벼가 쌀알의 발육기에 HTO에 피폭되면 OBT에 의한 섭취피폭선량이 TFWT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되었다.

콩의 생육단계별 HTO 증기 피폭에 따른 작물체내 TFWT 및 OBT 농도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Soybean Plants Exposed to HTO Vapor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임광묵;최용호;이원윤;박효국;강희석;최희주;이한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13-219
    • /
    • 2004
  •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잎에서는 최고 40.2%, 줄기에서는 최고 6.4%였다. TFWT 농도는 수확시 까지 피폭시기에 따라 수 천${\sim}$수 십만 배 감소하였으며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감소 정도가 켰다. 수확시 OBT 상대농도(피폭종료 직후 잎의 TFWT 농도에 대한 건조시료 내 OBT 농도의 비, $m{\ell}g^{-1}$)는 콩 종실의 경우 피폭시기에 따라 $2.2{\times}10^{-5}{\sim}9.5{\times}10^{-3}$의 범위로 종실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 가장 높았다. OBT 농도의 피폭시기에 따른 변이는 종실과 꼬투리에서 경엽부에 비해 훨씬 컸다. 콩의 생육중 급성 피폭시 종실 소비에 따른 섭취피폭 선량은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OBT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TO의 단기적 사고방출시 두류내 $^3H$ 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 수립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클로스트리디움 싸카로퍼부틸아세토니컴 N1-4주(株)로부터 부타놀 다량생산주(株) OBT 돌연변이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yper-butanol producing OBT7 mutant of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N1-4)

  • 안병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1호
    • /
    • pp.38-44
    • /
    • 1993
  • 1) OBT mutant는 Clostridium saccharoperbutylacetonicum ATCC 13564(N1-4주(株))로부터 UV light와 butanol tolerance에 의해 분리했다. 동 돌연변이주(株)는 16.46g/l(1.4배 증가)의 부타놀과 4.6g/l(1.5배 증가)의 아세톤을 생산하고 전체 용매는 21.47g/l를 생산했다. 이 결과는 n-butanol을 생산하는 clostridial bacteria에서 error-prone pathway를 통한 misrepair의 약한 효과가 UV light와 butanol tolerance에 의해서 극복되었다는 것을 제시했다. 2) glucose 발효에 비교해서 mannitol 발효에서 OBT mutant는 acetone과 acetic acid는 생산되지 않았다. 전체용매에 대한 n-butanol과 ethanol의 비는 각각 10.3%와 10.6%씩 증가되었고 전체적으로는20.9% 증가된 반면, acetone의 비는 21.2%가 감소되었다. 또한 전체 용매에 대한 n-butanol의 최대비는 94.8%까지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산화합물(acetone, acetic acid, butyric acid)이 환원화합물(n-butanol, ethanol)로 전환된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mannitol은 부산물인 산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 PDF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과 오수유부자리중탕(吳茱萸附子理中湯)의 간손상(肝損傷) 보호작용(保護作用)에 대한 연구 (Study i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Sipyimiguanjung-tang and Osuyubujaijung-tang)

  • 김형순;배영춘;이상민;김경요;원경숙;이경성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0-108
    • /
    • 2003
  •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has been developed as prescriptions for the Soyeumin constitution.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s investigated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4)-induced hepatic damage.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produced liver damage in rats as manifested by the significant rise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nd alkaline phosphatase(ALP) in serum as compared to those of untreated normal group. Pretreatments of rats with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500 mg/kg for 7 day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T, ALT, and ALP levels compared with CCl4-treated control group. Treatment of rats with CCl4 led to significantly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and significantly decrease in cytochrome P450 and P450 reductase. The oral administration of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cumulation of microsoma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increased the cytochrome P450 and P450 reductase activity. All these biochemical alterations resulting from CCl4 administration were inhibited by the pretreatment with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1)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can be useful as a hepatoprotective agent. And the effect of NO modulation by NO synthesis or precursors, and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 (SGT) water extract was researched on chronic liver damage induced by CCl4 administration. It was observed that endogenous NO protected the liver from lipid peroxidation, fibrosis, and damage. Osuyubujaijung-tang(OBT) and Sipyimiguanjung-tang(SGT) water extract show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n the chronic liver cirrhosis model and relationship with NO modulation.

  • PDF

Assessment of Internal Dose by $^3H\;&\;^{14}C$ of Total Diet for Inhabitants near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 Park, G.;Lin, X.J.;Kim, W.;Kang, H.D.;Doh, S.H.;Kim, D.S.;Kim, C.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51-57
    • /
    • 2003
  • To assess the internal dose by $^3H\;&\;^{14}C$ in total diet of inhabitants near Wolsung Nuclear Power Plants, TFWT, OBT and $^{14}C$ concentration in total diet was analyzed for collection region and time. TFWT, OBT and $^{14}C$ concentrations were in the range of 3.19-42.2 Bq/L, 1.00-39.4 Bq/L, and 0.230-0.855 Bq/gC, respectively. The calculated annual effective dose with TFWT, OBT and $^{14}C$ is $6.10{\times}10^{-5}mSv/y,\;3.71{\times}10^{-5}mSv/y\;and\;7.08{\times}10^{-3}mSv/y$, respectively. And then annual internal dose with total diet for inhabitants near Wolsung NPPs is about $7.18{\times}10^{-3}mSv/y$, which is about 0.72% of annual effective dose limit 1 mSv/y.

삼중수소 사고유출로 인한 농작물 오염 평가 모델 (Model for assessing the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lants by accidentally released tritium)

  • 금동권;이한수;강희석;최용호;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5-54
    • /
    • 2005
  • 원자력시설로부터 삼중수소 사고 누출시 시설 주변 농작물의 삼중수소 오염 평가를 위한 동적격실모델 ECOREA-H3를 개발하였다. 모델의 격실은 크게 대기, 토양, 농작물로 구성되며 농작물은 엽채류 곡물류, 근군류의 3개 소그룹으로 분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모델링하였다. 벼에 대한 삼중수소 피폭실험 해석을 통해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조사되었다. 모델링 결과 추수시 벼이삭의 TFWT 농도는 입력데이터 중 공기의 절대습도, 뿌리흡수비 강우량에 OBT 농도는 공기의 절대습도, 이삭의 성장기간, 유기물의 수소함량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이삭 OBT 농도에 대한 모델 계산과 실험 측정값은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