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tional parameters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4초

중환자실에서 지속성 신대체요법을 받은 신부전 환자의 칼로리와 단백질 공급 현황 (The Calorie and Protein Intake of Critically Ill Patients Who Require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 이호선;박무석;나성원;이재길;유태현;고신옥;중환자실 영양지원팀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4호
    • /
    • pp.335-342
    • /
    • 2009
  • Forty-two percent of the patients with renal failure that requires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CRRT) have been reported to have severe malnutrition, and preexisting malnutrition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dependent predictor of negative hospital outcome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lorie and protein provided for the critically ill patients who require CRRT. One hundred forty-nine patients who received CRRT were enrolled. The demographic data, the length of the ICU stay and the mortality were recorded. The calorie/protein intake and the blood urea nitrogen (BUN), albumin and creatinine levels were used as nutritional parameters. The mean daily calorie intake during CRRT was 16.1${\pm}$7.4 kcal/kg, which was 64% of the recommended intake. Only 10% of the patients received the recommended caloric intake and the ratio of the enteral and parenteral calories was 26%/74%. The mean protein intake was 0.58${\pm}$0.34 g/kg, which was 38% of the recommended intake. The calorie and protein intakes at the termination of CR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initial day of treatment, but they stayed under the recommended intake. The BUN, creatinine and albumi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urvival group (odds ratio for albumin: 2.73; creatinine: 2.43). A strategy to increase the nutrition provision is need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es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who require CRRT.

  • PDF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미취학 아동의 생화학적 분석에 의한 철분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ron Nutritional Status with Biochemical Parameters in Preschool Children)

  • 유경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7호
    • /
    • pp.533-54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ron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Ulsa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95 children aged 3 to 6 years by investigating the anthropometric indices and assessing the dietary intakes and biochemical analysis. A questionnaire for dietary intakes using 24-hr recall method were carried out by the mothers of the 95 subjects. And also a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status of iron and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05.4 $\pm$ 7.0 cm, 18.7 $\pm$ 3.2 kg in boys, 103.8 $\pm$ 6.7 cm, 17.6 $\pm$ 2.7 kg in girls. These were lower than the body growth standard values of Korean pediatric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between boys and girls. For the daily nutrient intake, energy was 1201.5 $\pm$ 280.9 kcal (79.3$\%$RDA), protein was 63.8 $\pm$ 28.2 g (219.4$\%$RDA), iron was 11.9 $\pm$ 4.5 mg (133.2$\%$RDA). The iron nutritional status by hematological assay found that Hct was 34.7 $\pm$ 2.0 ($\%$), Hb was 12.0 $\pm$ 0.8 g/dl, RBC was 4.3 $\pm$ 0.3 ($10^6/{\mu}l$), MCV was 80.5 $\pm$ 3.0 fL, MCH was 27.8 $\pm$ 1.1 pg and MCHC was 34.6 $\pm$ 0.6 g/dl. The biochemical measurement of serum iron was 75.6 $\pm$ 30.3 ${\mu}g$/dl, TIBC was 320.3 $\pm$ 34.1 ${\mu}g$/dl, serum ferritin was 30.0 $\pm$ 14.8 ${\mu}g$/dl, Zinc-Protophor-phyrin (ZPP) was 32.7 $\pm$ 8.0 ${\mu}g$/dl, and ZPP/Heme was 71.1 $\pm$ 19.5 ($\mu$mole/mol heme). The prevalence with Hct, Hb, TS and serum ferritin less than cut-off value was $8.4\%,\;9.5\%,\;12.6\%$ and $4.4\%$ respectively. But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estimated with ZPP and ZPP/Heme criteria were $25.3\%$ and $27.4\%$, and were higher than in case of any other indices.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anemia ((low Hb (< 11.0 g/dl) and low serum ferritin (< 10 ${\mu}g$/L) or low TS (3-4 yews: < $12\%$, 5-6 years: < $14\%$)) was found in only one 3 year old girl. The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except Hct and Hb was the highest in 3 year group, but the prevalence by Hct and Hb was the highest in 5 year group. Iron deficiency and iron deficiency anemia do not seem to b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preschool children in Ulsan.

Graded levels of phytase on performance, bone mineralization and carcass traits of broiler fed reduced dicalcium phosphate

  • de Freitas, Henrique Barbosa;de Souza Nascimento, Karina Marcia Ribeiro;Kiefer, Charles;Gomes, Gilson Alexandre;Santos, Tiago Tedeschi dos;Garcia, Elis Regina Moraes;da Silva, Thiago Rodrigues;Paiva, Luanna Lopes;Berno, Patricia Rodrigue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5호
    • /
    • pp.691-70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increasing doses of phytase added to broiler diets formul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available phosphorus (avP), calcium (Ca), and sodium (Na), and the respective effects on performance parameters, quantitative carcass characteristics, ash and phosphorus deposition in tibia and weight of organs. Methods: Three different matrices were assumed for phytase with the following nutritional values: matrix A (MT A): 0.165% Ca, 0.150% avP, and 0.035% Na; matrix B (MT B): 0.215% Ca, 0.195% avP, and 0.045% Na; matrix C (MT C): 0.245% Ca, 0.225% avP, and 0.053% Na. There were six different diets: No phytase (formulated to meet the nutritional requirements); phytase 500 FTU/kg+MT A; phytase 1,000 FTU/kg+MT A; phytase 1,500 FTU/kg+MT A; phytase 1,000 FTU/kg+MT B and phytase 1,500 FTU/kg+MT C.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phytase influence on performance, quantitative carcass characteristics, ash and phosphorus deposition in tibia and weight of the organ throughout the study period, however, it was possible to observe a tendency of improvement in body weight corrected feed conversion for broilers fed the phytase 1,500+MT C diet, where potentially these birds were more efficient on utilize phytic phosphorus and other nutrients bounded to phytate molecule, translating into improvement in performance, and there was also a non significant numerical improvement in body weight corrected feed conversion of broilers fed this diet. Conclusion: Broilers fed with diets formul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avP, Ca, and Na and increasing doses of phytase have shown no change on performance, quantitative carcass characteristics, ash and phosphorus deposition in tibia and weight of organs.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 Formulation, Phyto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 Kittisak Thampitak;Rattanaporn Pimisa;Pongsanat Pongcharoen;Suppasil Maneerat;Noraphat Hwanhle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61-374
    • /
    • 2022
  • For this study, we designed and produced mulberry low-fat ice cream supplemented with synbiotics (MLF-IS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MLF-ISS were then determined.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or without probiotic (Lactobacillus plantarum TISTR 926 and Saccharomyces boulardii CNCM I-745) was also tested at 37℃ for 24 h to determine probiotic growth rate, pH, total anthocyanin content (TAC),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AA). Only the TAC of mulberry juice inoculated with S. boulardii CNCM I-745 increased considerably (p < 0.05) among these parameters. MLF-ISS was produced with varied mulberry fruit concentrations (0, 10, 20, 30, or 40%) (w/w). The MLF-ISS prepared with 30% mulberry fruit (w/w) (30-MLF-ISS) had a higher score in appearance, color, and sweetness (p < 0.05) when sensory qua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method. In the CIE lab system (L*, a*, b*), the color values of 30-MLF-ISS were 27.80 ± 0.26, 12.99 ± 0.59, and 1.43 ± 0.05, respectively. The 30-MLF-ISS was also subjected to a proximate analysis. The melting rate of 30-MLF-ISS was 0.29 ± 0.03 g/min and the time it took for the first drop to fall was 37.00 ± 7.00 min. TAC, TPC, and AA of 30-MLF-ISS were observed to alter significantly (p < 0.05) during varied intervals of storage at - 18℃ (0, 30, and 60 days). The viability of probiotics in 30-MLF-ISS slightly decreased after storage at -18℃ for 8 weeks, but remained about 6 log CFU/g. During storage at -18℃ for 0 and 120 days, no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 30-MLF-ISS. These findings show that 30-MLF-ISS has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is free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is safe for consumers' health, and is suitable for application in the ice cream and related food industries.

Probiotics Increase Intramuscular Fat and Improve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Sunit Sheep through the Adenosine 5'-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Signaling Pathway

  • Yue Zhang;Duo Yao;Huan Huang;Min Zhang;Lina Sun;Lin Su;LiHua Zhao;Yueying Guo;Ye Ji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805-825
    • /
    • 2023
  • This experiment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biotic fee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plasma lipid biochemical parameters, intramuscular fat and triglyceride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mRNA expression levels of gen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and the activity of the enzyme in Sunit sheep. In this experiment, 12 of 96 randomly selected Sunit sheep were assigned to receive the basic diet or the basic diet supplemented with probiotics. The results showed that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oin eye area, and decreased plasma triglycerides and free fatty acids, increasing the content of intramuscular fat and triglycerides in the muscle and improving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The inclusion of probiotics in the diet reduced the expression of adenosine 5'-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lpha 2 (AMPKα2) mRNA and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B (CPT1B) mRNA, while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cetyl-CoA carboxylase alpha (ACCα) mRNA,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SREBP-1c) mRNA, fatty acid synthase mRNA, and stearoyl-CoA desaturase 1 mRN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with probiotics can regulate fat deposition and improves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Sunit sheep through the signaling pathways AMPK-ACC-CPT1B and AMPK-SREBP-1c. This regulatory mechanism leads to an increase in intramuscular fat content, a restructuring of muscl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and an enhance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mea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and provide valuable references for the production of meat of higher nutritional value.

Effect of diabetes-specific oral nutritional supplements with allulose on weight and glycemic profiles in overweight or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 Jihye Tak;Minkyung Bok;Hyunkyung Rho;Ju Hyun Park;Yunsook Lim;Suk Chon;Hyunjung L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241-256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Diabetes-specific oral nutritional supplements (ONS) have anti-hyperglycemic effects, while D-allulose exerts anti-diabetic and anti-obesit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diabetes-specific ONS, including allulose, on glycemic and weight changes in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SUBJECTS/METHODS: A single-arm, historical-control pilot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n 26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with T2DM (age range: 30-70 yrs). The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2 packs of diabetes-specific ONS, including allulose (200 kcal/200 mL), every morning for 8 weeks. The glycemic profiles, obesity-related parameters, and lipid profiles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NS. RESULTS: After 8 weeks, fasting blood glucose (FBG) level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9.00 ± 29.66 mg/dL to 126.08 ± 32.00 mg/dL (P = 0.007)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improved (7.23 ± 0.82% vs. 7.03 ± 0.69%, P = 0.041). Moreover, the fasting insulin (δ: -1.81 ± 3.61 μU/mL, P = 0.017)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δ: -0.87 ± 1.57, P = 0.009) levels decreased at 8 weeks, and body weigh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7.20 ± 8.29 kg to 66.43 ± 8.12 kg (P = 0.008). Body mass index (BMI) also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is (from 25.59 ± 1.82 kg/m2 to 25.30 ± 1.86 kg/m2, P = 0.009), as did waist circumference (δ: -1.31 ± 2.04 cm, P = 0.003). CONCLUSIONS: The consumption of diabetes-specific ONS with allulose in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with T2DM improved glycemic profiles, such as FBG, HbA1c, and HOMA-IR, and reduced body weight and BMI.

고도비만환자에서 베리아트릭 수술 (Bariatric Surgery) 후 영양교육이 체중감량에 미치는 효과 (Weight loss effects of Bariatric Surgery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extremely obese patients)

  • 정은하;이홍찬;임정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30-45
    • /
    • 2015
  • 본 연구는 베리아트릭 수술 중 위 밴드 수술을 시행한 고도비만 환자의 특성을 밝히고, 수술 후 영양교육을 받은 횟수의 차이가 체중감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위 밴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후 15개월이 경과한 고도비만 환자의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조사이다. 총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체 연구 대상자들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영양교육을 받은 횟수의 평균을 기준으로 평균 보다 작은 경우 소교육군으로, 평균보다 높은 경우 다교육군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총 60명으로 소교육군은 29명, 다교육군은 31명으로,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BMI 모두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압과 맥박은 이완기 혈압과 맥박은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축기 혈압에서 다교육군이 소교육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 된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건강 관련 생활 습관은 음주, 민간요법, 흡연 순으로 나타났다. 음주, 흡연에서는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민간요법 사용 여부에서 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된 비만관련 합병증과 보유증상은 등, 허리, 무릎 통증, 코골이, 생리불순, 위-식도역류질환, 수면문제, 고혈압, 수면무호흡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코골이에서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우울증의 경우 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코골이의 경우 소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 대상자들의 식습관 중 속식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과식, 불규칙한 식사 시간, 스트레스성 식사, 잦은 간식 섭취, Junk Food 섭취, 야식, 단 음식 섭취 순으로 나타났다. 식습관은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가 비수술적 요법을 시행한 경험이 있으며, 약물요법을 가장 많이 시행한 경험이 있다고 답하였다. 그 다음으로 운동요법, 식사요법, 행동수정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위 밴드 수술 전에 조사된 비수술적 요법 시행 여부는 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약물요법을 소교육군은 4가지 이상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교육군은 1가지, 3가지를 시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운동요법을 소교육군은 유산소 운동만 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교육군은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식사요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한 방법은 두 그룹 모두 보조식품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신체조성 측정 결과 수술 후 6개월까지는 체지방,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체지방과 체중은 수술 후 15개월 차에 영양교육을 더 많이 받은 다교육군이 소교육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일곱째, 수술 전과 수술 후 기간 경과에 따른 비만 지표 체중과 체지방의 감소와 비슷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BMI와 비만도는 수술 후 15개월 차에 소교육군에 비해 다교육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교육 횟수가 증가 할수록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15개월에 BMI 감소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 대상자의 위 밴드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 차의 생화학적 지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LT,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이 수술 전 정상범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수술 후 6개월 차에 정상범위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간 기능 지표를 나타내는 AST와 ALT는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차에 두 그룹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당화혈색소 역시 두 그룹 모두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차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방은 수술 전에 두 그룹 모두 정상범위 이상이었으나 수술 후 6개월 차에 정상범위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수술 전에 비해 수술 후 6개월 차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도비만환자들이 베리아트릭 수술 시행 전에 가지고 있던 인류 통계학적 특성, 식습관, 비만 관련 합병증과 보유 증상, 비수술적 요법의 시행 여부 등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초 자료로 한 베리아트릭 수술 후 장기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체중과 체지방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고도비만 환자의 베리아트릭 수술로 인한 체중과 체지방의 감소 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 대상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비만 수술 후 전향적인 중재를 시행하여 혈압, 비만 관련 합병증과 보유 증상, 식습관 및 건강 관련 생활습관의 변화에 대한 조사와 영양교육 방법에 대한 실제적 효과를 판정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악안면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서의 전신영양평가 (EVALUATION OF SERUM LEVELS OF SYSTEMIC STATU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ATIENTS)

  • 김욱규;김용덕;변준호;신상훈;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5호
    • /
    • pp.301-314
    • /
    • 2003
  • 본연구는 1998년 9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입원하여 구강암수술을 받았던 환자들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1군으로, 심한 악안면감염증으로 인한 농양으로 절개 및 배농을 시행받았던 환자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2군으로, 다발성 악안면골 골절상을 수상하여 골정복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무작위로 10명을 추출하여 실험3군으로 선정하였다. 후향적 조사연구로서 이학적 임상평가자료 및 혈중의 여러 임상병리지표들을 비교하여 각군에서의 수술전, 수술직후, 수술후 1주째 또는 추가적으로 수술후 3주째 혈액검사상의 수치들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추출하였고 시기에 따른 유의성 있는 변화량을 나타내는 수치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또한 임상생징후 소견과와 관련하여 검사수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또 각 수치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성있게 나타난 경우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병리학적 수치변화로서 환자의 임상예후를 짐작할수 있는 유용한 혈액학적 지표를 확정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종양환자에서는 Hb, MCV, Albumin, Cholesterol, LDH, AST, ALT, Neutrophil, Platelet, Leukocyte, Na, K, Cl, BUN, Creatinine으로 환자의 전신영양평가를 조사 하였다. 이 중 Hb, Albumin, AST, Neutrophil, Leukocyte, Cl 만이 시기별에 따라 유의성있는 변화치를 나타내었다. 그중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Cl 이었고 술전, 술후 1주째 유의 수준차는 P=0.004로 나타났다.임상 생징후인 체온, 호흡수, 혈압모두에서 혈액학적 수치과 관련된 유의성 있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2. 농양환자에서는 CRP, ESR, Leukocyte, Body temperature, Neutrophil로서 감염정도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중 ESR 수치를 제외한 CRP, Leukocyte, BT, Neutrphil은 시기별에 따라 모두 유의성있는 변화치를 나타내었다.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CRP로서 술전, 술후 1주째 유의 수준차는 P=0.001로 나타났다. 기대되 었던 체온변화와 다른 혈액지표와 관계는 유의성을 띠지 못하였다. 3. 골절환자에서는 Hb, MCV, Albumin, Cholesterol, LDH, AST, ALT, Neutrophil, Platelet, Leukocyte, Na, K, Cl, BUN, Creatinine으로서 종양환자에서의 항목과 동일하게 하였다. 골절치료전, 치료후 퇴원시의 변화를 통계처리한 결과 Na와 Platelet 수치를 제외하고는 유의성있는 변화치는 관찰되지 않았다. 시기별 평균치가 정상범주와 큰 차를 보인 항목은 Platelet로서 술전과 술후의 유의수준차는 P=0.009로 나타났다. 임상생징후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양환자의 검사치간의 시기별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수치들은 Hb과 Albumin, K, Na간, Neutrophil과 Leukocyte간이었고 상관계 수치는 $0.370{\sim}0.442$ 사이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조사된 수치는 Cholesterol과 ALT간, LDH와 Platelet, Creatinine간, Platelet와 BUN간, Na와 K수치간 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531{\sim}0.866$사이로 나타났다. 5. 농양환자에서의 검사치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이하인 수치들은 CRP와 Neutrophil간 이었고 상관계수는 0.422이었고 유의확률은 0.020으로 나타났다. 6. 골절환자에서의 검사치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 0.05이하인 수치들은 MCV와 K 간, Albumin과 LDH 간, AST와 Creatinine, Na, Cl간, K와 Neutrophil간, Neutrophil과 Leukocyte, BUN, K간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0.421{\sim}0.511$ 사이의 상관 계수치의 분포를 보였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유의수준이 부여된 수치들은 LDH와 AST간, ALT와 AST, Creatinine간이었고 $0.528{\sim}0.535$의 상관 계수치를 보였다. 7. 농양환자에서 CRP의 변화량이 감염양상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인것외 통상의 병리학적 혈액수치만으로 구강악안면 외과환자의 전신상태를 판정할수 있는 특징적인 양상을 띤 혈액학적 지표는 도출되지 않았다.

외식 빈도에 따른 대전시민의 영양상태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by Frequency of Eating Out)

  • 서윤석;강지현;김한숙;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71-180
    • /
    • 2010
  • 외식과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0세 이상의 대전시민 137명을 대상으로 2008년 12월 6일부터 2008년 12월 15일까지 외식빈도와 체위, 혈압 및 혈청성분, 영양소 식품군 섭취량을 조사하고, 외식 빈도를 주 1회 미만, 주 1회, 주 2~3회, 주4회 이상의 4개 구간으로 분류하여 외식빈도에 따른 건강 및 영양상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1) 외식 빈도에 따라 체위와 혈압, 혈청지질과 혈당 수준, 혈청 GPT와 GOT활성도의 평균치가 모두 정상 범위 내에 속하면서 외식 빈도가 높은 주 2~3회 외식군에서 수축기 혈압과 혈청LDL콜레스테롤과 혈청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혈청중성지방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총단백질 (p < 0.01), 동물성단백질 (p < 0.01), 동물성 지방 (p < 0.05), 인 (p < 0.05), 비타민 $B_2$ (p < 0.05)의 평균 섭취량은 외식 빈도가 높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 (p < 0.05)의 평균 섭취량은 외식 빈도가 낮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았다. 3) 탄수화물 에너지 비율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았고 (p < 0.001), 단백질 에너지 비율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았다 (p < 0.01). 4) 외식빈도에 따라 영양소의 평균필요량이나 충분섭취량 미만자의 분포에서 칼륨은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부족자의 비율이 높았고 (p < 0.05), 식이섬유소 (p < 0.05), 비타민 C (p < 0.05)는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부족자의 비율이 높았다. 5) 음료 차류 및 주류의 섭취량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주 4회 미만 외식군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 < 0.01), 감자 및 그 제품류는 주 2~3회 외식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5). 또한 총동물성식품군, 기타식품군 중 음료 차류 주류의 섭취량은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다른 외식군보다 높았다 (p < 0.01). 비록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채소류 및 과실류, 총식물성식품군의 섭취는 주 1회 미만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당류와 유지류의 섭취는 주 4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육류, 어패류, 우유류는 주 2~3회 이상 외식군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외식횟수가 과다하면 총동물성 식품군과 음료 차류 주류 등의 기타식품군의 섭취를 증가시켜 총단백질, 총지방, 인의 과다 섭취를 초래하고, 비타민 C와 철분, 아연의 미량영양소의 섭취부족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비타민 C가 많은 채소류 음식 등 식물성 식품의 식단을 보강시키도록 요식업체에 대한 계몽과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보여진다.

조기위암에서 복강경 및 개복 위아전절제술에 따른 영양학적 및 면역염증반응의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Status and the Acute Inflammatory Reaction between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and Conventional Open Dis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 채현동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1호
    • /
    • pp.19-25
    • /
    • 2010
  • 목적: 복강경하 보조 위 절제술이 위암 치료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 외에 수술적 치료와 관계하는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의 영양학적 및 면역학적 측면에서의 안정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조기위암으로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87예와 개복 위아전절제술을 시행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정보와 혈청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임상병리학적 요인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총 백혈구수는 개복군에 비해 술 후 1일째와 3일째 더 증가 정도가 낮았으며(P=0.001, P=0.008), CRP는 술 후 1일째와 3일째에서 증가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632, P=0.139), 술 후 5일째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01). T4/T8 ratio는 복강경하 위아전절제술군에서 술 후 3일째 감소 정도가 적었으나(P=0.003), Albumin의 감소 정도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57). 결론: 복강경 위아전절제술은 개복 위절제술에 비해 Albumin을 이용해 비교한 영양학적 측면에서 장점은 없었으나, 술 후 총 백혈수의 증가, CRP 감소, 및 T4/T8 ratio 감소 등의 전신 면역 및 염증 반응에서 우월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