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ent solution Ratio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67초

해송의 생육을 저해하는 Ca/Al 및 Mg/Al의 한계 비율 (Critical Ratios of Ca/Al and Mg/Al in Nutrent Solution Limiting Growth of Pinus thunbergii)

  • 이위영;양재의;박창진;장용선;옥용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29-335
    • /
    • 2004
  • Acid deposition in forest adjacent to the industrial complexes causes soil acidification resulting in the leaching of cations, decreases of buffering capacity and increases of toxic metal concentrations such as Al, Fe, Mn and Cu in soil solution. Changes of nutrient availability equilibria by acid deposition have been known to retard the growth of pine trees.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critical ratios of Ca/Al and Mg/Al limiting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in the hydroponic culture. The Ca concentration and Ca/Al ratio in stalks of pine tree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Ca/Al molar ratio in the nutrient solution, but were not changed when the Ca/Al molar ratio was adjusted to greater than 1. Growth of Pinus thunbergii was inhibited at the Ca/Al molar ratio lower than l due to the Ca deficiency. The molar ratios of Ca/Al in the needles of Pinus thunbergii showed the similar tendency with the stalks. This indicated that Ca/Al molar ratio of 1 in the growth media was the critical level limiting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Concentration of Mg and Mg/Al molar ratios in the stalks of pine tree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Mg/Al molar ratio in nutrient solution. Molar ratios of Mg/Al in the needles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Mg/Al ratios in nutrient solution up to 0.83, which was the critical level limiting the growth of Pinus thunbergii.

Composition of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Single-stemmed Rose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 Kang Mu Jang;Lee Joo Hyun;Lee Yong-Beo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4-181
    • /
    • 2005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n optimal nutrient solution for the single-stemmed rose (Rosa hybrida L.) 'Red velvet' in a closed aeroponic system. Plants were grown in 1/3, 1/2, 1, or 3/2 strength of the nutrient solution of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Station in Japan (NHRS). Significantly less changes of pH and EC ($dS{\cdot}m^{-1}$) in the drainage were observed in 1/2 strength treatment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NO_3-N$, K, Ca, and Mg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solution of 1/2 strength treatment were maintained at optimal leve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ose uptakes of both nutrients and water was more stable than those in oth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of macronutrients in nutrient solution were adjusted based on the ratio of nutrient:water (n/w) taken up by plants grown in the 1/2 strength solution. The composition of the new solution (classified the University of Seoul (UOS) solution) was as follow; $NO_3-N$ 8.8, $NH_4-N$ 0.67, P 2.0, K 4.8, Ca 4.0, Mg 2.0 $me{\cdot}L^{-1}$. To further evaluate new solution on crop growth, the rose 'Red Velvet' was grown again in l/2, 1, and 2 strength UOS solution to compare with 1.0 strength PBG (proefstion voor bloemisterij en glasgroenpe) solution. Overall the plant growth, including the stem length and number of five-leaflet leaves was higher in 1.0 strength of UOS solution than other treatment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nutrients in the UOS solution are well balanced for the single-stemmed rose in the closed aeroponic system.

수경온실의 양액 냉각부하 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Numerical Model for Prediction of the Cooling Load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Greenhouse)

  • 남상운;김문기;손정익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9-109
    • /
    • 1993
  • Cooling of nutrient solution is essential to improve the growth environment of crops in hydroponic culture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the cooling system satisfying the required cooling load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greenhouse. A numerical model for prediction of the cooling load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greenhouse was developed, and the results by the model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ose by experiments. Main factors effecting on cooling load were solar radiation and air temperature in weather data, and conductivity of planting board and area ratio of bed to floor in greenhouse parameters. Using the model developed, the design cooling load of nutrient solution in hydroponic greenhouse of 1,000$m^2$(300pyong) was predicted to be 95,000 kJ/hr in Suwon and the vicinity.

  • PDF

수경재배시 Ca 및 K 이온의 조성비율 차이가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2+}\;:\;K^+$ Ratio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Marjoram(Origanum majorana) and Oregano(Origanum vulgare) Grown in Hydroponic Culture)

  • 박권우;나철욱;강호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40-244
    • /
    • 2003
  •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에 생육과 정유함량에 미치는 양액내 $Ca^{2+}\;:\;K^+$의 적정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은 유럽채소연구소의 0.5배액을 사용하였다. $Ca^{2+}\;:\;K^+$의 비율은 3.5;13, 4.5:11(표준용액), 5.5:9, 6.5:7 mM${\cdot}L^{-1}$ 4가지 농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마죠람의 생육은 5.5:9와 6.5:7 mM${\cdot}L^{-1}$구에서 우수하였다. 비타민 C는 6.5:7구에서 그리고 정유함량(%)과 정유수량은 5.5:9구에서 높았다. 오레가노의 경우는 생육과 비타민 C의 함량은 5.5:9와 6.5:7구에서, 정유성분과 수량은 6.5:7구에서 높았다. 따라서 마죠람은 5.5:9 그리고 오레가노는 6.5:7로 조절하여 가꾸는 것이 생육과 수량 그리고 정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본다.

배양액내 Ca : K 비율이 상추의 광합성, 증산, 생육 및 tipburn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 : K Ratios in Nutrient Solution on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Growth and Incidence of Tipburn in Butterhead and Leaf Lettuce.)

  • 배종향;이용범;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2-48
    • /
    • 1999
  • 반결구 상추 ‘Omega’와 잎상추 ‘Grand Rapids’의 m 재배에서 배양액내 Ca : K 비율이 광합성, 증산, 생육 및 tipburn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반결구 상추와 잎상추 두 종 모두 광합성은 Ca : K 비율 3:6과 4.5:4.5에서 높았으며, 기공 저항은 잎상추가 반결구 상추보다 낮았다. 증산율은 3:6의 Ca : K 비율에서 두 종 모두 가장 높았으며, 잎상추의 증산율이 반결구 상추보다 높아 종간 차이를 보였다. 엽위에 따른 증산율은 완전 전개잎에 비해 미숙잎에서 낮았는데, 이것은 미숙잎에서 tipburn 발생이 많은 것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Ca 결핍구인 Ca : K 비율 0:9처리는 두 종 모두 극단적인 생육 저하와 함께 tipburn이 100% 발생하였으며, 반결구 상추는 Ca : K 1.5:7.5 처리에서도 tipburn이 25% 발생하였으나, 잎상추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작물 생육은 Ca 결핍구를 제외한 두 종 모두 Ca : K 3:6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배양액의 Ca과 K의 불균형은 기공저항과 확산저항을 높여 광합성과 증산의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Ca 이동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였다.

  • PDF

온실멜론의 암면재배에 있어서 수분기의 양분공급제한이 생육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imited Nutrient Supply at the Pollination Stage on the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Muskmelon Grown in Rockwool)

  • 장홍기;정순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3
    • /
    • 1997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mited nutrient supply during 21 days before and after pollination stage on the growth, fruit quality and nutrient uptake of muskmelon in rockwool culture. Muskmelon, cv. Earl's Favorite seeds sowed on rockwool cube and transplanted on rockwool slab($90\times15\times7.5cm$) when 2 to 3 true leaf appeared on Sep. 6, 1991. Three kinds of nutrient composition recommended by Shizuoka university, combinated with the composition of Otsuka house A and composition Shizuoka III. One half of calcium nitrate(Ca(NO$_3$)$_2$.4$H_2O$) for limiting nitrogen supply during 21 days was treated and then fertigated the nutrient composition recommended by Shizuoka university up to harvest time. Trickling nozzles(Netafim Co. Israel) were used for fertigation of nutrient solution and noncirculating system was employed. Temperature was maintained $18^{\circ}C$ in night but 23 to $25^{\circ}C$ for 10 days after pollination for softening the fruit. The drainage ratio of nutrient solution was adjusted 20 to 30 percent. Fertigated and drained amount, and the pH and EC of nutrient solution were recorded. The concentrations of mineral elements including N, P, K, Ca, and Mg we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reatments. In both autumn and winter cultivation, the limitation of nutrient supply by adjustment of nutrient composition(NO$_3$-N : 8meㆍ$\ell^{-1}$) caused the nutrient deficiency in muskmelon plant due to the limited nutrient supply. After pollination nutrient limitation by the lowering the nitrate retarded the over thickening of upper leaves of muskmelon but plant height and fresh weight of fruit were higher in the plot of nonlimited nutrient supply. The phenomena wer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nutrient uptake due to the limited time of nutrient solution, duration of nutrient supply and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creasing nutrient supply in the pollination stage was favorable for better appearance of fruit and improving fruit quality. Further trials would be required for the incre-ment of sugar degree of muskmelon grown in rockwool.

  • PDF

다양한 배양액 조성이 코이어 수경재배 딸기 '매향'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Composition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and Yield of Strawberry 'Maehyang' in Coir Substatrate Hydroponics)

  • 이정훈;이용범;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7-234
    • /
    • 2017
  • 본 연구는 딸기 '매향'의 양수분 흡수율을 고려하여 개발한 배양액을 검증하고자 이온 조성이 다른 5종 배양액으로 8개월 동안 수경재배하면서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5년 9월 22일 코이어 고설베드에 딸기 묘를 정식하고 1개월 후 다섯 종류의 배양액 농촌진흥청 딸기 배양액(RDA), 야마자키 딸기 배양액(Yamazaki), PBG 딸기 배양액(PBG), 서울시립대 딸기 배양액(UOS) 및 새로 개발된 서울시립대 딸기 배양액(NewUOS)을 사용하여 EC $1.0dS{\cdot}m^{-1}$, pH 6.0으로 1일 주당 150~300mL 공급하였다. 정식 60일 후 엽폭, 엽병장은 배양액 종류에 차이를 보였으며, 광합성은 RDA와 NewUOS 배양액 처리에서 높았고, PBG 배양액 처리에서 낮았다. 영양생장기 배액의 EC는 공급수준보다 낮은 EC $0.7{\sim}0.8dS{\cdot}m^{-1}$, 이후는 EC $1.0{\sim}1.2dS{\cdot}m^{-1}$로 안정되었다. 배액 pH는 Yamazaki 배양액 처리에서 6.2~6.8로 높은 반면, UOS 배양액은 5.1~5.2로 낮았다. 영양생장기 배액의 무기이온은 질산태 질소의 흡수가 가장 활발하였으며, 화방전개 이후 칼륨 흡수가 NewUOS, UOS 및 Yamazaki 배양액 처리에서 높았다. 정식 6개월 후 지상부와 지하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UOS와 NewUOS 배양액에서 높았으며, 지상부 건물율은 Yamazaki 배양액에서 43.5%로 낮았으며, 지하부 건물율은 NewUOS배양액에서 30.6%로 낮았다. 12월부터 2월까지 수확된 딸기의 과장, 과폭, 과중, 당도는 배양액 차이에 의한 유의성은 없으나, NewUOS 배양액에서는 주당 과수와 평균 과중이 높아 수량이 높았다. 3월부터 5월까지 Yamazaki 배양액에서 수확된 딸기는 주당 과수와 수량이 높았다. 따라서 이온 조성 차이에 따른 배양액 5종으로 수경재배하였을 때 '매향'의 생육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 상품성 향상을 위해 정식 후 ~ 2월까지는 NewUOS 배양액을, 고온과 화방당 착과량이 많아지는 3월 이후에는 Yamazaki 배양액으로 재배하는 것이 적합하리라 본다.

팔레놉시스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 비율 (Optimum Ratio of $NO_3^-$ to $NH_4^+$ in Nutrient Solution for the Growth of Phalaenopsis Hybrid)

  • 이영란;이용범;예병우;이동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9-233
    • /
    • 2010
  • 본 연구는 팔레놉시스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을 찾고 그리고 그 비율이 화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은 100%: 0%, 90%: 10%, 80%: 20%, 70%: 30%였다. 배양액내 팔레놉시스의 생육은$NO_3^-$만을 공급할 때보다 $NO_3^-$$NH_4^+$를 함께 공급할 때 생육이 증가하였다. 특히 $NH_4^+$의 비율이 10%일 때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배양액내 $NH_4^+$의 비율이 10%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와 뿌리의 생육은 감소 되었다. 화경의 길이, 개체당 화경수와 소화수 모두 $NH_4^+$ 비율이 0%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높았으나 30%로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즉, 팔레놉시스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은 90%:10%이었다.

코이어와 펄라이트 혼합배지를 이용한 절화장미 수경재배 시급액농도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 Level of Nutrient Solu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Cut Rose Based on Mixed Coir and Perlite)

  • 최경이;조명환;서태철;노미영;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8-353
    • /
    • 2009
  • 절화 장미 'Vital'을 코코피트와 펄라이트(3 : 1, v/v) 혼합배지에서 2006년 4월 20일부터 이듬 해 10월 15일까지 용기재배를 하였다. 사용한 양액은 애지현(愛知懸) 장미 표준액으로 고온기와 저온기에 양액의 조성을 달리하였으며, 계절별로 양액농도를 표준액의 0.7배, 1.0배, 그리고 1.3배액으로 처리하였는데 표준액의 계절별 급액농도는 4~6월은 $1.4dS{\cdot}m^{-1}$, 7~8월은 $1.0dS{\cdot}m^{-1}$, 9~10월은 $1.4dS{\cdot}m^{-1}$, 11~3월은 $1.6dS{\cdot}m^{-1}$였다. 급액량은 FDR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5kPa에서 급액하여 주당 120mL씩 공급하였다. 수확은 7회 하였는데 수량은 3차까지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4차 수확부터는 1.3배구의 수량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적었다. 절화장미의 가장 중요한 상품요소인 절화장을 재배시기별로 조사하였을 때 0.7배구는 표준액구와 비교 하여 총수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나 70cm 이하의 하품 생산량이 적고, 91cm 이상 상품성이 우수한 절화의 생산량이 많았다. 그 외에도 0.7배 처리구는 절화중, 화경경, 화중 등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기물인 코코피트를 주재료로 하여 펄라이트와 혼합한 배지를 이용하여 절화장미 수경재배 시에는 재배기간이 길어질수록 배지내에 무기성분이 집적되기 때문에 기존의 무기물 배지를 이용할 때 보다 표준액의 0.7배액 정도로 낮은 농도로 급액하면 상품성이 우수한 절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bb and Flow 시스템을 이용한 호접란 수경재배시 생장에 미치는 배양액 농도의 영향 (Effect of Nutrient Solution Strength on Growth of Phalaenopsis in an Ebb and Flow System)

  • 안동춘;박선혜;빈철구;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9-204
    • /
    • 2007
  • 배양액 농도가 호접란 미니다화성계 품종 P. amabilis와 P. Taisuco Red Jewel의 유묘와 중간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ebb and low system을 이용하여 4개월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묘의 경우 엽장과 엽폭이 P. amabilis는 배양액의 EC가 $0.5{\sim}1.0dS{\cdot}m^{-1}$일 때 가장 길었으나 P. Taisuco Red Jewel 배양액의 EC가 $1.5dS{\cdot}m^{-1}$일 때 가장 길었다. 반면에 근장과 근중은 두 품종 모두 배양액의 EC가 $0.5dS{\cdot}m^{-1}$로 낮을 때 가장 무거웠고 이러한 경향은 중간묘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P. amabilis의 경우 배양액의 EC가 $1.5dS{\cdot}m^{-1}$로 높을 때 가장 무거웠으며, 배양액의 EC가 낮아질수록 잎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낮아졌다. 반대로 뿌리의 생체중은 배양액 EC가 $0.5dS{\cdot}m^{-1}$로 낮을 때 가장 무거웠고, 배양액의 EC가 높아질수록 가벼워졌으며, P. Taisuco Red Jewel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중간묘의 경우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P. amabilis는 배양액 EC가 $0.5dS{\cdot}m^{-1}$로 낮을 때 가장 높았고, 배양액의 EC가 높아질수록 뿌리의 생체중은 낮아졌다. T/R율과 잎의 엽록소함량은 유묘와 마찬가지로 두 품종 모두 배양액의 EC가 $1.5dS{\cdot}m^{-1}$로 높을 때 가장 높았으며, 배양액의 농도가 낮아질수록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