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absorbed amount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물오리나무와 상수리나무 숲의 질소, 인 및 가리의 분배와 순환 (Distributions and Cyclings of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in Korean Alder and Oak Stands)

  • 문형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0권3호
    • /
    • pp.109-118
    • /
    • 1977
  • Seasonal distribution of N, P and K contents and their cycling were studied in Korean oak (Quercus acutissima) and Korean alder (Alnus sibirica) stands in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amounts of three minerals were high in young leaves but gradually decreased with the process of leaf development in both stands. The amounts of minerals in the branches, trunks and roots were decreased in summer, however, they increased again in autumn. Seansonal changes of these mineral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two stands. The amounts of phosphorus and potassium in plant and soil were higher in the oak stand than the alder one, but those of nitrogen were reversed. The amounts of minerals absorbed during one year were greater in the oak stand than in the alder one, but those returned into soil through mineralization of litter were less in the former than in the latter.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the oak stand were greater than the alders, but the cycling rate, the ratio of the amount of minerals absorbed to returned, was opposite.

  • PDF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전기전도도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오이 양분 흡수 모델링 (Modeling Nutrient Uptake of Cucumber Plant Based on Electric Conductivity and Nutrient Solution Uptake in Closed Perlite Culture)

  • Hyung Jin Kim;Young Hoi Woo;Wan Soon Kim;Sam Jeung Cho;Yooun Il Na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40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을 위한 양분흡수 모델링을 작성하고자 양액 농도(1.5, 1.8, 2.1, 2.4, 2.7 dS./m-1)를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생육 중기까지 전기전도도(EC) 수준에 따른 양액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중기 이후 EC가 높을수록 흡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N $O_{3-}$ N, P 및 K의 흡수량은 생육기간 동안 처리간 차이을 유지하였는데 N과 K는 생육 중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P는 생육기간동안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의 흡수량은 생육 중기 이후 모든 처리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무기이온 흡수율에서와 같이 흡수량에서도 EC간 차이를 보여 EC를 무기이온 흡수량을 추정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기이온 흡수량은 모든 EC 처리간에 생육 초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 후 생육 후기의 높은 농도에서 그 차이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EC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하여 무기이온별 흡수량을 예측하는 모델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측치와의 비교는 신뢰구간 1%내에서 높은 정의상관을 보여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양액재배에서 감귤나무의 무기양분 흡수 (Nutrient Absorption by Citrus unshiu Marc. Grown in Out-Door Solution Culture)

  • ;강태우;송성준;박원표;;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5-232
    • /
    • 2003
  • 노지에서 분무식 양액재배를 이용하여 감귤나무(Citrus unshiu Marc. cv. Miyagawa Wase)의 무기양분과 물 흡수 실험을 수행하였다. 양액의 농도는 세 수준으로 나누어 공급한 뒤 주기적으로 양액을 채취하여 무기양분과 물 흡수량을 측정하였고, 생체중의 변화를 조사하여 수체 증가량을 알아보았다. 물의 흡수는 감귤나무의 수체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High 처리구에서는 Medium과 Low보다 적게 흡수되었다. 영양생장(5~7월)과 과실형성(8~9월)기에 생체중과 양분흡수 증가가 가장 크게 일어났다. 양분의 흡수는 양액 공급 농도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높을수록 더 많이 흡수하는 경향이었고, $NH_4-N$, S, P, Mg, Fe보다 $NO_3-N$, K, Ca가 많았다. 또한 감귤잎 중 무기양분 함량도 공급되는 양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감귤나무의 주요 원소의 양액 농도 조성은 N, P, K, Ca, Mg 경우 각각 27.1, 16.5, 66.0, 80.0, $24.0mg\;L^{-1}$이 적당힌 것으로 사료된다.

산화 당년에 재생되는 식물군집의 종 구성과 식물의 영양염류 흡수량 (Species Composition and Nutrient Absorption by Plants in the Immediate Postfire Year)

  • 문형태;정연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1호
    • /
    • pp.27-33
    • /
    • 1997
  • Species composition and the amount of nutrients absorbed by regenerating plants on a pine forest in the immediate postfire year were compared with those in an unburned pine forest in Kosung, Kangwon Province.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Cyperus amuricus, Lespedeza biolor, Quercus serrata, Lysimachia clethroides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in burned area. In unburned area. Quercus mongolica, Rhododendron mucronulatum, Carex humili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podiopogon sibiricus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Standing biomass of understory vegetation in burned and unburned area was 170.2 g $D.W/m^2$ and 171.3g $D.W/m^2$, respectively. Nutrient concentrations of plants in burned area, especially for phosphorus and potassium, were higher than those in unburned area. The amounts of nutrients absorbed by understory plants in burned and unburned area were 37.4 and 33.6 kg/ha for N, 0.36 and 0.19 kg/ha for P, 30.6 and 18.8 kg/ha for K, 8.5 and 7.8 kg/ha Ca, 5.2 and 5.7 kg/ha for Mg,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regenerating vegetation can hold the significant amount of nutrients, although there may be considerable losses of nutrients from ecosystem after fire.

  • PDF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의 시용수준에 따른 시설수박 생육과 토양화학성의 변화 (Application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Watermelon Growth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 엄미정;노재종;전형권;권성환;송영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2
  • 시설수박 재배시 안정적 수량확보와 과다시비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질비료의 적정 시비기준을 마련하고자 유기질비료인 혼합유박과 혼합유기질비료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질비료는 혼합유박이 질소 3.9%, 인산 2.0%, 가리 0.9%, 혼합유기질비료는 질소 4.1%, 인산 2.1%, 가리 1.1%로 수박의 엽면적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질소기준 0.5배량과 0.3배량 수준의 처리구가 화학비료 단용처리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엽중 양분흡수량 및 수박의 과중과 당도는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확 후 시험토양은 2가지 비종 모두에서 밑거름으로 50%와 30% 수준으로 시용하고, 웃거름으로 화학비료를 이용한 경우가 EC, 유효인산, 치환성 칼리 함량이 시험전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아져 다른 처리에 비하여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우려가 적었다. 이에 따라 시설수박 재배시 혼합유박이나 혼합유기질 비료의 적정시비량은 토양검정 질소시비량의 0.3~0.5배량 수준을 정식전 밑거름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양은 화학비료를 웃거름으로 관비를 통해 공급하는 것이 3~10%의 수량 증가 효과가 있었다.

신갈나무 숲의 營養監類 循環 (Nutrienr cyclings in mongolian oak(quercus mongolica) forest)

  • Kwak, Young-Se;Kim, Joon-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5권1호
    • /
    • pp.35-46
    • /
    • 1992
  • To elucidate nutrient cyclings such as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in mongolian oak(quercus mongolica) forest, nutrient elements of precipitation, throughfall, outflow, soil, various plant organ and litter were determined at mt.nambyeongsan, pyeongchang-gun, gangwon province in central part of korean peninsula. Annual precipitation input, throughfall and outflow of nutrientswere 10.3, 8.6 and 4.2 kg/ha for the N, 0.11, 0.24 and 0.02 kg/ha for the Pand 1.3, 10.9 and 1.2 kg/ha for the K, respectively. Inseasonal changes of nutrient concentrations, N, P and Kconcentrations which were rich in young leaves decreased steadily until autumn and decreased abruptly during autumnal yellowing. The standing N, P and K concent were 565, 37 and 257 kg/ha for standing phytomass of overstory, 33, 3 and 18 kg/ha for understory, 132, 3.6 and 14 kg/ha for litter on ground including deadwood and 20, 752, 14 and 420 kg/ha for the soil, respectively. The amounts of annual uptake, reture and retain were 174.2, 57.2, 117.2 kg/ha for the N, 9.9, 3.5, 6.4 kg/ha for the P and 73.2, 30.3, 42.9 kg/ha for the K, respectively. Reabsorption efficiency, ratio of the nutrient amount reabsorbed into woody organs to that in the mature leaves before shedding, was 71%(or 99.8 kg/ha in the amount), 69%(or 5.1 kg/ha) and 57%(or 33.1% kg/ha) and recycling coeffciently made with which the large amount of nutrients is absorbed through roots during growing season(UPTAKE) and reasorbed from the leaves before shedding(RETAIN) but the small amount of nutrients is returned through litterfall(RETURN).

  • PDF

정상식과 채식을 하는 여대생의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The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Collegian on Normal Diet and Lacto-Ovo-Vegetarian)

  • 최미영;여정숙;강명춘;승정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3호
    • /
    • pp.217-224
    • /
    • 198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ribe the nutritional status between female collegians on normal diet and lacto-ovo-vegetarian in the child bearing age. Physical examination, hematological parameters(hemoglobin, hematocrit, serum iron, serum albumin)and nutrient intake by dietary survey were carried out on each subject. Serum zinc, iron and copper concentration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Students on normal diet had higher values than lacto-ovo-vegetarian students in the height, weight, and skinfold thickness. 2) Hemoglobin, hematocrit, serum albumin values of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But students on normal diet were higher in the serum irom and copper values than lacto-ovo-vegetarian students. 3) Serum zinc value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vegetarians and non vegetarians (Vegetarians') > non vegetarians') 4) On the nutrient intake of two groups, students on normal diet were higher than lacto-ovo-vegetarian students in the protein but students on normal diet were lower than lacto-ovo-vegetarian students in iron, vitamin A, $vitamin\;B_{2}$, vitamin C and crude fiber. 5) Intakes of calories and protein in the two groups were lower than RDA but Ca, vitamin A, $vitamin\;B_{1}$, $vitamin\;B_{2}$ niacin and vitamin C intakes of the two groups was higher than RDA. 6) Amounts of iron absorbed showed no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But iron absorption rate was higher in students on normal diet than lacto-ovo-vegetarian students.

  • PDF

수경재배용 용수 종류에 따른 상추 생장 연구 (Study on the Lettuce Growth Using Different Water Sources in a Hydroponic System)

  • 허정민;김가은;김진황;최병욱;이성종;이병선;조은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1-198
    • /
    • 2022
  • BACKGROUND: Plants can be grown using a culture medium without soil using a hydroponic system. Crop production by the hydroponic system is likely to increase as a means of solving various problems in the agricultural sector such as aging of rural population and climate change. Different water sources can be used to prepare the culture medium used in the hydroponic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water sources on crop production by the hydroponic system in order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water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Lettuce was cultivated by the hydroponic system and three different water sources [tap water (TW), bottled water (BW), and groundwater (GW)]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 of water sources on lettuce growth. The three kinds of waters with a nutrient solution (TW-M, BW-M, GW-M) were also used as the media. After the six-week growth period, the lettuce length and weight, the number of leaves, and the contents of chlorophylls and polyphenols were compared among the different media used. The lettuces did not grow in the waters without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media, the lettuce growth and the contents of chlorophylls were affected by the different water sources used to prepare the media, while the contents of polyphenols were not affected. The absorbed amounts of ions by lettuces, especially Ca and Zn ions, and the dry weight of the harvested lettuc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different water sources used for growing lettuce in a hydroponic system can affect lettuce growth. Further studies on the enhancement of crop qualities using different water sources may be required in future studies.

남강댐 상류 습지에서 수생관속식물이 호소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quatic Vascular Plants on the Lake Ecosystem in the Upper Stream Wetlands of the Namgang-Dam)

  • 오경환;이정환;김철수;손성곤;이팔홍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44
    • /
    • 1999
  • 습지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한 보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댐 상류의 습지에서 1997년 4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분포 및 군락 구조와 버들류의 생장 유형, 현존량, 양분 흡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분포하는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27 종류, 부엽식물 4 종류, 부수식물 3종류, 침수식물 9종류 등으로 43종류이고, 습생식물은 241종류였다. 초본층에서 우점종은 여뀌였으며, 종다양도는 1.59~1.89이고 균등도는 0.87~0.96으로 매우 높았으며 군집유사도 지수는 0.35~0.83이었다. 관목층 및 아교목층에 분포하는 버들류(Salix spp.)는 선버들을 포함한 17종으로서, 조사지역에서 천이 초기의 개척식물로 추정되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100m^2$) 당 밀도는 27.5개체이고, 수간에서 분지된 가지수가 개체당 평균 5.0개였다. DBH 분포는 2cm 미만의 유목과 함께 역J자형의 경사분포형으로서 자연적인 후계림을 기대할 수 있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m^2$)당 기저면적은 $24.87cm^2$이고, 용적은 $12,008cm^3$였다. 조사지역 전체에서 버들류의 식물현존량은 12,894 ton으로서, 이는 $9,551ton/km^2$에 상당하는 양이었다. 버들류의 부위별 생물량 분포는 수간부 64.1%, 분지 및 소지 28.1%, 잎 7.8% 등으로서 수간부의 생물량이 가장 많았으며, 버들류에 흡수된 질소 및 인의 현존량은 각각 68,022 및 19,823 kg이었다. 습지대 식물군락을 이용하여 댐내 수질오염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하고 습지대 식물군락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제시되었다.

  • PDF

서호수에서 부레옥잠 생육상태와 영양염류 제거량 조사 (Survey on Nutrient Removal Potential and Growth State of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at Seo-Ho.)

  • 김복영;이종식;김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49
    • /
    • 1998
  • 공장폐수와 도시오수가 유입되고 있는 서호에 부레옥잠을 6월부터 10월 중순까지 수면 재배하고 비닐하우스내에서 축산폐수에 부레 옥잠을 재배하여 식물체중의 질소, 인, 칼리함량 및 제거수량과 수질정화 정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원지방에서 부레옥잠 수면 재배는 6월부터 10월 중순까지 가능하였다. 2.서호 $6.6m^2$에 부레옥잠 1,320주(98kg)을 약 4개월간 재배한 결과 50,600주 (141,616kg)가 $4,000m^2$정도에 번식되었으며, 10a 당삼요소 제거량은 질소:73.8, 인: 64.2, 칼리: 152.4kg 등이었다. 3. 부레옥잠 재배지 수질이 무재배지보다 $NH_4-N$의 함량이 다소 낮고, 8월까지 EC와 $NH_4-N$함량이 낮아지다가 9월에 높아졌다가 다시 낮아졌으나 기타 성분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4. 부레옥잠을 비닐하우스내에서 축산폐수에 재배한 결과, pH, EC, COD, $NH_4-N$, $PO_4-P$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다. 5. 부레옥잠의 부위별 질소 함량은 잎 > 줄기 > 뿌리 순이 었으며 인산은 반대로 뿌리 > 줄기 > 잎 순으로 많아 질소는 앞에서 인산은 뿌리에서 많이 흡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