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Balance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9초

The Effect of Level of Crude Protein and Available Lysine on Finishing Pig Performance, Nitrogen Bal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Ball, M.E.E.;Magowan, E.;McCracken, K.J.;Beattie, V.E.;Bradford, R.;Gordon, F.J.;Robinson, M.J.;Smyth, S.;Henry, 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4호
    • /
    • pp.564-572
    • /
    • 2013
  • Two trial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crude protein (CP) content of diets for finishing pigs containing two levels of available lysine on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N) balance and production performance. Ten finishing diets containing five levels of CP (on average 144, 155, 168, 182 and 193 g/kg fresh basis) and two levels of available lysine (6.9 and 8.2 g/kg fresh basis) were formulated. The diets were offered to pigs on a performance trial (n = 800 Large White (LW)${\times}$Landrace (LR) pigs) from 10 wk of age until finish at 21 wks+5 d of age. Average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conversion ratio (FCR) were calculated. In addition, a digestibility/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using pigs (n = 80 $LW{\times}LR$) housed in metabolism crates. Digestibility of dry matter (DM), CP, oil, fibre and energy was determined. N balance values were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N content of urine and faeces ('as determined'). N balance values were also calculated using ADG values and assuming that 16% of growth is protein deposition ("as calculated"). Pig performance was poor between 10 and 13 wk of age which indicated that the dietary treatments were nutritionally inadequate for pigs less than 40 kg. There was a significant (p<0.01) quadratic effect of increasing CP level on feed intake, ADG and FCR from 10 to 13 wk which indicated that the lower CP levels did not supply adequate levels of essential or non-essential amino acids. There was no effect of increasing available lysine level throughout the early period, which in conjunction with the response in older pigs, suggested that both 8.2 and 6.9 g/kg available lysine were insufficient to drive optimum growth. There was a positive response (p<0.05) to increasing available lysine level from 13 wk to finish which indicated that 6.9 g/kg available lysine was not adequate for finishing pigs. Energy digestibility decreased with decreasing CP level of diets containing 6.9 g/kg available lysine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higher fibre content of the lower CP diets. Nitrogen excretion (g/d) was lowered when dietary CP was reduced regardless of whether the values were determined through balance or calculated using ADG. Calculated N excretion decreased linearly (p<0.001) and quadratically (p<0.001) with decreasing dietary CP content. When the N balance figures calculat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quoted in the Northern Ireland and English Nitrates Directive Action Programmes, N excretion was less per pig (wean to finish) offered a 169 g/kg CP, 8.2 g/kg available lysine diet (2.39 kg vs 3.41 kg (Northern Ireland) and 2.93 kg (England)).

관개방법에 따른 논에서의 수문 및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Comparison of Water Budget and Nutrient Loading from Paddy Field According to the Irrigation Methods)

  • 전지홍;최진규;윤광식;윤춘경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118-127
    • /
    • 2005
  • 관개방법이 논에서의 수문 및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개용수가 풍부한 지표수 관개지역과 관개용수가 부족한 지하수관개지역에서의 물수지 및 영양물질수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표수 관개논은 영농 기간동안 지속적으로 관개가 이루어졌으나, 지하수 관개논은 영농초기에만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에는 강우에 의해 담수심이 유지되어 지표유출은 지표수 관개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지표수의 영양물질 농도는 시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량의 시비가 이루어지는 영농초기 (5 ${\sim}$ 6월 중순)에는 높은 영양물질 농도를 나타내어 이 시기에 논에서 유출이 이루어진다면 하류 수계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수지 분석결과 지하수 관개논의 관개량, 지표유출량 등이 상대적으로 지표수 관개논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영양물질수지분석 결과 대부분의 유입은 시비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유출은 지표유출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지표유출과 침투유출사이의 비율은 토양의 특성에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외부에서의 유입을 제외하고 시스템내에서의 유출입만 고려한다면, 물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지하수 관개논에서 낮은 부하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기비가 이루어지고 인위적인 낙수나 강우에 의한 유출이 발생할 경우, 높은 부하량 뿐만 아니라 고농도의 영양물질질이 수계로 유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에서의 비점오염관리를 대안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시비량 감소 뿐 아니라, 효율적인 물관리기법 개발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영농초기의 강우특성과 논에서의 담수기능을 고려해 볼 때 시비에 의한 높은 영양물질 농도를 나타내는 논 표면수의 유출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꼬높이의 증가와 천수간단관개 영농초기의 강우에 의한 유출을 억제시킴으로써 부족한 관개용수의 절약 뿐만 아니라 하류수계의 수질보호에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다양한 조건에 따른 환경적인 측면 뿐 아니라 벼의 생리적인 측면은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광역친환경 농업단지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Growth of Rice and Nutrient Concentration in a Season in Large-scal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istricts)

  • 정지은;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03-218
    • /
    • 2017
  • 전국 광역친환경 농업단지 중 전남 장흥과 순천 그리고 충북 옥천 3개소를 대상으로 논에서 재배된 벼의 시기별 생장과 무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장흥 농가는 기본 시험구와 기본 시험구에 N(질소)를 20% 추가한 유박 추가 시비구를 포함하였다. 6월 토양의 pH와 EC 그리고 K 농도는 유박 추가 시비를 포함한 장흥 농가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토양 1kg당 시기별 무기태 N는 이앙 후 6월에 장흥 농가가 다른 농가보다 80 mg 이상으로 많았으나 재배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시기별 벼의 T-N농도는 최고 분얼기에 장흥 농가에서 높았으며 수확기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P 농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 간에 별다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초장은 순천 농가에서 재배된 벼가 101 cm로 작았으나 건물중은 72 g으로 높게 나타났다. SPAD는 장흥 농가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외래품종인 밀키퀸을 재배한 옥천 농가는 완전립이 93%로 정조중과 현미, 백미 모두 ha당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여서 연간 조수입도 2,671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옥천 농가는 대량의 퇴비 시비로 수확 후 토양에 잔존하는 양분수지(T-N + P + K)가 ha당 900 kg 이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인 반면에 장흥 농가는 300 kg으로 낮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깔개물질의 종류에 따른 한우-경종 결합 농가의 양분순환 구조 분석 (Analysis of Nutrient Cycling Structure of a Korean Beef Cattle Farm Combined with Cropping as Affected by Bedding Material Types)

  • 임상선;곽진협;박현정;이선일;이동석;김용순;윤봉기;김선우;최우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54-3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깔개물질에 의한 양분 유입 및 축사 내 분뇨 방치 및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양분손실이 양분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남 지역 한우 농가(사육두수 100두, 경지 면적 2.5 ha)를 대상으로 사료$\rightarrow$ 가축 $\rightarrow$ 분뇨 $\rightarrow$ 퇴비 $\rightarrow$ 토양 $\rightarrow$ 사료의 양분순환구조를 분석하였다. 분뇨에 의해 발생한 질소와 인산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톱밥을 깔개물질로 사용할 경우 질소 1.6%, 인산 3.1%, 왕겨의 경우 질소의 14.2%와 인산 27.4%가 추가로 공급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분수지 또는 양분순 환구조 분석에서 깔개물질의 종류와 사용량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양분순환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우사내 분뇨의 야적기간(21일)과 퇴비화 기간(90일) 동안에 발생하는 물질과 양분의 손실이었다. 톱밥퇴비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질소의 78.4%, 인산의 9.5%가 손실되었으며, 왕겨퇴비의 경우 각각의 손실률은 81.6%와 10.3%였다. 톱밥 퇴비의 물질 및 양분 손실률이 낮은 것은 톱밥의 C/N 비와 난분해성인 리그닌 함량이 높아서 유기물 분해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났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기존의 양분수지 연구는 대부분 분뇨 발생 시점의 양분함량을 기준으로 계산하였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분뇨 발생 이후부터 농 경지 시용 이전까지 발생하는 양분손실과 이에 영향 을 미치는 깔개 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야만 정확한 양분수지 구명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 조사료 급여 농가의 영양소 균형 및 유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the Milk Productivity and Nutrient Balance of Forage Sources for Organic Dairy Farms in Korea)

  • 나영준;신기문;임종수;방제용;이상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8-103
    • /
    • 2016
  • 전라북도 고창 조사 지역 내 유기 낙농 농가 수는 연도가 지남에 따라 증가하지 않았지만, 전체적인 사육규모와 사육두수는 증가하였다. 연 평균 유량은 국내 검정 농가 평균에 비해 유기 낙농가가 최대 9 kg/d가 낮았지만 유지방과 유단백 함량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NRC (2001)의 사양표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양소 공급 수준을 평가한 결과, 급여 사료의 에너지 비율 특히 비구조탄수화물의 비율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대사단백질 및 섬유소 비율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영양소 공급 수준을 조정한다면 착유우의 건강상태 및 유생산성이 개선될 것으로 생각된다.

하해혼성(河海混成) 논토양(土壤)의 양분수지(養分收支)에 관한 연구 (Study on Nutrient Balance in Paddy Field of Fluvio-Marine Deposit)

  • 유철현;양창휴;강승원;한상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253-263
    • /
    • 2002
  • 벼 재배시 시용한 비료와 자재양분의 이동과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전북통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2개년간(1999~2000)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후 토양의 pH는 생우분 시용구에서 높아졌고 유기물, 인산, 규산, 칼리, 석회, 전질소함량이 증가하였고, 토층내로의 침투수중 무기태질소함량은 $NH_4-N$보다 $NO_3-N$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그 정도는 생우분시용구에서 높았으며, $PO_4-P$함량은 생우분시용구에서 타처리 보다 높았으나 K함량은 표준시비구에서 높았다. 벼 생육기간중 물의 소비량은 477mm였으며, 양분의 공급량과 소비량 중 질소는 무질소구, LCU20%감비구, 무비구에서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많았으며, 인산의 경우는 무인산, 무비구를 제외하고는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적었다. 또한 칼리는 모든 처리에서 공급량보다 소비량이 많았다. 양분의 침투수 중 시비질소는 진단시비, 표준시비+생우분+규산시용구에서 많았고 수확물의 질소회수율은 LCU20%감비구에서 높았다. 시비인산의 침투율은 생우분시용구에서 많았고, 시비칼리는 LCU20%감비구에서 많았다. 수도체 질소이용율은 LCU20%감비, 인산과 칼리의 이용율은 표준시비+규산시용구에서 높았다. 쌀수량은 진단시비 대비 LCU20%감비>표준시비+규산=표준시비+생우분+규산>표준시비+생우분 순으로 높았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mouse에서의 유전자군의 발현양상 변화 (Gene Expression Profile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from High-fat Diet Fed Mice)

  • 차민호;김경선;심웅섭;윤유식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8권2호통권9호
    • /
    • pp.75-84
    • /
    • 2002
  • Obesity can be defined as a metabolic disease due to a increased state of fat tissue caused by an imbalance of calorie intake and use. To define genes that affected by different nutrient, we study gene expression from mice which were fed different nutrient. Epididymal and retro-peritineal adipose tissue were increase in high fat diet feeding mice compared with control, but liver and spleen were not. In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differently increase in high fat diet feeding mice but tota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were not. That was maybe result of energy balance regulation in vivo system. aP2, PPART2 and FAS genes that were increased during adipogenesis were inclosed in high fat diet fed mice compared with control. In microarray assay, 1.4% of total genes were affected in epididymal adipose tissue by different nutrient. 1.1% of total genes were decreased down 0.5 fold and 0.3% were increased over 2 fol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ny genes are affected in adipose tissue by nutrient.

  • PDF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성인 비만 여성의 영양소 섭취량 및 운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Korean Adult Women)

  • 이은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56-76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fitness of Korean obese adul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 obese adult women aged 30-65 years residing in Seoul.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women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exercise for 12 week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 (p < 0.001) of blood pressure and atherogenic index of obese women after the weight control program. Energy intak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01) from 1556.9kcal to 1044.9kcal after 12 weeks of the weight control program. Also protein, fat and carbohydrate intak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atio of energy intakes per day for the subjects was carbohydrate 64% : protein 16% : fat 20%. The frequency of vegetables intak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food groups. After the weight control program,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balance and explosive muscular strength of subject's physical fitne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women may contribute to nutrient intakes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지역순환농업을 위한 분뇨단위 설정과 질소부하 평가 -여주지역 사례- (Assessment of N-Loading and Manure Units for Regional Recycling Farming -Case Study in Yeoju-Gun Region-)

  • 류종원;최덕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6
    • /
    • 2012
  •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of livestock manure nitrogen loading for recycling farming in Yeoju-Gun carried out comparing manure units based on the cultivation areas and the N-amount of manure that are generated from livestock manure. Manure units (MU) are used in the permitting, registration, because they allow equal standards for all animals based on manure nutrient production. An MU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animals by manure unit factor for the specific type of animal. The manure unit factor for MU determination was determined by dividing amounts of manure N produced 80kg N/year. In this study, manure unit by nitrogen concentration and amount of animal manure was calculated as follows: Hanwoo multiplied by 0.36, dairy cows multiplied by 0.8. swine multiplied by 0.105. The laying hens and broilers multiplied by 0.0079, 0.0049,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liquid manure unit per ha shows that the N loading by LMU is quite different by region. When it comes to nitrogen loading, the LMU per ha of cultivated land in excess of the N-amount was the highest in the Bukne-myeon province with 2.76 MU/ha, which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The Ganam-myeon province came next with 2.53 LMU. To be utilized as a valid program to build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system, diverse measures shall be mapped out to properly determine manure units, evaluate N-loading and to properly manage their nutrient balance of each region.

농촌지역 노인의 영양상태와 활동량 (Nutritional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in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 이성국;윤희정;권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36-344
    • /
    • 2002
  • In this study, nutrient intake status and energy expenditure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The results obtained by questionaries, the 24 hour recall method, and time-diary were as follows: The elderly men surveyed were 73.8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elderly women surveyed were 73.5 years old, on the averag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with diseases was 51.9%. Most of the subjects (86.1%) had a regular meal pattern of consuming three meals a day. The average daily energy intake of the rural elderly was much lower than the Korean RDA. The dietary assessment data showed that each energy intake of the males and the females was 79.5% and 84.3% of the RDA, respectively. The dietary intake of Ca, Fe, niacin, thiamin, and riboflavin was lower than the Korean RDA, and that of P and Vitamin C was adequate. The F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and sex (p < 0.05). Although, in both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it decreased with age, the elderly men's intake was lower than the elderly women's. The heights of the elderly men and the elderly women was 159.7 cm and 147.5 cm, respectively, and the weights were 60.0 kg and 52.2 kg, respectively, and the BMI was in the moderate range. Height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5). According to daily living schedules, leisure time (11.0 hour) was the longest, physiological time (9.6 hours) was next, and work time (3.4 hours) was the shortest. Energy expenditu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p < 0.01). Energy intake also decreased with aging. Energy balance (energy expenditure/energy intake) was 93.4% in elderly men and 104.0% in elderly women. Especially, in elderly men in the 65 to 74 age range, the energy balance was the lowest, and the nutrient intake was also much lower than that of elderly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