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xious bacteri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초기 비육돈에서 생균제 첨가 급여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Lactobacillus와 Escherichia coli 농도, 분으로부터의 유해가스 발생량 및 혈중 혈액세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biotics in Die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bial Count, Noxious Gases Emission from the Feces, and Blood Profile in Early-Finishing Pigs)

  • 정지홍;홍성민;김효진;멍칭웨이;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23-28
    • /
    • 2010
  • 본 연구는 생균제가 첨가된 사료 급여시 초기 비육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내 Lactobacillus와 Escherichia coli 농도, 분으로부터의 유해가스 발생량 및 혈중 혈액세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시 체중이 56.48 ${\pm}$ 1.66 kg인 3원 교잡종 [(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초기 비육돈 60 두를 공시하여 28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P1 (CON + 0.1% probiotics) 및 3) P2 (CON + 0.2% probiotics)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생균제 첨가 처리구 P1과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소화율은 P2 처리구가 CON과 P1 처리구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5). 질소소화율에는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에너지 소화율은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Lactobacillus에 있어서는 처리구 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Escherichia coli에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분내 암모니아(Ammonia), 황화수소 ($H_2S$) 및 메캅탄(Mercaptan)의 농도는 생균제가 첨가된 P1과 P2 처리구들이 CON 처리구보다 낮게 나타났다(P< .05). 그러나, Acetic acid에서는 P2 처리구가 CON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적혈구, 백혈구 및 임파구의 혈중농도는 처리구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초기 비육돈에 있어 Agariemycetes 0.2%의 첨가급여는 사료효율, 건물 및 에너지 소화율, 분내 Escherichia coli 수 및 악취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돈사의 유해가스와 악취를 줄여 그에 따르는 생산성 감소 및 질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aerobic Biotreatment of Animal Manure - A review of current knowledge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

  • Hong, Jihyung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7-102
    • /
    • 2005
  • Anaerobic decomposi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sses in nature and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waste and wastewater treatment for several centuries. New applications and system modifications continue to be adapted making the process either more effective, less expensive, or suited to the particular waste in question and the operation to which it is to be applied. Animal manure is a highly biodegradable organic material and will naturally undergo anaerobic fermentation, resulting in release of noxious odors, such as in manure storage pi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oxygen in the manur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may be either aerobic or anaerobic. Under anaerobic conditions, bacteria carry on fermentative metabolisms to break down the complex organic substances into simpler organic acids and then convert them to ultimately formed methane and carbon dioxide. Anaerobic biological systems for animal manure treatment include anaerobic lagoons and anaerobic digesters. Methane and carbon dioxide are the principal end products of controlled anaerobic digestion. These two gases are collectively called biogas. The biogas contains $60\~70\%$ methane and can be used directly as a fuel for heating 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ce amounts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100\~300\;ppm$) are always present in the biogas stream. Anaerobic lagoons have found widespread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animal manure because of their low initial costs, ease of operation and convenience of loading by gravity flow from the animal buildings. The main disadvantage is the release of odors from the open surfaces of the lagoons, especially during the spring warm-up or if the lagoons are overloaded. However, if the lagoons are covered and gases are collected, the odor problems can be solved and the methane collected can be used as a fuel. Anaerobic digesters are air-tight, enclosed vessels and are used to digest manure in a well-controlled environment, thus resulting in higher digestion rates and smaller space requirements than anaerobic lagoons. Anaerobic digesters are usually heated and mixed to maximize treatment efficiency and biogas production.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review a current anaerobic biological treatment of animal manure for effective new technologies in the future.

  • PDF

Effects of L-tryptophan, Fructan, and Casein on Reducing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Skatole in Fermented Swine Manure

  • Sheng, Q.K.;Yang, Z.J.;Zhao, H.B.;Wang, X.L.;Guo, J.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8호
    • /
    • pp.1202-1208
    • /
    • 2015
  • The effects of daily dietary Bacillus subtilis (Bs), and adding L-tryptophan, fructan, or casein to fecal fermentation broths were investigated as means to reduce the production of noxious gas during manure fermentation caused by ammonia, hydrogen sulfide ($H_2S$), and 3-methylindole (skatole). Eighty swine ($50.0{\pm}0.5kg$) were equally apportioned to an experimental group given Bs in daily feed, or a control group without Bs. After 6 weeks, fresh manure was collected from both groups for fermentation studies using a $3{\times}3$ orthogonal array, in which tryptophan, casein, and fructan were added at various concentrations. After fermentation, the ammonia, $H_2S$, L-tryptophan, skatole, and microflora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L-tryptophan was the principle additive increasing skatole production, with significant correlation (r = 0.9992). L-tryptophan had no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mmonia, $H_2S$, or skatole in animals fed Bs. In both groups, fructan was the principle additive that reduced $H_2S$ production (r = 0.9981). Fructan and Bs significantly interacted in $H_2S$ production (p = 0.014). Casein was the principle additive affecting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only in the control group. Casein and Bs significantly interacted in ammonia production (p = 0.039). The predominant bacteria were Bacillus spp. CWBI B1434 (26%) in the control group, and Streptococcus alactolyticus AF201899 (36%)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summary, daily dietary Bs reduced ammonia production during fecal fermentation. Lessening L-tryptophan and increasing fructan in the fermentation broth reduced skatole and $H_2S$.

부유 상태와 바이오필름 상태에서 Mutans streptococci의 Erythrosine에 대한 감수성 평가 (Suscepti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in the Planktonic and Biofilm State to Erythrosine)

  • 공정은;서현우;이시영;박호원;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5-13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유 및 바이오필름 상태의 Mutans streptococci에서 치태와 치석 착색제로 치과 진료실에서 사용하는 식용색소인 에리스로신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세균은 호기성 조건에 배양하였고, 에리스로신은 $0.02-10000{\mu}g/L$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부유 상태 S. mutans의 최소 억제 농도(MIC)와 최소 살균 농도(MBC)를 측정하였다. 세균을 배양하여 바이오필름을 형성한 후, 최소 바이오필름 억제 농도(MBIC) 및 최소 바이오필름 박멸 농도(MBEC)를 측정하였다. MIC와 MBC는 $19.5{\mu}g/L$로 동일하게 측정되었으며 따라서 에리스로신은 부유 상태의 S. mutans에 대해 살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BIC, MBEC 값은 각각 $313{\mu}g/L$, $2500{\mu}g/L$로 측정되었다. 측정된 MIC, MBC, MBIC는 실제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농도에 비해 낮은 값이며 따라서 인체에 무해한 농도에서 S. mutans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금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생리적 특성 및 급여효과

  • 김상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64-84
    • /
    • 2002
  • 본 연구는 가금맹장에서 유래된 유산균의 생균제적 가치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I에서는 가금 맹장 유산균의 특성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및 육계 맹장 유산균을 각각 12주와 11주를 분리하여 내산성, 내담즙산성, 효소분비력, 항병원성 및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PH 3부터 점차적으로 사멸하는 균주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균주로 구분되었으며, PH 4에서 모든 유산균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본 실험에서 분리된 대부분의 유산균은 bile salt에 의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몇몇 균주는 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선발된 맹장유산균과 다른 균주와 비교하였는데, 가금 맹장유래 유산균은 다른 유산균과 Bacillus에 비하여 효소분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별 분비능력에서 amylase와 lipase 활성은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cellu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병성 조사에서 유산균 배양액은 균종에 관계없이 병원성 E. coli에 대하여 억제성이 높았으며 억제요인으로는 유기산 분비에 의한 pH 저하가 주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병원성 Salmonella에 대해서는 유산균 배양액의 억제성이 낮았다. 유산균은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 의하여 생존율은 저하되었지만 이외의 다른 항생제는 유산균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 본 실험에서 선발된 유산균은 각각 target animal에 급여하여 host specific effect를 구명하기 위하여 사양실험을 실행하였다. 시험II는 유산균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성, 장내미생물, 계사내 환경, 혈청 콜레스테롤, 응모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육계에 대한 유산균의 적정 급여수준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육계 초생추에 육계ㆍ산란계의 맹장에서 유래한 Lactobacillus crispatus avibrol(LCB), L. reuteri avibro2(LRB) L. crispatus avihen1(LCH), L. vaginalis avihen2(LVH) 각각을 사료 g당 $10^4$/cfu 및 $10^{7}$ cfu의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유산균의 급여에 의한 육계의 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체량은 50~100g이 높았다.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대조구와 모든 유산균 급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건물소화율은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 Ca 이용율도 유산균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산균 급여구에서 조지방, 조회분 소화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인의 이용율은 처리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유산균 종류별 영양소 이용율은 LCH 급여구가 모든 일반성분 및 Ca, p의 이용율이 가장 높았다(P〈0.05). 회장내 유산균 수는 시험 전기간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P〈0.05), 맹장에서는 5주령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Yeast는 회장에서 1주령까지는 장내에 완전히 정착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맹장 및 3주령 이후의 회장에서는 대부분의 유산균 급여구에서 Yeast의 수가 증가하였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