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theasterly and Southwesterly Wind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풍향에 따른 2009년 부산지역 강수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Precipitation in Related to Wind Direction in Busan, Korea, 2009)

  • 정운선;박성화;이동인;강덕두;김동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4-114
    • /
    • 2014
  • 주풍에 따른 강수의 산성도, 전기전도도, 이온 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부산지역 강수를 분석하였다. 부산지역에서는 남서풍과 북동풍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주풍이 서풍인 경우, 강수의 산성도는 약 pH 7로 중성으로 나타났으나 전기전도도는 약 200 ${\mu}scm^{-1}$로 다른 풍향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 강수에 이온성분이 많이 함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양이온 $K^+$와 음이온 $Cl^-$가 다른 이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북풍과 남서풍이 불 때 다른 풍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농도로 나타났다. 산성비의 주 원인물질인 $NO{_3}^-/SO{_4}^{2-}$의 구성비는 북풍에서 3 이상으로 월등히 높은 값이 나타났다. 다른 풍향에 비해 북동풍, 동풍, 남서풍, 서풍에서의 $K^+$의 중화기여도는 전체적으로 1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산성이온을 중화시키는데 있어서 알카리성 이온인 $K^+$의 중화기여도가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해염입자는 북풍, 북동풍, 남서풍에서 800 ${\mu}sm^{-3}$ 이상으로 다른 풍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을 나타내었다. 역궤적 분석 결과, 북풍, 서풍, 북서풍계열에서는 봄, 가을, 겨울철에 만주, 내몽골 고원, 중국, 러시아 지역으로부터 공기덩어리의 이동을 볼 수 있었다. 반면, 동풍, 북동풍, 남서풍계열에서는 여름철에 해양으로부터 공기덩어리의 이동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부산지역의 강수중 산성도, 전기전도도, 이온 성분 농도는 내륙과 연안해역의 특성을 가진 주풍에 의한 변동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igh-Resolution Flow Simulations Around a Steep Mountainous Island in Korea Using a CFD Model with One-way Nested Grid System

  • Mun, Da-Som;Kim, Jae-Ji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7-571
    • /
    • 2020
  • High-resolution flows around a steep mountainous island (Ulleungdo) in Korea were simulated by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To cover entire Ulleungdo and to resolve the topography around the Ulleungdo automatic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with high resolution, one-way nested grid system with large (60 m), and small (20 m) grid sizes was applied in the CFD model simulations. We conducted the numerical simulations for 16 inflow directions, and, for each inflow direction, we considered six different wind velocities(5, 10, 15, 20, 25, and 30 m s-1) at the reference height (1,000 m). The effects of topography on surface wind observations were well reflected in the observed wind roses for the period of January 01, 2012 ~ December 31, 2016 at the Ulleungdo ASOS and marine buoy. Wind roses at the Ulleungdo ASOS was reproduced based on the CFD simulations. The changes in surface winds at the Ulleungdo ASOS caused by surrounding topography were relatively well simulated by the CFD model. The simulated wind-rose indicated that south-southwesterly and northeasterly were the dominant wind directions, which were also observed at the Ulleungdo ASOS. We investigated the flow characteristics around the Ulleungdo ASOS for northwesterly, south-southwesterly, and northeasterly winds in detail.

GIS와 CFD 모델을 활용한 건설 현장 방풍벽 설치가 비산 먼지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Wind Fence on the Dispersion of the Particles Emitted from the Construction Site Using GIS and a CFD Model)

  • 김동주;왕장운;박수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63-77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자료와 전산유체역학(CFD) 모델을 사용하여 방풍벽이 건물 밀집 지역에 위치한 공사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부산 ASOS에서 10년 동안 관측된 풍속을 평균하여 기준 고도(지상 10 m)에서의 유입류로 사용하였다. 수치 실험은 방풍벽 건설 전과 5 m 및 10 m 높이의 방풍벽을 건설한 후에 대해 16 방위 풍향을 유입류로 진행하였고, 부산 ASOS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낸 북동풍과 남남서풍에 대한 상세 흐름을 분석하였다. 북동풍에서는 북동쪽에서 불어오는 흐름에 의해 비산 먼지가 확산되어 공사 지역 내부에 위치한 감천초등학교에서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5 m 높이의 방풍벽을 설치했을 때는 방풍벽 설치 전에 비해 풍속이 조금 감소했고 비산 먼지의 확산이 줄었다. 10 m 높이의 방풍벽을 설치한 경우, 초등학교에서의 평균 대기오염물질 농도는 37% 감소하였다. 남남서풍 유입류에서는 지형과 건물의 영향으로 공사 지역에서 복잡한 흐름 패턴이 형성되었다. 남쪽 공사 지역에서는 비산 먼지가 정체되어 농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는 북풍의 흐름에 의해 대기오염물질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방풍벽 건설 후에는 공사 지역 내부에서 풍속이 감소하면서 공사장 내부 농도는 높아졌지만, 초등학교에서의 농도는 감소했다.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ar-Surface Circulation in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Obtained from Satellite-Tracked Drifters

  • Park, Gill-Yong;Oh, Im-Sang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2호
    • /
    • pp.89-102
    • /
    • 2007
  • The surface circulation of northern South China Sea (hereafter SCS) for the period 1987-2005 was studied using the data of more than 500 satellite-tracked drifters and wind data from QuikSCAT. The mean flow directions in the northern SCS except the Luzon Strait (here after LS) during the periods October_March was southwestward, and $April{\sim}September$ northeastward. A strong northwestward intrusion of the Kuroshio through the LS appears during the $October{\sim}March$ period of northeasterly wind, but the intrusion became weak between April and September. When the strong intrusion occurred, the eddy kinetic energy (EKE) in the LS was $388cm^2/s^2$ which was almost 2 times higher than that during the weak-intrusion season. The volume transport of the Kuroshio in the east of the Philippines shows an inverse relationship to that of the LS. There is a six-month phase shift between the two seasonal phenomena. The volume transport in the east of the Philippines shows its peak sis-month earlier faster than that of the LS. The strong Kuroshio intrusion is found to be also related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wind stress curl generated by the north easterly wind. The negative wind stress curl in the northern part of LS induces an anticyclonic flow, while the positive wind stress curl in the southern part of LS induces a cyclonic flow. The northwestward Kuroshio intrusion in the northern part of LS happened with larger negative wind stress curl, while the westward intrusion along $20.5^{\circ}N$ in the center of the LS occurred with weaker negative wind stress curl.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in the Sea near Naro-Do

  • Lee, Dong-Kyu;Kang, Yoon-Hya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03-314
    • /
    • 2003
  • The initia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ing in the South Sea of Korea occurs in the sea near Naro-Do in late August.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s of this annual occurrence with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presented. In early summer, the winds in the sea near Naro-Do are southwesterly and the upwelling occurs in the near-shore area. The favorable winds to the upwelling are relaxed in August and the downwelling favorable northeasterly winds set in around late August.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causes the onshore transport of warm-and-fresh off-shore water into the sea near Naro-Do and a front between near-shore water and off·shore water is formed. Along the front, downwelling occurs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diatom become unfavorable. When the typhoon and storm bring well-mixed East China Sea water into the sea near Naro-Do in September, the conditions for the dinoflagellates become unfavorable and blooming of C. polykrikoides disappears.

수치모델을 이용한 홀로세 중기의 아시아 몬순순환 변화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f the Asian Monsoon for the Mid-Holocene Using a Numerical Model)

  • 김성중;이방용;박유민;석봉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289-297
    • /
    • 2005
  • The change in global climate and Asian monsoon patterns during the mid-Holocene, 6000 years before present (6 ka), is simulated by a climate model at spectral truncations of T170 with 18 vertical layers, corresponding to grid-cell sizes of roughly 75km. The present simulation is forced with the observed monthly data of sea surface temperatures, and the specified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carbon dioxide, while in the mid-Holocene experiment, orbital parameters such as obliquity, precession, and eccentricity are changed to the 6ka conditions. Under such conditions, the precipitation associated with the summer monsoon is enhanced over a wider zonal band from the Middle East to Southeast Asia, while no significant alteration takes Place in winter. The monsoonal wind also increases over the Arabian Sea, showing the enhanced southwesterly wind during summer and northeasterly wind during winter. Overall, the showing of the Asian monsoon is enhanced during the mid-Holocene, especially in summ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proxy estimates and other previous model simulations.

해양기상 관측자료를 이용한 서해 중부해역 해무 분석 (Analysis of a Sea Fog Using Ocean-air Observation Data in the Mid-Yellow Sea off Korea)

  • 오희진;이호만;서태건;윤용훈;김태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3-314
    • /
    • 2003
  • 2002년 7월 8일에서 10일까지 AWS와 CTD를 이용하여 서해 중부 연안역에서 해양기상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심이 낮은 태안반도 연안역에서 17$^{\circ}C$ 이하의 냉수가 출현하였고, 36$^{\circ}$20'N와 36$^{\circ}$30'N 사이에 정선을 따라 조석전선이 형성되었다. 기온의 분포는 수온의 분포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덕적도 주변(Al)에서 24시간 연속관측결과, 조류와 같은 주기로 북동부로부터 고온저염수와 남서부로부터 저온고염수의 이동이 관측되었다. 관측기간 중에 7월 8일 23시에서 9일 1시 30분까지, 9일 3시에서 5시까지 해무가 발생하였다. 해무발생 시 북태평양 고기압이 약해지면서 기온은 18$^{\circ}C$까지 하강하였고, 바람은 2-4m/s의 북동풍이 불었다. 위성사진을 분석하였을 때, 이 안개는 표층수온이 높은 황해서부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관측해역으로 확장된 증기안개이다. 이 해무는 기온과 풍속이 상승하면서 소멸되었다.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접근 진단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a Diagnostic Index on the Approach of Typhoon Affecting Korean Peninsula)

  • 최기선;김태룡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47-359
    • /
    • 2011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향 태풍을 먼저 분류하고, 이후 경유하게 될 가능성을 진단하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영향 태풍의 접근 진단 지수는 여름철에 북서태평양 고기압의 서쪽 가장자리의 발달강도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우리나라 영향 태풍의 빈도와 남북류 (500-hPa)의 강도사이의 상관관계에서 나타나는 양의 최대 상관지역(우리나라 부근)과 음의 최대 상관지역(일본 남동쪽 해상)간의 남북류의 속도 차이로 계산된다. 우리나라 영향 태풍 진단 지수로 추출된 우리나라 영향 태풍의 저빈도 해에는,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의 중심이 우리나라 북서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로부터 중국 동해안과 남중국해까지 북동류의 성분이 강화되고, 태풍은 이에 따라 필리핀 동쪽해상으로부터 중국 동해안 및 중국내륙 쪽으로 서편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고빈도 해에는 고기압성 순환 아노말리의 중심이 일본 동쪽 해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동중국해 및 우리나라, 일본에서 유도된 남서풍이 더 많은 태풍을 우리나라 영역으로 접근시켰다. 결과적으로 태풍의 북상 동안 역학모델로부터 실시간으로 예측된 500 hPa 남북류를 이용하여 이 지수를 산출하면 태풍의 우리나라 접근 가능성을 진단할 수 있음을 이 연구는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