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의 최저기온 분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Temperatures in Korea)

  • 설동일;민병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5-169
    • /
    • 1994
  • The minimum temperatures are important element in the daily human life, the climatic classific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the authors aim to make an analysi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temperatures of 95 weather stations in Korea by using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Korea VolumeI, VolumeII, and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North Korea.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aily, fifthly, and tenthly minimum temperatures show the highest rate of occurrance on 14th of January( Occurrance rate : 56.6% ), 16~20th of January( 37.6% ), and the middle ten days of January( 82.1% ) respectively. 2)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inimum temperatures in winter, the value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 coastal region are low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And, bigger cities and industrial area( Seoul, Incheon, Daejeon, Daegu, etc. ) have larger values than the its vicinities. 3) When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s $0^{\circ}C$ and less, the day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s coastal region are high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 PDF

경기북부지역 정밀 수치기후도 제작 및 활용 - II. 콩 생육모형 결합에 의한 재배적지 탐색 (Development and Use of Digital Climate Models in Northern Gyunggi Province - II. Site-specific Performance Evaluation of Soybean Cultivars by DCM-based Growth Simulation)

  • 김성기;박중수;이영수;서희철;김광수;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9
    • /
    • 2004
  • A long-term growth simulation was performed at 99 land units in Yeoncheon county to test the potential adap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soybean cultivars. The land units for soybean cultivation(CZU), each represented by a geographically referenced land patch, were selected based on land use, soil characteristics, and minimum arable land area. Monthly climatic normals for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precipitation, number of rain days and solar radiation were extracted for each CZU from digital climate models(DCM). The DCM grid cells falling within a same CZU were aggregated to make spatially explicit climatic normals relevant to the CZU. A daily weather dataset for 30 years was randomly generated from the monthly climatic normals of each CZU. Growth and development parameters of CROPGRO-soybean model suitable for 2 domestic soybean cultivars were derived from long-term field observations. Three foreign cultivars with well established parameters were also added to this study, representing maturity groups 3, 4, and 5. Each treatment was simulated with the randomly generated 30 years' daily weather data(from planting to physiological maturity) for 99 land units in Yeoncheon to simulate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to the inter-annual climate variation. The same model was run with input data from the Crop Experiment Station in Suwon to obtain a 30 year normal performance of each cultivar,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for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yield and maturity, and us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each land unit for growing a specific cultivar. A computer program(MAPSOY) was written to help utilize the results in a decision-making procedure for agrotechnology transfer. transfer.

우리나라의 기온상승-도시효과인가 지구온난화인가 (Urbanization Effect on the Observed Warming in Korea during the Recent Half Century)

  • 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8-63
    • /
    • 2002
  • 1951-1980 평년기온 대비 1971-2000 평년기온 상승을 남한지역 14개 관측소 소재 시군의 1966년 대비 1990년의 인구증가 자연대수값에 회귀시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식을 얻었다. 이 관계식을 이용하여 도시화에 따른 승온효과를 제거할 경우, 순수한 지구 온난화 효과는 12월부터 4월 사이의 한후기에만 인정되며, 나머지 계절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남한지역의 한후기 일평균기온은 지구온난화에 의해 최대 0.6$^{\circ}C$까지 상승하였으며 일최저기온보다 일최고기온 상승폭이 컸다. 도시화에 따른 승온효과는 최대 0.3$^{\circ}C$에서 0.5$^{\circ}C$로 연 중(4월 제외) 고르게 나타났지만, 주로 일최저기온의 상승을 주도하였고 일최고기온 상승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저시력 환자의 삶의 질과 일상에 영향을 주는 병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etiological factor influenced on daily life in low vision patient)

  • 서재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12-3417
    • /
    • 2009
  • 본 연구는 저시력 환자와 정상인의 삶의 만족도를 상호 객관적으로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다인성 저시력환자 20명과 그들의 나이와 유사하며 신체 건강한 정상인 20명을 대상으로 시기능설문지 NEI VFQ-25를 사용하여 구두로 평가하였다. 참가자 연령은 25세에서 78세까지 고루 분포하였으며 저시력 실험군의 평균값은 55.88$\pm$14.76이었으며 정상 대조군은 94.47$\pm$3.78로 나타났다. 저시력 실험군의 나이는 근거리 활동성과 가장 관련이 높았으며(r=-0.584) 그들의 시력은 주변시력과 관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527). 저시력 환자의 삶의 만족도는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안구진탕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겨울철 일평균 기온에 나타난 계절 추이와 변화 (The Change of Seasonal Trend Appeared in Wintertime Daily Mean Temperature of Seoul, Korea)

  • 박병익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2-167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서울의 1941~1970년(가 기간)과 1971~2000년(나 기간)의 일 평년 기온에 조화분석을 적용하여 계절 추이를 산출, 이의 변화 양상을 살피고, 계절 추이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의 가장 낮은 기온이 가 기간에는 1월초 중순에 나타났으나 나 기간에는 1월 하순~2월 초순에 나타나 계절 추이가 변화되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는 12월 27일~1월 20일(전기)의 기온이 보다 많이 상승한 반면 1월 21일~2월 9일(후기)의 기온이 보다 적게 상승하였기 때문에 나타났다. 가 기간의 일 평년값에 대한 전기와 후기의 기온 펀치는 1970년 이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1971년 이후에 차이가 컸다. 전기의 경우 시베리아 고기압이 근래에 뚜렷하게 약화되면서 우리나라 부근의 북풍이 약화되어 서울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 후기의 경우 시베리아 고기압이 근래에 약화되었으나 알류샨 저기압이 발달하여 우리나라 부근의 북풍은 크게 약화되지 않아 서울 기온이 많이 상승하지 않았다.

방사면역측정법에 의한 혈청 thyroxine결합글로부린 (TBG)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Evaluation of TBG Concentration Measured with Radioimmunoassay Kit)

  • 홍성운;강태웅;이진오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3-30
    • /
    • 1982
  • Serum thyroxine binding globulin (TBG) was measured with a radioimmunoassay (RIA) kit (GammaDab TBG). The TBG concentration in 23 adult normals was $23.7{\pm}1.9{\mu}g/ml(mean{\pm}SD)$. The serum TBG levels of $21.6{\pm}3.5{\mu}g/ml$) in hyperthyroidism, $24.7{\pm}4.9{\mu}g/ml$ in subacute thyroiditis, $20.7{\pm}7.0{\mu}g/ml$ in liver cirrhosis and $22.6{\pm}3.7{\mu}g/ml$ in sick pati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normals. The levels of $31.8{\pm}5.9{\mu}g/ml$ in hypothyroidism, $36.2{\pm}5.1{\mu}g/ml$ in pregnancy (p<0.01, p<0.001) and $29.3{\pm}6.1{\mu}g/ml$ in molar pregnancy (p<0.01) were significanty higher that in normals. In various cases without thyroid dieases (euthroid group), the TBG concentration correlated with the value for Amerlex $T_3$ (r=0.816) though there was curvilinear relationship. This relationship was altered in hyperthyroidism, subacute thyroiditis and molar pregnancy in which sera were overloaded with thyroxine $(T_4)$ so that concentration of unoccupied binding sites on TBG (free TBG concentration) were more decreased than expected from normal TBG concentrations. Hypothyroidism was also separated from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in euthyroid group indicating that free TBG concentrations were more increased relative to slightly increased TBG concentrations. Measurement of the TBG concentration was considered useful in the diagnosis of TBG defiency, in differentiating molar pregnancy from hyperthyroidism and for correct understanding the hormone binding in liver dieases and other nonthyroidal illness.

  • PDF

우리나라 1960년대 (1931~'60)와 2000년대 (1971~2000) 기후표를 이용한 벼 생육 및 재배기간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Rice Growth and Growth Period Using Climatic Tables of 1960s (1931~1960) and 2000s (1971~2000))

  • 이정택;심교문;방혜선;김명현;강기경;나영은;한민수;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18-1023
    • /
    • 2010
  •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기후자원량 변화와 기후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농업기후자원 요소 가운데 과거 30년 (1931~1960)과 최근 30년 (1971~2000)의 평년 기온을 중심으로 작기의 변화와 생육반응을 분석하였다. 과거 30년간의 이앙기조한은 지역별로 4월 28일에서 5월 23일 이었으나, 최근 30년은 4월 24일에서 5월 16일로 4~7일 빨라졌다. 그리고 과거 30년의 안전출수기만한은 지역별로 8월 22일에서 9월 12일인 반면에 최근 30년은 8월 22일에서 9월 15일로 약 3일 늦어졌다. 출수기별 등숙기온 분포는 과거 30년의 경우, 출수기가 7월 26일 때 등숙기 40일간의 평균기온은 $25{\sim}26^{\circ}C$ 전후였고 출수기가 10일 정도 늦어질수록 등숙기온은 $1{\sim}2^{\circ}C$정도 낮아졌다. 반면에, 최근 30년의 경우는 전체적인 경향은 비슷하였으나, 과거 30년에 비하여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A1B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겉보리 잠재생산성 변화 예측 (Assessing Impacts of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Based on A1B Climate Change Scenario on Potential Yield of Winter Covered Barley in Korea)

  • 심교문;이덕배;민성현;김건엽;정현철;이슬비;강기경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17-331
    • /
    • 2011
  • 보리 생육모형인 DSSAT의 CERES-Barley를 적용하여, 한반도 A1B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량을 평가하였다. 생육 모의 지역은 30년 평년의 기상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56개 지역으로 하였고, 생육 모의 연도는 기준연도(1971~2000년)와 3가지 미래 30년 평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온도효과 분석(온도 변화, $CO_2$ 농도 고정), $CO_2$효과 분석(온도 고정, $CO_2$ 농도 변화), 온난화효과 분석(온도 및 $CO_2$ 농도 변화) 등 3가지 생육모의 환경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성 영향을 평가하였다. CERES-Barly 모형은 국내 겉보리의 발육단계뿐 아니라 수량을 실제 관측값과 아주 유사하게 모의하여($R^2=0.84$), 기후변화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성 변화 예측에 활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생육 모의 조건별 결과를 나타내면, (1) 온도효과 분석에서, 미래의 온도상승이 상대적으로 낮은 2011~ 2040년 생육 모의 연도의 잠재수량은 기준년도와 비슷한 반면에, 온도상승 정도가 큰 2041~2070, 2071~2100년의 미래 기후조건에서는 잠재수량이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6, 20%씩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2) $CO_2$ 효과 분석에서, 3가지 미래 기후조건(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에서 겉보리의 평균 잠재수량이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12, 28, 43%씩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3) 온난화효과 분석에서, 미래 생육 모의 연도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 잠재수량은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13, 21, 19%씩 증가하였다.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전국 일 최고/최저기온 공간변이의 추정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 신만용;윤일진;서애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20
    • /
    • 1999
  • 농업을 비롯한 산업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 기상정보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영농활동에 있어서 의사지원시스템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작물 생장모형은 부단히 변화하는 대기환경에 대한 공간정보를 요구하기 때문에, 모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기상 관측밀도가 낮은 광범위한 작물 생육지역을 대상으로 일별 기상요소에 대한 공간분포를 추정해야 한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미관측 지점을 포함하는 우리 나라 전국을 대상으로 작물모형의 구동에 필요한 최소 기상요소들 중에서 일 최고 및 일 최저기온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고 그 추정 정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해 먼저 58개 지점의 23년간 실측 기온자료로부터 지형기후학적 방법에 의하여 격자단위의 월별 기온평년값을 추정하고, 조화해석법에 의하여 일별값으로 변환하였다. 66개 기상청 관측소에서 수집된 임의 날짜의 최고/최저기온값과 관측소 해당 격자점의 평년값간 편차를 구한 다음, 미관측 격자점을 포함하는 한반도 전역의 기온편차를 거리역산가중법에 의하여 내삽.추정하였다. 각 격자점의 최종적인 기온 추정값은 기온 평년값에 이 편차를 더함으로써 얻었다. 얻어진 온도 분포는 위성자료로부터 추정한 지표온도분포 양상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300여개의 자동기상관측 장비들로부터 수집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추정오차는 $1.5^{\circ}C$~2.5$^{\circ}C$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