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rigid Registr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영상보정 및 다단계 정합을 통한 전립선 MR 영상과 병리 영상간 융합 (Prostate MR and Pathology Image Fusion through Image Correction and Multi-stage Registration)

  • 정주립;조현희;홍헬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9호
    • /
    • pp.700-704
    • /
    • 2009
  • 본 논문은 영상보정 및 다단계 정합을 통한 전립선의 MR 영상과 병리 영상 간의 융합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보정, 강체 정합, 비강체 정합, 영상융합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영상보정 단계에서 T2 MR 강조 영상의 출혈 부위의 자기값을 T1 MR 강조 영상의 자기값으로 대체시키고, 2, 4장으로 분리된 병리 영상을 한장의 영상으로 만든 후 MR 영상과 동일한 해상도로 줄인다. 둘째, 전립선의 T2 MR 강조 영상과 병리 영상 간에 자기간의 상호정보를 최적화하는 강체변환을 구한다. 셋째, TPS 와핑을 이용하여 병리 영상의 전립선 부위가 T2 MR 강조 영상의 전립선 부위에 정합되는 비강체변환을 구한다. 넷째, MR 영상과 변환을 적용시킨 병리 영상을 융합한다. 실험 결과 영상보정 및 다단계 정합 후의 전립선의 T2 MR 강조 영상과 병리 영상의 간의 평균 거리 오차는 0.8815 mm였고, 두 영상의 융합을 통해 T2 MR 강조 영상에서 전립선 암의 위치를 정확하게 볼 수 있었다.

데몬 알고리즘을 이용한 호기-흡기 CT 영상 비강체 폐 정합 (Nonrigid Lung Registration between End-Exhale and End-Inhale CT Scans Using a Demon Algorithm)

  • 임예니;홍헬렌;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1호
    • /
    • pp.9-1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호기와 흡기에 촬영된 흉부 CT 영상간 폐 영상정합을 위해 데몬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강체 정합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두 영상에 어파인 변환을 적용하여 폐를 전역적으로 정렬한 후, 데몬 알고리즘에 기반한 비강체 정합 방법을 적용하여 지역적으로 변형시킨다. 데몬 힘의 계산을 위해 기준영상의 기울기 정보 뿐 아니라 부유영상의 기울기 정보를 함께 사용하여 기준영상의 기울기가 약한 부분에서 빠른 수렴을 돕는다. 활성-셀 기반 데몬 알고리즘은 두 영상 간 정합도가 높은 셀에서의 불필요한 변위 계산을 방지함으로써 정합 과정을 가속화시키고 변형 접힘 현상의 확률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제안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기준 기울기 힘을 사용한 방법과 부유 기울기 힘을 함께 사용한 방법을 비교하고, 활성-셀을 사용한 방법과 사용하지 않은 방법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 방법이 변형이 큰 폐를 정확하게 정합하며 수행시간을 감소시킴을 보여준다.

KOMPSAT-2 영상과 TerraSAR-X 영상 간 자동기하보정 (Automatic Registration Between KOMPSAT-2 and TerraSAR-X Images)

  • 한유경;변영기;채태병;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67-675
    • /
    • 2011
  • 본 논문은 이종센서자료인 고해상도 KOMPSAT-2 영상과 TerraSAR-X 영상 간 자동기하보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영상간의 x, y 방향의 초기 변위량을 MI(Mutual Information) 기법을 통해 계산한 후, 계산된 위치만큼 TerraSAR-X 영상을 이동시켜서 두 영상 간 초기 위치 차이를 최소화하였다. 초기 위치 차이가 최소화된 두 영상에서 선형정보를 추출하여 이들 간의 유사도를 판단, 매칭쌍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상 전반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매칭쌍을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 전역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의 격자망을 구성하여, 각 격자망에서 하나의 매칭쌍만을 추출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매칭쌍을 이용하여 선형(rigid)과 비선형(nonrigid)의 변환식이 결합된 모델을 통해 기하보정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고, 실험 결과 모든 대상지역에서 5m 이내의 RMSE 값을 도출하였다.

Technical Feasibility of Quantitative Measurement of Various Degrees of Small Bowel Motility Using C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Ji Young Choi;Jihye Yun;Subin Heo;Dong Wook Kim;Sang Hyun Choi;Jiyoung Yoon;Kyuwon Kim;Kee Wook Jung;Seung-Jae Myu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1호
    • /
    • pp.1093-1101
    • /
    • 2023
  • Objective: Cin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has emerged as a noninvasive method to quantitatively assess bowel motility. However, its accuracy in measuring various degrees of small bowel motility has not been extensively evaluated. We aimed to draw a quantitative small bowel motility score from cine MRI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in a population with varying degrees of small bowel motilit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74 participants (28.5 ± 7.6 years; 135 males) underwent a 22-second-long cine MRI sequence (2-dimensional balanced turbo-field echo; 0.5 seconds per image) approximately 5 minutes after being intravenously administered 10 mg of scopolamine-N-butyl bromide to deliberately create diverse degrees of small bowel motility. In a manually segmented area of the small bowel, motility was automatically quantified using a nonrigid registration and calculated as a quantitative motility score. The mean value (MV) of motility grades visually assessed by two radiologists was used as a reference standard. The quantitative motility score's correlation (Spearman's ρ) with the reference standard and performanc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UROC],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diagnosing adynamic small bowel (MV of 1) were evaluated. Results: For the MV of the quantitative motility scores at grades 1, 1.5, 2, 2.5, and 3,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values were 0.019 ± 0.003, 0.027 ± 0.010, 0.033 ± 0.008, 0.032 ± 0.009, and 0.043 ± 0.013,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uantitative motility score and the MV (ρ = 0.531, P < 0.001). The AUROC value for diagnosing a MV of 1 (i.e., adynamic small bowel) was 0.953 (95% confidence interval, 0.923-0.984). Moreover, the optimal cutoff for the quantitative motility score was 0.024, with a sensitivity of 100% (15/15) and specificity of 89.9% (143/159). Conclusion: The quantitative motility score calculated from a cine MRI enables diagnosis of an adynamic small bowel, and potentially discerns various degrees of bowel mo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