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lar solvents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 인삼 성분들에 관한 생화학적 연구 (1) 인삼 성분들이 아미노아실-tRNA합성 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Biochemical Studio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I) Effects of Components of Ginseng on the Activity of Aminoacyl-tRNA Synthetase)

  • 장세희;박인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19-24
    • /
    • 1976
  • 인삼의 메탄을 추출물을 몇 가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여러 분획으로 나누어서 이 분획들이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삼과 홍삼에 모두 아미노아실-합성효소의 활동성에 양성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분획을 얻었다. 백삼의 경우에는 전체 메탄을 추출물에 그 성분이 있으며, 홍삼의 경우에는 메탄 올 추출물을 에테르로 추출한 분획에 그 성분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 효소에 양성적인 효과를 미치는 성분은 다소 무극성인 물질일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생강중 게르마늄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Germanium Components of Zingiberis Rhizoma)

  • 백남호;박만기;최승호;문동철
    • 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93-197
    • /
    • 1981
  • Germanium (Ge) content in Zingiberis Rhizoma was determined by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with a graphite tube atomizer. The Ge content of the cortical layer was 65.mu.g/g, the central cylinder, $98\mu$g/g and the total, $87\mu$g/g. In the effect of the extraction of Ge by various solvents, polar solv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nonpolar one, Especially, water was the most effective solvent. The water extract of Zingiberis Rhizoma, separated by sephadex G-25 gel filtration, was fractionated into 2 peaks at 254nm. Both the peaks showed atomic absorptions of Ge.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Ge components of Zingiberis Rbizoma exist as the form of an aqueous organic compounds or associated forms with proteins.

  • PDF

Photodimerization of 5,7-Dimethoxycoumarin

  • Shim, Sang Chul;Jeong, Bong Mo;Paik Young He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3권6호
    • /
    • pp.684-688
    • /
    • 1992
  • Three photocyclodimers of 5,7-dimethoxycoumarin (DMC)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photolysis of DMC in acetonitrile. The configuration of the dimers was found to be anti head-to-head, syn head-to-head and syn head-to-tail, respectively. The number and the ratio of the products are solvent dependent. The anti head-to-head dimer is favored in nonpolar solvents and the preference decreases as the solvent polarity increases giving almost 100${\%}$ syn dimers and less than 1${\%}$ anti dimer from methanol solution. The overall yields of dimers also increase with the solvent polarity. From sensitization and quenching experiments, anti dimer was found to be formed via excited singlet state while syn dimers were formed via both excited singlet and triplet states.

Solvent Dependence of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a of Piroxicam. A Possible Intramolecular Proton Transfer in the Excited State

  • Yoon, Min-Joong;Choi, Hyong-Nae;Kwon, Hwang-Won;Park, Koon-H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9권3호
    • /
    • pp.171-175
    • /
    • 1988
  • The spectral properties of piroxicam in different solvents are similar to those of its skeletal precursor, HMBDC. The maximum absorption and emission wavelengths strongly depend on the hydrogen bonding ability of the solvent, and it is shown that intramolecular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OH and the ortho carbonyl group of the parent benzothiazine r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olvent-dependence of their spectroscopic properties. The fluorescence spectra in aprotic nonpolar solvent exhibit abnormally large Stokes-shifted (${\sim}9,000cm^{-1}$) emission bands in contrast to the spectra in water. In ethanol, dual emission bands with two different fractional components of lifetimes have been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normally red-shifted emission is attributed to the proton transferred form of an intramolecularly hydrogen-bonded closed conformer.

활성탄관에 포집된 극성유기용제의 탈착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orption Efficiency for Polar Solvents Collected on Charcoal Tube)

  • 김경란;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4-118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factors affecting desorption of organic solvents collected on charcoal tube and to find out the optimum condition. Desorption efficiency for polar analytes was improved when several polar desorption solvents such as methanol, dimethylformamide(DMF), 2-(2-butoxyethoxy)ethanol were added to carbon disulfide($CS_2$). The best improvement was achieved when 10% dimethylformamide(DMF) in $CS_2$ was used as desorption solvent. During storage of polar analytes, recovery was greatly reduced. Especially, the recovery of cyclohexanone was decreased to 18.1 % after a month storage at $34^{\circ}C$. After two weeks storage, recovery of polar analytes was sharply decreased. Water adsorbed on charcoal interfered the recovery of polar analytes but didn't interfere that one of nonpolar solvent, toluene. When 10% DMF in $CS_2$ was used as desorption solvent, the effect of water on recovery was decreased, comparing with Desorption efficiency increased when analyte loading increased, and usage of 10% DMF in $CS_2$ decreased the loading effect. Increasing volume of desorption solvent was not effective to improve desorption efficiency of analytes when 10% DMF was used. Continuous shaking and sonication is not helpful to increase the desorption efficiency of analytes except cyclohexanone using 10% DMF. When silica gel used as adsorbent, methanol was better desorbent than dimethylsulfoxide. Analytes adsorbed on silica gel showed high recovery in low concentration and less affected by humidity.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drawn. To improve the recovery of polar organic materials in air samples, it is necessary to analyze samples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y were collected. Otherwise, samples must be stored at low temperature. Using two components of desorption solvents, such as 10% DMF in $CS_2$, the effects of loading and humidity decreased for polar analyte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When work place has high humidity with low concentration of polar organic solvents, silica gel can be used as adsorbent, because it produces quantitative recovery for polar analytes at this condition. But it should be noted that high humidity makes breakthrough easy in silica gel samples.

  • PDF

有機할로겐化合物과 金屬과의 反應 (第 3 報) 有機클로로酸 및 에스터와 各種金屬과의 反應生成物 및 反應系中의 金屬分布에 關하여 (Reaction of Organic Halogen Compounds with metals (Part III) Metal Distribution in the Reaction Products and System of a Reaction between Organo Chloro Acid or Ester and Metals under Various Solvents)

  • 김유선
    • 대한화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5
    • /
    • 1965
  • 有機클로로酸, 또는 에스타와 各種金屬(亞鉛, 硅素, 마그네슘, 錫)과의 여러 溶媒存在下(아세트나이트라일, 디옥센 및 토루엔)의 反應에서 얻은 反應生成物, 또는 反應系中의 金屬分布狀態를 (n,${\gamma}$)反應으로 製造한 各種放射性 金屬트레이서를 使用하여 決定하였다. 有機클로로 金屬 콤푸렉스의 溶解度는 親水性溶媒에서는 顯著하게 增加하였으며, 無極性溶媒에는 減少하였다. 이 事實은 回收된 金屬, 또는 回收된 金屬混合物의 水洗液中의 金屬分布狀態의 增加로서 確認되었다. 카보닐化合物 存在下에서 反應시켰 때에도 같은 事實을 나타내었다. 親水性溶媒中의 金屬콤푸렉스의 溶解度는 亞鉛, 硅素, 錫 및 마그네슘이 順序로 減少되었으며 無極性溶媒下에서는 硅素, 錫, 마그네슘 및 亞鉛의 順으로 減少되었다. 有機할로겐化合物과 金屬과의 反應生成物로 普通 豫期되는 有機金屬化合物은 全反應을 通하여 거의 없었다. 反應結果를 論議하였으며, 本反應過程에서 觀察한 溶媒의 影響에 關하여 論及하였다.

  • PDF

벤즈아닐리드류의 광화학 (제2보). 벤즈아닐리드류의 Photo-Fries 형 반응 (Photochemistry of Benzanilides (II). Photo-Fries Type Reaction of Benzanilides)

  • 박용태;윤한춘;도상록;김영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1-447
    • /
    • 1985
  • 몇가지 벤즈아닐리드 유도체를 합성하여 광반응될 때 생성물의 구조를 밝혔으며,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치환된 아닐린에 benzoyl chloride 유도체를 넣어 아실화하여 benzanilide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N, N-dibenzoylaniline 유도체는 뜨거운 benzoyl chloride 유도체에 아닐린을 소량씩 가하여 얻었다. 2-chlorobenzanilide와는 달리 2-methylbenzanilide나 2'-methylbenzanilide는 photo-Fries형 생성물을 주었다. 2-위치에 니트로기가 도입된 benzanilide는 광반응을 하지 않았다. 들뜬 상태가 광반응을 할만큰 충분한 에너지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N, N-dibenzoylaniline이나 N, N-di-(2-chlorobenzoyl) aniline의 광반응으로 부터 쉽게 photo-Fries형 반응을 할때 단일선 상태가 상관하는것 같다. 왜냐하면 산소가 반응에 아무런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극성이 작은, 또 점성이 낮은 용매에서 양자수득률이 좋았다. 단일 들뜬상태에서 카르보닐탄소와 질소사이 결합이 끊어져 용매 바구니라디칼 쌍이 되었다가 반전되어 재결합하면 생성물이 된다고 생각된다.

  • PDF

Monascus anka로부터 황색소 생성 변이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ellow-pigment producing mutants of Monascus anka.)

  • 이호재;이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5
    • /
    • 2002
  • 천연 황색소 생산을 위하여 Monascus anka Nakazawa et Sato IFO 4478(KCCM l1832 strain) 균주를 모균주로 하여 UV 조사 및 NT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처리 및 이들 방법을 병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모균주와는 색소생성 특성이 다르게 황색소를 단일성분으로 생성하는 변이주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leucine, cystei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와 asparagine 등 5종의 아미노산에 대한 영양요구주를 분리하였고 이중 asparagine 영양요구주 Y7은 colony 형태와 균사의 직경에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전형적인 Monascus 균주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특히 유성생식에 의한 번식 특성이 강하여 색소 생성에 유리한 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Y7은 밝은 색조의 황색소를 단일 성분으로 생성하며 10대 이상의 계대배양에서도 색소 생성 특성이 안정하였고 색소 생성량이 모균주보다 약 2.2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때 생성된 황색소는 373 nm에서 단일 흡수 peak를 나타내고 물, 에탄올 등 극성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특성을 나타내며 생성된 색소의 대부분이 균체 밖으로 배출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로진-말레산 부가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폴리아미드이미드의 합성시 용제의 효과 (The Effect of Solvents on the Synthesis of Polyamideimides from Rosin-Maleic Anhydride Adduct and Diisocyanate)

  • 김점식;최병오;최형기
    • 공업화학
    • /
    • 제1권1호
    • /
    • pp.73-82
    • /
    • 1990
  • 로진과 말레산무수물로부터 rosin-maleic anhydride adduct (RMA)를 합성하고 이를 방향족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서 폴리아미드이미드를 합성하였다. 반응촉매로는 Sodium methoxide ($CH_3ONa$)를 사용하였고 반응용제로는 N-메틸-2-피롤리돈 (이하 NMP)을 사용하였다. NMP는 방향족디이소시아네이트와 부반응을 하기 때문에 중합체의 수율과 점성도가 낮았다. 부반응을 줄이기 위하여 NMP에 방향족용제인 크실렌, 아세토페논, 벤조니트릴 및 니트로벤젠을 공용제로 혼합, 사용하였다. 극성이 비교적 작은 공용제의 혼합시 공용제 혼합비율이 60%인 경우 약 70%정도, 극성이 비교적 큰 공용제의 혼합계에서는 혼합비율이 40%인 경우 90% 이상의 수율로서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중합체는 무정형이거나 약간의 결정성을 갖는 구조였으며 고극성용제에서만 용해하였다. 중합체의 점성도는 0.12-0.26dl/g의 범위였다. 열분석 결과 중합체의 초기분해온도는 $330^{\circ}C$ 이상으로서 양호한 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 PDF

다양한 용매를 이용한 대두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 Extracts by using Various Solvents)

  • 김지영;맹영선;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35-639
    • /
    • 1995
  • 본 연구는 대두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두로부터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을 사용하여 $30^{\circ}C$에서 상온 추출 및 $85^{\circ}C$에서 환류추출을 행하여 추출된 각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대두유 산화시 과산화물가와 난황레시틴 리포좀 산화시 형성된 TBARS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추출물을 대두유에 첨가시켜 항산화효과를 관찰한 경우 날대두 용매 추출물이 탈지대두 용매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 나며, 볶은 과정을 거친 대두군에서는 탈지대두군이 항산화효과가 높았다. 상온추출물보다는 환류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대두유 산화뿐만 아니라 난황레시틴 현탁액의 관산화 반응에서도 역시 동일하였다. 여러가지 용매에 의한 추출물중에서 가장 큰 항산화효과를 나타낸 것은 볶은 탈지대두의 메탄올 추출물이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전반적으로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성분의 추출에 가장 좋은 용매로 생각되었으나, 추출물의 난황레시틴 리포좀의 과산화 억제 정도는 메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의 경우가 더 효과가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