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centrosymmetric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Synthesis and Crystal Structure of a New Quaternary Chalcoantimonide: KLa2Sb3S9 and KSm2Sb3Se8

  • Kim, Sung-Jin;Park, Sun-Ju;Yim, Sun-A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5권4호
    • /
    • pp.485-490
    • /
    • 2004
  • Silver-needle shaped crystals of $KLa_2Sb_3S_9$ from $K_2S_x$ flux and $KSm_2Sb_3Se_8$ from NaCl/KCl flux reactions were obtained and their crystal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the single crystal X-ray diffraction method. $KLa_2Sb_3S_9$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noncentrosymmetric space group $P2_12_12_1$ (No.19) with a unit cell of a = 4.220(3) ${\AA}$, b = 24.145(2) ${\AA}$, c = 14.757(5) ${\AA}$ and Z = 4. $KSm_2Sb_3Se_8$ crystallizes in the orthorhombic space group Pnma (No.62) with a unit cell of a = 16.719(3) ${\AA}$, b = 4.1236(8) ${\AA}$, c = 22.151(4) ${\AA}$ and Z = 4. Both structures have three-dimensional tunnel frameworks filled with $K^+$ ions. $KSm_2Sb_3Se_8$ is an ordered version of $ALn_{1{\pm}X}B_i{4{\pm}X}S_8$, and it is made up of NaCl-type and $Gd_2S_3$-type fragments. $KLa_2Sb_3S_9$ also contains building fragments similar to those of $KSm_2Sb_3Se_8$, however, there are chalcogen-chalcogen bonds in the $Gd_2S_3$-type fragment. The formula of $KLa_2Sb_3S_9$ can be described as $(K^+ )(La^{3+})_2(Sb^{3+})^3(S^{2-})_7(S_2^{2-})$.

Multiferroic Property and Crystal Structural Transition of BiFeO3-SrTiO3 Ceramics

  • Kim, A-Young;Han, Seung-Ho;Kim, Jeong-Seog;Cheon, Chae-Il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07-311
    • /
    • 2011
  • Solid solutions of the (1-x)$BiFeO_3-xSrTiO_3$ ceramic system (x = 0~0.4) are explored here in attempts to obtain multiferroic properties in these systems. The polarization-electric field hysteresis, magnetization-magnetic field curves, and dielectric properties are also characterized. This solid-solution system shows a crystal structural transition from a noncentrosymmetric (R3c) structure to a centrosymmetric (Pm-3m) structure at 0.3 < x < 0.4. The solid solution ceramic shows unsaturated M-H behavior and low remanent magnetization over the composition region of 0.1 ${\leq}$ x ${\leq}$ 0.3. The $0.7BiFeO_3-0.3SrTiO_3$ system shows the largest value of $M_s$ at 0.17 emu/g and the smallest value of $H_c$ at 1.06 kOe. The P-E hysteresis curves were not saturated under an electric field as high as E = 70 kV/cm. This system is considered to have multiferroic characteristics in the composition range of 0.1 ${\leq}$ x ${\leq}$ 0.3.

$Eu^{3+}$ 이온의 발광성에 대한 구조와 성질의 기본적인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Eu^{3+}$ Luminescence)

  • Chang, Ki-Seog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0
    • /
    • 2002
  • M/sub 1-x/Na/sub 2x/Al₂(BO₃)₂O (M = Ca and Sr) 고용체계는 치환형과 틈새형 고용체를 동시에 갖는다. 이상의 고용체계 물질에 첨가된 발광원자의 에너지 전이는 발광원자, Eu 주위의 대칭성에 깊은 관계가 있다 Eu/sup 3+/ 이온의 경우, Eu/sup 3+/ 이온의 주변 대청성에 따라서 매우 밝고 효율적인 발광성 불순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와 연계한 연구가 가능하다. Eu/sup 3+/: Ca/sub 1-x/Na/sub 2x/Al₂(BO₃)₂O 고용체계의 Na원자 양이 증가함에 따라 Eu3+ 이온의 대칭성이 낮아진다. CaAl₂(BO₃)₂O 화합물은 Ca 원자 중심의 팔면체 구조를 갖기 때문에, 조성비 x의 증가와 함께, 화합물의 낮은 대청성에 의해서 Eu/sup 3+/:Ca/sub 1-x/Na/sub 2x/Al₂(BO₃)₂O 고용체계의 /sup 5/D/sub 0/→/sup 7/F₁(590 nm) 전이의 상대적인 세기가 감소한다. 그러한 또 다른 예는 비대칭성 물질인 Eu/sup 3+/:SrAl₂(BO₃)₂O 화합물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다.

펄스 corona 배향된 비선형광학 고분자박막의 제2 고조파발생 (Second harmonic generation of pulsed corona - poled nonlinear optical polymer films)

  • 김준수;이종하;이황운;김상열;원영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6-362
    • /
    • 2002
  • 비선형광학(NLO) 곁가지형 고분자계 N-(4-nitrophenul)-(L)-prolinol-poly (p-phenylene terephthalates)로 제작된 박막의 분자 배향거동을 제2 고조파발생(SHG)의 비선형광응답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새로운 펄스 corona 배향 방법으로 NLO 발색단과 고분자 줄기를 비중심대칭 구조로 배향시켜 SHG 신호를 발생시켰다. 유리전이온도 70$^{\circ}C$를 중심으로 25$^{\circ}C$에서 80$^{\circ}C$까지 온도영역에서 반복율을 0.5 ㎑에서 10 ㎑까지 변화시키면서 인가한 펄스 고압으로 corona 배향한 결과로 곁가지 발색단과 고분자 주사슬이 스스로 재 정렬하여 형성한 구역구조를 원자간력 현미경(AFM)으로 관측하였다. 펄스 corona 전압 인가로 NLO 발색단 배향도가 증가되고, 동시에 고분자박막의 가시적손상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SHG 신호가 증대되었으며 배향 후 이완거동도 개선되었다. 이 새로운 펄스 corona 배향 실험으로 NLO 발색단 및 고분자 주사슬이 배향과정에서 비등방으로 재배열하는 현상을 in situ로 입증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