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Small 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936건 처리시간 0.033초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 절제례의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Prognostic Factors in Resected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창수;천수봉;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73-981
    • /
    • 1998
  • 비소세포폐암의 술후 생존률의 향상을 위하여 1989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시행한 환자중에 술후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6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Kaplan-Meier 방법에 의해 5년 생존률을 구하고 임상 및 병리조직학적인자, 즉 연령, 성별, 수술방법, 조직학적 유형, T인자, 종양세포에 의한 혈관침습 유무, 그리고 전이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nm23 단백의 발현정도와 생존율과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 생존기간은 58$\pm$3개월이었고 5년 생존률은 58.9%였다. 종양에 의한 혈관침습이 있는 경우와 저분화성 편평세포폐암인 경우에 예후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고, T1이 T2에 비해 또 nm23 단백의 발현은 고도발현 군이 저도발현 군에 비해 각각 5년 생존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T인자, 혈관침습, 편평세포암종에서 분화도, 그리고 nm23 단백의 발현들 상호간에 연관성도 없었다. 제1병기 비소세포폐암의 술후 예후인자는 종양세포에 의한 혈관침습과 편평세포 폐암종에서 종양세포의 분화도로 나타났고, nm23 단백 발현정도의 예후인자로서 역할에 대해서는 nm23 단백 발현 정도와 타 장기로의 전이와의 상관성 등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혈장 DNA를 이용한 Microsatellite 분석 (Microsatellite Alterations of Plasma DNA in Non Small Cell Lung Cancer)

  • 김규식;김은정;김수옥;오인재;박창민;정주연;김유일;임성철;박종태;김영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4호
    • /
    • pp.352-358
    • /
    • 2005
  • 폐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방법으로써 MA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한 폐암 환자 9례(squamous cell carcinoma 6례, adenocarcinoma 2례, non-small cell lung cancer: 1례), 연령이 비슷한 비폐암 대조군 9례(AMC, 결핵: 3례, 비특이적 염증성 폐질환: 6례)와 40세 이하 정상인 12례(NC)를 대상으로, 이들의 말초혈액의 백혈구와 혈장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D21S1245, D3S1300, D3S1234 유전자좌의 MA를 분석하였다. 세가지 유전자좌 중 어느 한 유전자좌에서라도 MA가 관찰되면 MA가 있는 것으로 인정하였다. MA는 NC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0%(0/12), AMC에서는 88.9%(8/9)에서 관찰되었다. AMC와 NC 총 21례 중 흡연자에서 70%(7/10) 비흡연자에서 9.1%(1/11) MA가 관찰되었다(p<0.05). 폐암군과 AMC 총 18례 중 AMC에서 88.9%(8/9), 폐암군에서 66.7%(6/9)를 보여 양군간에 서로 차이 없이 모두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혈장 DNA의 MA는 40세 이하의 정상인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폐암 환자들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그러나 고령의 흡연자들인 비폐암 대조 군에서도 높은 빈도로 MA가 관찰되므로 폐암 조기진단의 지표로써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수의 한정된 대상을 이용한 결과로써 다양한 연령층과 흡연력 그리고 조직형에 따라 세분화된 더 큰 대상 군을 이용한 연구가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한방치료 후 Gefitinib(Iresa)복용으로 인한 부작용 호전된 비소세포폐암 환자 1례 (One Case Study of a Non 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Experiencing Gefitinib Adverse Effects Manag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박재우;전형준;조종관;이연월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6
    • /
    • 2012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ynergistic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ith Gefitinib chemotherapy on a non small cell lung cancer. Methods : A 61 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with left non small cell lung cancer stage IIIb (T2aN0M1a) was admitted to East-West Cancer Center (EWCC) on Apr. 2012. He received Gefitinib chemotherapy since 20th June. 2011. He suffered from many complication like as skin toxicities, peripheral neuropathy, lassitude, diarrhea and so on. He was treated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nsisted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symptoms were measured by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CTCAE version 3.0)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Performance status was measured by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Results : TKM consisting of acupuncture, moxibusion, herbal medicine significantly alleviated Gefitinib induced complication. Quality of lif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KM would beneficial to adverse effects such as skin toxicities, peripheral neuropathy, lassitude from gefitinib.

Poor Prognostic Factors in Surgically Resected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 Cho, Suk-Ki;Park, Tae-In;Lee, Eung-Bae;Son, Shin-Ah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2호
    • /
    • pp.101-109
    • /
    • 2012
  • Backgrou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pathology and molecular biology of lung cancer might improve our capability to predict the outcome for any individual pat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veral histopathologic and molecular markers in order to assess their prognostic value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en patients at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e study. Histopathologic factors and molecular markers were selected. Results: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T stage, differentiation, visceral pleural invasion, and survivin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Multivari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differentiation and survivin overexpression emerged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of recurrence. Conclusion: In resected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poor differentiation and survivin overexpression have been identifi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poor disease-free survival.

Lack of any Association between Blood Groups and Lung Cancer, Independent of Histology

  • Oguz, Arzu;Unal, Dilek;Tasdemir, Arzu;Karahan, Samet;Aykas, Fatma;Mutlu, Hasan;Cihan, Yasemin Benderli;Kanbay, Mehme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453-456
    • /
    • 2013
  • Introduction: Lung cancer, the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s, is divided into 2 main classes based on its biology, therapy and prognosis: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Many cases are at an advanced stage at diagnosis, which is a major obstacle to improving outcomes.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high risk group patients for early diagnosis and chance of cure. Blood group antigens are chemical components on erythrocyte membranes but they are also expressed on a variety of epithelial cells. Links between ABO blood groups with benign or malignant diseases, such as gastric and pancreas cancers, have been observed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any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lung cancer histological subtypes and ABO-Rh blood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The files of 307 pathologically confirmed lung cancer patient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ases with a serologically determined blood group and Rh factor were included and those with a history of another primary cancer were excluded, leaving a total of 221. The distribution of blood groups of the lung cancer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blood groups of healthy donors admitted to the Turkish Red Crescent Blood Service in our city in the year 2012.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lung cancer of either type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distribution of ABO blood groups and Rh factor (p: 0.073). There was also no relationship with non small cell cancer histological subtype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BO-Rhesus blood groups and NSCLC and SCLC group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analysis of ABO blood groups in SCLC patients.

새로 개정된 폐암 병기 판정에 따른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생존 분석 (Newly Revised Lung Cancer Staging System and Survival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김병철;문두섭;윤수미;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39-346
    • /
    • 1999
  • 배경: 비소세포폐암에서 비슷한 병기의 환자들도 생존 가망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환자에게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예측인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보다 정확하고 재현성이 있는 폐암 병기 판정이 환자의 치료와 예후에 가장 큰 영향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비소세포폐암의 병기 판정은 1986년 Mountain 이 표명한 T(primary tumor), N(regional lymph nodes), M(distant metastasis) 시스템과 이에 각각의 병기를 따르고 있는데 이후 같은 병기내에서도 서로 다른 예후를 보이고 보다 세분화된 병기의 구분점이 있어야겠다는 공론속에서 1996년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과 Union Internationale Contre le Cancer에 의해 새로 개정된 비소세포 폐암의 병기 판정 시스템이 천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새로운 병기판정에 따른 생존율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술전, 술후 환자의 예후에 대한 의의를 알아 보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법: 연구 방법은 1981년부터 1995년까지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환자중 술전에 방사선 또는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환자로서 치료적 목적으로 광범위 폐절제 및 림프절제술을 받은 환자중 사망여부의 추적이 가능한 총 8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술후 얻어진 조직학적 병기를 과거의 병기판정과 새로운 TNM 병기를 기준으로 이의 생존의 관찰치와 더불어 병리조직학적 특정과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결과: 환자의 median survival은 과거의 병기에 따른 결과는 stage I ; 79.1개월, stage II ; 47.3 개월, stage IIIa;22.77개월, stage IIIb; 16.1개월, stage IV;15.2개월이었고 새로운 병기에 따른 결과는 stage Ia;58.5개월, stage IIb;76.0개월, stage IIa;적용불능, stage IIIb;43.0개월, stage IIIa;22.5개월, stage IIIb;16.1개월, stage IV;15.2개월이었고 술후 36개월 뒤의 누적 백분율 생존율은 stage Ia;100%, stage Ib;80%, stage IIa; 적용불능, stage IIb;26%, stage IIIa;21%을 보였고 과거의 병기와 새로운 병기 판정에 따른 생존율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폐암은 전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원인의 1위를 보이는 암종으로 비소세포폐암에서 비슷한 병기의 환자들도 생존 가망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보다 정확한 생존 가망성을 예측하고 각각의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예측 측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결과는 통계학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새로 개정된 폐암 병기 판정 체계는 폐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예후를 보다 세분하여 정확하게 판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폐암 환자에서 촉진되지 않는 경부 림프절에 대한 초음파 유도 하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Impalpable Neck Node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김희규;하승인;김유리;박찬복;옥철호;장태원;정만홍;오경승;천봉권;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05-513
    • /
    • 2004
  • 목 적 : 폐암이 인접장기를 침범하거나 림프절이나 원격장기에 전이가 되었는지를 아는 것은 폐암의 병기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폐암 환자에서 촉진 되지 않는 경부 림프절에 대하여 초음파 유도하의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 된 환자 중 경부 진찰 상 경부 림프절이 촉지 되지 않고 흉부 전산단층 촬영소견 상 편측에 종격동 임파절이 1 cm이상 커지지 않은 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나이의 중앙값은 62세 (37-73)였으며 남자가 34명, 여자가 12명이였다. 조직학적 분류는 편평상피암이 16명(34.7%), 선암이 20명(43.4%), 소세포폐암이 10명(21.7%)이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단축이 0.5 cm이상의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면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인을 시행한 뒤 Papanicolau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중 비소세포폐암 36명중 14명(38.8%)에서 초음파 상 경부 임파절의 증대가 관찰되었고 14명중 8명(57.1%)에서 비소세포폐암(선암 6례, 편평상피세포암 2례), 6명(42.8%)에서 양성 병변으로 진단되었고 전체 림프절 크기의 평균은 $0.98cm{\pm}0.17$ 이고 흉부 전산 단층 촬영 소견 상 동측의 종격동에 1 cm이상의 림프절 증대가 관찰되어 임상적 림프절 병기가 2이상 경우와 경부 악성 림프절 전이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임상적 병기가 IIIa이하로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되는 18의 환자 중 3명(11.1%), 이중 종격동 림프절이 양성인 IIIa 환자 명중 2명(33.3%)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었다. 소세포폐암의 경우 10명중 5명(50%)에서 발견되어 검사 상 모두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 되었다. 결 론 : 경부 림프절에서 초음파 유도하의 세침흡인세포검사는 안전하며 폐암환자의 경부 림프절 전이의 진단과 함께 정확한 병기 설정에 유용하고 소세포 폐암 환자의 비침습적인 진단에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Serum IL-33 as a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Hu, Liang-An;Fu, Yu;Zhang, Dan-Ni;Zhang, 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4호
    • /
    • pp.2563-2566
    • /
    • 2013
  • Background: Interleukin-33 (IL-33) has recently been implicated in tumor immun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linical role of serum IL-33 in patients with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Sera collected from 250 healthy volunteers (HV), 256 patients with benign lung diseases (BLD) and 262 NSCLC cases were subjected to IL-33 ELISA and relationships between serum IL-33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Results: Circulating IL-33 levels were higher in the NSCLC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HV and BLD groups (p<0.001). Using a cut-off level 68 pg/ml (95% specificity in the HV group), IL-33 showed a good diagnostic performance for NSCLC. Multivariate survival analysis indicated that serum IL-33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the entire NSCLC group [hazards ratio (HR) = 0.64 for low versus high IL-33 levels, 95% confidence interval (CI) 0.50-0.82; p<0.001] and in 165 selected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or metastatic disease receiving chemoradiotherapy or chemotherapy (HR 0.70, 95% CI 0.52-0.94; p=0.013). Conclusions: IL-33 is a promising potential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NSCLC, independent of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에 대한 항암플러스의 치료효능 : 연속증례보고 (Case Series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Hang-Am Plus)

  • 정홍매;윤정원;이연월;조종관;오달석;유화승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3-120
    • /
    • 2011
  • Objectives : A case seri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Hang-Am Plus (HAP) on the tumor response and HRQo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Methods : Three patients were given 1,000-2,000 mg of HAP, three times a day (daily total dosage of 3,000-6,000 mg/day) for 12 weeks. Results : After the 3 month administration with HAP, three patients showed stable disease (SD) condition according to the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and two of the patients reported a decrease in pain levels. Conclusions : The observed NSCLC cases suggest treatment with HAP may be related to the observed tumor growth inhibition and pain reduction.

Identification of a Cancer Stem-like Population in the Lewis Lung Cancer Cell Line

  • Zhang, An-Mei;Fan, Ye;Yao, Quan;Ma, Hu;Lin, Sheng;Zhu, Cong-Hui;Wang, Xin-Xin;Liu, Jia;Zhu, Bo;Sun, Jian-Guo;Chen, Zheng-T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761-766
    • /
    • 2012
  • Objective: Although various human cancer stem cells (CSCs) have been defined, their applications are restricted to immunocompromised models. Developing a novel CSC model which could be used in immunocompetent or transgenic mice is essential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bio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umor stem cel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murine lung cancer cells for the presence of CSCs. Methods: Side population (SP) cells were isolated by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followed by serum-free medium (SFM) culture, using Lewis lung carcinoma cell (LLC) line. The self-renewal, differentiated progeny, chemosensitivity, and tumorigenic properties in SP and non-SP cells were investigated through in vitro culture and in vivo serial transplantation. Differential expression profiles of stem cell markers were examined by RT-PCR. Results: The SP cell fraction comprised 1.1% of the total LLC population. SP cells were available to grow in SFM, and had significantly enhanced capacity for cell proliferation and colony formation. They were also more resistant to cisplatin in comparison to non-SP cells, and displayed increased tumorigenic ability. Moreover, SP cells showed higher mRNA expression of Oct-4, ABCG2, and CD44. Conclusion: We identified SP cells from a murine lung carcinoma, which possess well-known characteristics of CSCs. Our study established a useful model that should allow investigation of the biological features and pharmacosensitivity of lung CSCs, both in vitro and in syngeneic immunocompetent or transgenic/knockout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