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Invasive

검색결과 1,289건 처리시간 0.025초

소아에서 보리코나졸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 (Voriconazole Therapeutic Drug Monitoring is Necessary for Children with Invasive Fungal Infection)

  • 강현미;강수영;조은영;유경상;이지원;강형진;박경덕;신희영;안효섭;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9-2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소아 환자들에서 voriconazole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의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7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소아 환자들 중, 침습성 진균감염증에 대해 voriconazole 치료를 받은 증례를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총 28명의 환자 중 14명이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으며,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치료 효과 및 독성 증상 발현 여부를 파악하였다. 결과: 143개의 혈중 농도 측정 값 중 53.1%에서 치료적 범위(1.0-5.5 mg/L) 내에 들었고, 같은 용법으로 치료받았더라도 높은 혈중 농도 변동성(high variability)을 보였다.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받았던 군(TDM 군)과 받지 않았던 군(non-TDM 군)에서 각각 14명 중 9명(64.3%)이 독성 증상을 나타냈는데, TDM 군에서 신경학적 증상(n=2, 14.3%) 및 간기능 장애(n=8, 57.1%)는 높은 voriconazole 혈중 농도(>5.5 mg/L)를 보인 환자들에게서 나타났다. 반면, 시각 장애는 혈중 농도가 치료적 범위 내에 있을 때 발현하였다(1.18 mg/L, 3.9 mg/L). TDM 군에서 non-TDM 군에 비하여 독성 증상으로 인하여 약물을 중단했던 빈도가 낮았다(0.0% vs. 18.2%, P =0.481). 치료 시작 6주 후 치료 효과를 분석해본 결과 TDM 군의 57.2%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에서는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055). 최종 치료효과 분석에서는 TDM 군의 21.4%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으나, non-TDM 군의 14.3%에서 치료 반응을 보였다(P =0.664). TDM 군에서 치료 시작 첫 6주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분석했을 때 67.0% 이상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으나, 치료 기간 전체를 봤을 때에는 45.5%에서 치료적 범위 내에 들었다. 결론: 소아에서 voriconazole 사용 시 치료적 약물 농도 모니터링을 통하여 치료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독성이 나타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유방 침윤성 관상피암에서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상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1H$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Pattern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Breast)

  • 조재환;박철수;이선엽;김보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22-28
    • /
    • 2010
  • 유방암 중에서 가장 발생율이 높은 침윤성 관상피암을 대상으로 생체 국소 수소핵 자기공명분광법(localized in vivo $^1H$ MRS)을 시행하여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자기공명 분광상(MR spectroscopy)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침윤성 관상피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종양이 있는 부위를 실험군으로 정하였고 종양이 없는 반대쪽 부위를 대조군으로 정하여 3.0T MR scanner를 이용한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영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영상 및 분광 정보를 얻었다. 유방암 환자 40명 중 34명(85%)에서 3.2 ppm 분광정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MRS상 3.2 ppm에서의 분광정점 발현여부를 유방암의 진단 기준으로 선택하는 경우 민감도는 85% (34/40), 특이도는 92.5% (37/40), 양성예측율은 100% (34/34), 음성 예측율은 86% (37/43)이었다. 정상 조직의 1.3 ppm에서의 분광정점을 진단 기준으로 정할때 민감도는 92.5% (37/40), 특이도는 85% (34/40), 양성 예측율은 100% (37/37), 음성 예측율은 91.8% (34/37)이었다. $^1H$ MRS방법이 유방암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 및 치료 판정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jor environmental factors and traits of invasive alien plants determining their spatial distribution

  • Oh, Minwoo;Heo, Yoonjeong;Lee, Eun Ju;Lee, Hyohyem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277-286
    • /
    • 2021
  • Background: As trade increases, the influx of various alien species and their spread to new regions are prevalent and no longer a special problem. Anthropogenic activities and climate changes have made the distribution of alien species out of their native range common. As a result, alien species can be easily found anywhere, and they have nothing but only a few differences in intensity. The prevalent distribution of alien species adversely affects the ecosystem, and a strategic management plan must be established to control them effectively. To this end, hot spots and cold spo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plants, and major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hot spots were found. We analyzed the 10,287 distribution points of 126 species of alien plants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survey of alien species by the hierarchical model of species communities (HMSC) framework. Results: The explanatory and fourfold cross-validation predictive power of the model were 0.91 and 0.75 as AUC values, respectively. The hot spots of invasive plants were foun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aegu metropolitan city, Chungcheongbuk-do Province, southwest shore, and Jeju island. Generally, the hot spots were found where the higher maximum temperature of summer, precipitation of winter, and road density are observed, but temperature seasonality, annual temperature range, precipitation of the summer, and distance to river and sea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hot spots. According to the model, the functional traits accounted for 55% of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species with higher specific leaf areas were more found where temperature seasonality was low. Taller species preferred the bigger annual temperature range. The heavier seed mass was only preferred when the max temperature of summer exceeded 29 ℃. Conclusions: In this study, hot spots were places where 2.1 times more alien plants were distributed on average than non-hot spots (33.5 vs 15.7 species). The hot spots of invasive plants were expected to appear in less stressful climate conditions, such as low fluctuation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lso, the disturbance by anthropogenic factors or water flow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hot spot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reports about the ruderal or competitive strategies of invasive plants instead of the stress-tolerant strategy. The functional trai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ical strategies of plants by shaping the response of species to various environmental filters, and our result confirmed this.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alien plants, it is judged that the occurrence of disturbed sites in which alien plants can grow in large quantities is minimized, and the river management of waterfronts is required.

최근 4년간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공 호흡기 치료율과 경과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Ventilator Care Rate and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Last Four Years)

  • 정변경;김영주;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73-1079
    • /
    • 2003
  • 목 적 :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호흡부전시 인공 호흡기 치료에만 의존하던 과거와는 달리 신생아 집중치료의 획기적 발전과 의료환경의 개선으로 새로운 관점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의 시도가 요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8년부터 기관내 삽관율과 인공 호흡기 치료기간, 합병증 등의 연도별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향후 인공 호흡기 치료 방향에 기초적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본원 출생아로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이며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입원 치료한 뒤 퇴원한 환아 2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분석하였고,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분만 방법과 임상 특징, 원인 질환, 인공 호흡기 설정시 초기 조건, 사용 방법, 기간,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도별 재태 주수에 따른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의 변화 : 27-29주 미숙아의 경우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군은 큰 변화 없이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약 76.1%에 해당되었다. 30-33주 미숙아의 경우는 최근 4년간 인공 호흡기 치료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로 1998년, 1999년에 각각 61.9%, 52.9%에서 인공호흡기 의존도를 나타냈으나 2000년에는 48.6%였고, 2001년에는 37.5%에서만이 인공 호흡기의 의존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환아에서 1998년은 69.7%에서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았으나, 2001년은 42.5%로 감소하였다 2)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임상적 특징 : 평균 재태 연령, 출생 체중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4년간 모두 반 수 이상에서 남아이고, 분만 방식으로 제왕 절개술에 의한 분만이 60% 이상이었으며,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원인 질환으로 중등도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단독인 경우가 60% 이상이었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과 동반된 가사 및 무호흡이 있었다 3) 인공 호흡기 치료군에서 동맥혈 가스 분석, 인공 호흡기 설정 및 호흡 지표의 변화 : $PaO_2$는 42.4-44.8 mmHg였고, 평균 기도압은 5.7-6.0 $cmH_2O$, 산소화 지수(OI)는 9.2-11.6이었으며, 인공 호흡기 치료 24-48시간 경과 후 시행한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 $PaO_2$는 89.3-92.5 mmHg로 호전되었고, 평균 기도압은 4.4-4.7 $cmH_2O$로 낮아졌으며, 산소화 지수는 2.3-2.6 정도로 호전되었다. 4) 인공 호흡기 치료 평균 기간 : 인공 호흡기 치료 기간은 최근 4년간 뚜렷이 감소하는 추세로 7일 이상 장기간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는 1998년에 23.9%에서 2001년에는 6.4%로 감소하였고, 4일에서 6일 동안 치료를 받은 경우는 1998년에 76.1%에서 2001년에 9.7%로 감소하였다. 또한 3일 이하의 단기간 치료를 받은 군은 1999년에 28.1%이던 것이 2001년에는 83.9%로 증가하였다. 연도별 평균 치료 기간도 1998년, 1999년에 각각 6.0일, 5.5일에서 2000년, 2001년에 3.6일, 2.7일로 감소하였다. 5) 인공 호흡기 사용 방법과 주요 합병증 : 1998년에는 HFV와 IMV에 의한 인공 호흡기 치료가 주였고, 2000부터 비강내 CPAP을 활성화 하였으며, 2001년에는 HFV와 IMV, 비강내 CPAP의 병용 사용이 35.4%로 늘어났다. 인공 호흡기 치료를 받은 환아들의 주요 합병증으로는 동맥관 개존이 가장 많았으며, 병기 3이상의 미숙아 망막증, grade III 이상의 뇌실내 출혈, 공기 누출 증후군, 만성 폐질환,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순으로 나타났다. 결 론 : 1,500 gm 미만의 원내 출생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우 중증의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인공 호흡기 의존율과 치료 기간 역시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다. 따라서 비강내 CPAP의 조기 사용으로 기도 삽관을 통한 침습적인 인공 호흡기 치료관리 기회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omputer-Aided Detection with Automated Breast Ultrasonography for Suspicious Lesions Detected on Breast MRI

  • Kim, Sanghee;Kang, Bong Joo;Kim, Sung Hun;Lee, Jeongmin;Park, Ga Eu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1호
    • /
    • pp.46-54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 computer-aided detection (CAD) system used with automated breast ultrasonography (ABUS) for suspicious lesions detected on breast MRI, and CAD-fals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included a total of 40 patients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ABUS (ACUSON S2000) to evaluate multiple suspicious lesions found on MRI. We used CAD ($QVCAD^{TM}$) in all the ABUS examinations. We evaluat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CA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AD-detected lesions and the factors underlying false-positive and false-negative cases. We also analyzed false-positive lesions with CAD on ABUS. Results: Of a total of 122 suspicious lesions detected on MRI in 40 patients, we excluded 51 daughter nodules near the main breast cancer within the same quadrant and included 71 lesions. We also analyzed 23 false-positive lesions using CAD with ABU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CAD (for 94 lesions) with ABUS were 75.5%, 44.4%, 59.7%, and 62.5%, respectively. CAD facilitated the detection of 81.4% (35/43) of the invasive ductal cancer and 84.9% (28/33) of the invasive ductal cancer that showed a mass (excluding non-mass). CAD also revealed 90.3% (28/31) of the invasive ductal cancers measuring larger than 1 cm (excluding non-mass and those less than 1 cm). The mean sizes of the true-positive versus false-negative mass lesions were $2.08{\pm}0.85cm$ versus $1.6{\pm}1.28cm$ (P < 0.05). False-positive lesions included sclerosing adenosis and usual ductal hyperplasia. In a total of 23 false cases of CAD, the most common (18/23) cause was marginal or subareolar shadowing, followed by three simple cysts, a hematoma, and a skin wart. Conclusion: CAD with ABUS showed promising sensitivity for the detection of invasive ductal cancer showing masses larger than 1 cm on MRI.

침습적 뇌자극기술과 법적 규제 -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을 중심으로 - (Invasive Brain Stimulation and Legal Regulation: with a special focus on Deep Brain Stimulation)

  • 최민영
    • 의료법학
    • /
    • 제23권2호
    • /
    • pp.119-139
    • /
    • 2022
  • 뇌에 전기적·자기적 자극을 가하는 뇌자극기술은 신경학적·정신학적 장애에 대해 다양한 범위에 걸쳐 상당한 치료 가능성을 보여준다. 뇌자극기술은 침습 여부에 따라 침습적 기술과 비침습적 기술로 구분되는데, 뇌심부자극술(이하, DBS)은 대표적인 침습적 뇌자극기술에 속한다. 현재 DBS는 식약처 고시인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에 따라 4등급 의료기기로 분류되어 몇몇 질환에서 안정된 치료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시에 날로 그 기술이 발전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이용방법이 논의되고 있다. 반면, 이와 관련한 법적 규제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글은 DBS의 기술 및 효과와 안전성을 간략하게 소개한 이후, DBS 이용에서 고려할 수 있는 주요한 법적 쟁점을 이용 목적별로, 즉 치료목적, 임상연구 목적, 표준적 치료법이 아니나 다른 치료법이 없는 경우, 향상 목적으로 구분하여 논의하고, 어떠한 목적의 이용이든 DBS 이용에 따른 법적 책임의 문제에서 새로이 공통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쟁점-위험·이익평가, 의사의 설명의무, 환자의 동의능력, 기기의 조정, 보험의 보장-을 소개하고 논의한다.

7가 페구균백신 접종에도 치명적인 폐구균 19A 수막염 1예 (A case of fatal pneumococcal 19A meningoencephalitis despite administration of seven-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s)

  • 허아름;이준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508-511
    • /
    • 2009
  • 폐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소아, 특히 어린 영아에서 심한 침습성 질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이다. 2003년부터 우리나라에서 접종하기 시작한 7가 폐구균백신(PCV7)은 소아에서 침습성 폐구균성 폐렴과 수막염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7가 폐구균백신을 접종한 이후부터 비7가 폐구균 혈청형(non-PCV7 serotype) 감염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다. 14개월 된 여아가 내원 3일 전부터 열과 구토가 있었으나 증상 치료만 하고 있던 중 갑작스런 의식불명과 기면(lethargy)으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입원 후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빠르게 혼수와 뇌사 상태로 진행하였다. 환자는 이전에 3회의 7가 폐구균백신을 접종하였으나 최종 진단은 비7가 폐구균 혈청형인 폐구균 19A 수막염이었고, 입원 20일째 사망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문헌상 보고된 적이 없는, 폐구균 19A 혈청형 수막염으로 사망한 첫번째 증례이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Comparative study of 82Sr separation/purification methods used at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and ARRONAX

  • Ha, Yeong Su;Yoon, Sang-Pil;Kim, Han-Sung;Kim, Kye-Ryung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8
    • /
    • 2019
  • Nuclear imaging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asures for non-invasive diagnosis of myocardial vascular disease. Radionuclide such as 13N, 15O, 201Tl and 82Rb i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cardiac blood flow. 13N, 15O and 201Tl are produced in cyclotrons while 82Rb is obtained from generator. Rubidium (Rb), an alkali ion, behaves biologically like potassium, and accumulates in myocardial tissue. Rb has rapid blood clearance profile which allows the use of 82Rb with a short physical half-life of 75 s for non-invasive evaluation of regional myocardial perfusion.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82Rb over other radioisotopes. An ultra-short half-life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osure of patients to radiation and allows to repeat injections for studying the effects of medical intervention. As a positron emitter, 82Rb allows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imaging which have shown superior diagnostic performances. 82Rb can be produced from generator by decay of its parent 82Sr. However, the preparation of 82Sr is difficult, because appropriate purity is required to meet th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 Recently reported procedure from ARRONAX research institute showed that a Chelex-100 resin is sufficient for this purpose and additional column is not necessary. Whereas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BNL) procedure contains three ion exchange resin separation, including Chelex-100 resin. Currently, since 82Sr production site is non-existent in Korea,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has plan to produce 82Sr within specifications. We compared 82Sr purification procedures reported from ARRONAX and BNL to investigate the most suitable procedure for our conditions.

스마트 실버 헬스케어를 위한 비접촉 인체감지 IOT 센서 개발 (A Development of Non-Invasive Body Monitoring IOT Sensor for Smart Silver Healthcare)

  • 강병욱;김상희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8-34
    • /
    • 2018
  • 본 논문은 적외선 온도센서를 이용한 재실인원 측정을 통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방 내부의 움직임 파악하기 위한 PIR센서 모듈, 그리고 취침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스마트 호흡감지 모듈로 구성된다. 센싱부와 알고리즘 구동 부를 일체화 한 임베디드 형태의 센서 모듈과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 고급화됨에 따라 실버케어에 대한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선 효율적인 실버케어기기 개발을 통하여 비용 감소가 필요하다. 제안된 비 영상 인체감지 IOT 센서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였고 기존의 영상에 의한 감시 방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준 마이크로파 발진기를 이용한 비 침습 혈당 센서 (Non-Invasive Blood Glucose Sensor By Sub-Microwave Oscillator)

  • 윤기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9-16
    • /
    • 2017
  • 본 연구는 비 침습 방식으로 인체 혈당변화를 감지하여 준 마이크로파 대역의 발진 주파수 변화로 나타내는 발진기 센서를 제안하였다.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의 접지 면에 형성된 유도성 슬롯(inductive slot)과 생체조직 사이에 전자기적 결합을 통해 공진기로 구현되었으며, 능동회로를 연결하여 발진기를 구현하였다. 생체 조직을 가상한 팬텀 박스를 이용하였고, 3단계(0, 400, 800 mg/dL)의 혈당 농도 수준을 변화시켰을 때 공진기의 공진주파수가 상향 이동하는 것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제품을 제작하여 인체 대신 돼지의 생체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1,100 MHz 부근에서 400 mg/dL의 혈당 농도변화 대비 약 14 MHz의 발진 주파수 천이가 관찰되어 혈당 센서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