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small 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931건 처리시간 0.035초

GOLPH3, a Good Prognostic Indicator in Early-stage NSCLC Related to Tumor Angiogenesis

  • Lu, Ming;Tian, Yu;Yue, Wei-Ming;Li, Lin;Li, Shu-Hai;Qi, Lei;Hu, Wen-Si;Gao, Cun;Si, Li-Bo;Tian, 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793-5798
    • /
    • 2014
  • Background: Golgi phosphoprotein-3 (GOLPH3) is implicated in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GOLPH3 protein and its association with tumor angiogenesis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SCL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determine GOLPH3 protein expression and allow assessment of intratumoral microvessel density (MVD) by counting CD-34 positive immunostained endothelial cells. Correlations of expression with MVD,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clinical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 notably higher level of GOLPH3 expression was found in early-stage NSCC tissues at the protein level. However, we do not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GOLPH3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p>0.05), although higher MV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GOLPH3 overexpression (p<0.001). Expression of GOLPH3 was found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early-stage NSCLC patients, those expressing high levels of GOLPH3 exhibiting a substantially lower 5-year overall survival than GOLPH3-negative patients (adjusted HR =1.899, 95% CI: 1.021-3.532, p=0.043). Conclusions: High expression of the GOLPH3 protein is common in early-stage NSCC, and is closely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increased tumor angiogenesis, and poor survival. We conclude a possibility of its use as a diagnostic and prognostic marker in early-stage NSCC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Outcomes of Leptomeningeal Metastasis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 Kim, Hyojeong;Lee, Eun Mi
    •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 /
    • 제6권2호
    • /
    • pp.54-59
    • /
    • 2018
  • Background Leptomeningeal metastasis (LM) is an uncommon, but devastating complication of advanced cancer and has no standard treatment. Herein,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solid tumors who were diagnosed with LM.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7,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olid tumors who were diagnosed with LM. Results A total of 5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of patients was 51 years (range, 27-72 years), and 62.1% had a poor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tatus (PS) (>2). The common types of primary tumor were breast cancer (39.7%), gastric cancer (25.9%), and non-small cell lung cancer (20.7%). Forty-two patients (72.4%) were diagnosed with LM by MRI of the brain and/or spine and cerebrospinal fluid (CSF) analysis, 14 were diagnosed by CSF analysis alone, and 2 were diagnosed by MRI alone. Treatments for LM were performed in 53 patients (91.4%), and best supportive care was provided for 5 patients (8.6%). Intrathecal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systemic chemotherapy were administered in 43 (74.1%), 17 (29.3%), and 24 (41.4%) patients, respectively.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f the entire cohort was 2.4 months (95% confidence interval, 1.0-3.7). In th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a good ECOG PS (${\leq}2$), administration of systemic chemotherapy after LM diagnosis, and a prior history of brain radiation were associated with prolonged survival. Conclusion Although the prognosis of LM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is poor, systemic chemotherapy might improve survival in selected patients with a good PS.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 (Inductio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Locally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 윤상모;김재철;박인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95-202
    • /
    • 1999
  • 목적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유도 화학요법이 생존율 및 치료 실패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6년 10월까지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진단받고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혹은 병합요법(유도 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을 받은 1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 단독군이 85명, 병합요법군이 45명이었다. 연령, 성별, 전신 수행능력, 병리조직학적 유형, 그리고 병기 등은 양군에서 고르게 분포하였다. 방사선치료는 6 MV 혹은 10 MV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였고, 일일 선량 $1.8\~2.0$ Gy를 주 5회 조사하였다. 총 방사선량은 129명에서 59.6 Gy 이상($56\~66$ Gy, 중앙값 60 Gy) 조사되었다. 유도 화학요법은 $2\~5$회(중앙값 2회) 시행하였다. 사용된 약제는 CAP (Cyclophosphamide, Adriamycin, Cisplatin)가 6명, MVP (Mitomycin, Vinblastine, Cisplatin)가 9명, MIC (Mitomycin, ifosfamide Cisplatin)이 13례, 그리고 EP (Etoposide, Cisplatin)가 17명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든 요법이 Cis-platinum을 포함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 2, 3 년 전체 생존율이 각각 41.5, 13.7, $7\%$였고,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치료 방법별 1, 2, 3 년 전체 생존율, 그리고 중앙 생존기간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각각 32.9, 10.5, $6\%$, 9개월이었으며,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각각 57.8, 20, $7.6\%$, 14 개월이었다(p=0.0005). 최종 치료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던 126명 중 38명($30.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에서 완전관해가 $25\%$ (21/84),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40.5\%$, (17/42)에서 완전관해를 보였다(p=0.09).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혈색소치(p=0.04), NSE (neuron-specific enolase)치(p=0.004), 그리고 최종 치료반응(p=0.004)등이었다. 치료 방법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는 WSE치(p=0.006)와 최종 치료반응(p=0.003), 병합요법군의 경우는 최종 치료반응(p=0.007)이 예후인자였다. 치료 실패양상은 추적 관찰이 가능했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알 수 있었던 12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양 군간에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에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병합요법 군에서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방사선치료 단독군은 19명중 11명에서, 병합요법군은 13명중 3명에서 원격전이가 발견되었다(p=0.07). 국소 실패는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에서도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10/19 vs 6/13). 결론 : 국소 진행된 비소세포성 폐암의 경우 유도 화학요법을 시행함으로써, 방사선치료 단독보다 2년 생존율이 향상 되었고, 적어도 완전관해를 보인 경우는 원격전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국소 실패양상 및 장기생존율에는 유도 화학요법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국소 제어율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PDF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성 페암의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복합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대한 예비적 결과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therapy for Stage III Unresectable Non Small Cell Lung Cancer : Preliminary Report for Response and Toxicity)

  • 최은경;김종훈;장혜술;김상위;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송군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57-162
    • /
    • 1995
  • 목적 :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복합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에 의한 종양관해율, 급성부작용, 생존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3년 8월부터 전향성 연구(Prospective study)를 시작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 III기의 비소세포성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다분할 방사선치료(120 cGy/fx, BID)를 6,480 cGy 시행하며 동시에 방사선치료 제1일과 28일에 2회의 MVP (Mitomycin C $6mg/m^2,$ Vinblastine $6mg/m^2,$ Cisplatin $60mg/m^2$) 복합 항암 요법을 시행하였다. 1994년 11월까지 등록된 62명의 환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병기는 IIIa 환자가 6명이고 나머지 56명은 IIIb 환자였으며 이중 흉막액이 있었던 환자는 11명, 쇄골상 임파선 전이가 있었던 환자는 10명으로 대부분의 환자가 IIIb 중에서도 진행된 환자였다. 조직학적 유형은 편평 상피암이 41명으로 $66\%$ 선암도 11명으로 $18\%$를 차지하였다. 결과: 52명의 환자중 끝까지 치료를 마친 환자는 48명으로 이 study의 compliance는 $77\%$이었다. 48명의 환자중 2명은 치료중 치료와 관계된 백혈구 감소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었던 46명의 환자중 완전 관해(CR)는 10명으로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을 보였다. 부분 관해(PR)는 24명 $(52\%)$ 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동시 병행 MVP 항암요법에 의한 부분관해 이상의 관해율은 $74\%$ 이었다. 급성부작용 판정이 가능했던 46명중 가장 빈도가 높은 금성 부작용은 백혈구 감소로 1차 항암요법후 10명이 Grade 3, 4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였으며 2차 항암요법에는 11명이 Grade 3, 9명이 Grade 4의 백혈구 감소를 보여 치료기간이 3일에서 5일 정도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냈고 이중 2명은 폐렴으로 인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치료중 체중감소를 보인 환자는 26명 $(54\%)$ 이었으며 이중 9명에서는 치료전에 비해 $10\%$ 이상의 체중감소를 보였다. 치료 1개월후 찍은 CT상 6명에서는 Grade 1의 방사선 폐렴이 관찰되었고 3명에서는 Grade 2로 Steroid 치료후 호전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와 MVP 항암요법의 동시 치료가 이전의 항암요법후 다분할 방사선 치료하는 Sequential 방법에 비하여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특히 $22\%$의 높은 완전 관해율이 관찰되어 이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되며 급성 부작용에 대하여는 입원을 통한 Nutrition support와 G-CSF 등을 이용하여 백혈구 감소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의 종격동 림프절 종대의 분포 (Distribution of Mediastinal Lymph Node Enlargement in Non-Small-Cell Lung Cancer)

  • 배문섭;이신엽;이재희;박재형;김은진;전경녀;차승익;김창호;정태훈;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6호
    • /
    • pp.646-656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외과적 절제술을 통해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예들에서 림프절 전이 양상을 조사하였는데, 이러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초기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진행된 폐암에서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양상을 규명 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종양의 위치에 따른 종격동 림프절 종대의 분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림프절 전이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가운데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종격동 림프절 종대(림프절 단경${\geq}1$ cm)를 보인 256예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폐암의 위치, 종격동 림프절 종대 구역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우상엽 폐암은 우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만 있는 경우(36.8%)와 구역 7 림프절 종대와 우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함께 있는 경우(33.3%)가 가장 많았으며, 좌상엽 폐암은 좌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만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50.0%). 우상엽 및 좌상엽 폐암 모두에서 동측 상부 종격동림프절 종대 없이 구역 7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는 드물었다(각각 7.0% 및 13.2%). 2. 우하엽 및 좌하엽 폐암은 모두 구역 7 림프절 종대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각각 88.2% 및 65.7%), 구역 7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 우하엽 폐암은 동측 혹은 양측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의 빈도가 유사하였으나 (각각 33.3% 혹은 29.4%), 좌하엽 폐암의 경우는 동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 보다 양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 종대가 있는 빈도가 높았다(각각 8.6%와 25.7%). 결 론 : 우상엽 폐암과 좌상엽 폐암은 동측 상부 종격동 림프절로의 직접전이가 주된 전이경로로 생각되며, 우하엽 폐암과 좌하엽 폐암은 구역 7 림프절을 경유한 상부 종격동 림프절로의 전이가 주된 기전으로 생각된다.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during Pulmonary Resection (Takotsubo Syndrome) - A case report -

  • Lee, Seok-Kee;Lim, Seung-Pyung;Yu, Jae-Hyeon;Na, Myung-Hoon;Kang, Shin-Kwang;Kang, Min-Woong;Oh, Hyun-K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4호
    • /
    • pp.294-297
    • /
    • 2011
  •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aused by emotional or physical stressors and mimic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ough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is characterized by reversible left ventricular (LV) apical ballooning in the absence of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We describe a 51-year-old male who underwent left upper lobectom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during which cardiogenic arrest occurred due to stress-induced cardiomyopathy, successfully managed by intra-aortic balloon pumping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Image texture feature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 전이 예측 머신러닝 모델 연구 (Study of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astasis using image texture feature)

  • 주혜민;우상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13-31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18F-FDG PET과 CT에서 추출한 영상인자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의 전이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하였다. 18F-FDG는 종양의 포도당 대사 시 사용되며 이를 추적하여 환자의 암 세포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영상 기법 중 하나이다. PET과 CT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특징은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하며 해당 ROI로부터 계산되어 정량화된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image texture 프절 전이 예측에 있어 유의한 인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UC를 계산하고 단변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PET과 CT에서 각각 4개(GLRLM_GLNU, SHAPE_Compacity only for 3D ROI, SHAPE_Volume_vx, SHAPE_Volume_mL)와 2개(NGLDM_Busyness, TLG_ml)의 image texture feature를 모델의 생성에 사용하였다. 생성된 각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ccuracy와 AUC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random forest(RF)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된 PET과 CT image texture feature를 함께 사용하여 모델을 훈련하였을 때가 각각 따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예측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영상인자가 림프절 전이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한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EGFR Gene Mutations and Lung Cancer: a Hospital-Based Study

  • Kavitha, Matam;Iravathy, Goud;Adi Maha, Lakshmi M;Ravi, V;Sridhar, K;Vijayanand, Reddy P;Chakravarthy, Srinivas;Prasad, SVSS;Tabassum, Shaik Nazia;Shaik, Noor Ahmad;Syed, Rabbani;Alharbi, Khalid Khalaf;Khan, Imran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071-7076
    • /
    • 2015
  •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s one of the targeted molecular markers in many cancers including lung malignancies. Gefitinib and erlotinib are two available therapeutics that act as specific inhibitors of tyrosine kinase (TK) domains. We performed a case-control study with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blocks (FFPE) from tissue biopsies of 167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 patients and 167 healthy controls. The tissue biopsies were studied for mutations in exons 18-21 of the EGFR gene.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PCR followed by DNA sequencing. We identified 63 mutations in 33 men and 30 women. Mutations were detected in exon 19 (delE746-A750, delE746-T751, delL747-E749, delL747-P753, delL747-T751) in 32 patients, exon 20 (S786I, T790M) in 16, and exon 21 (L858R) in 15. No mutations were observed in exon 18. The 63 patients with EFGR mutations were considered for upfront therapy with oral 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drugs and have responded well to therapy over the last 15 months. The control patients had no mutations in any of the exons studied. The advent of EGFR TKI therapy has provided a powerful new treatment modality for patients diagnosed with NSCLC. The study emphasizes the frequency of EGFR mutations in NSCLC patients and its role as an important predictive marker for response to oral TKI in the south Indian population.

Imaging Assessment of Visceral Pleural Surface Invasion by Lung Cancer: Comparison of CT and Contrast-Enhanced Radial T1-Weighted Gradient Echo 3-Tesla MRI

  • Yu Zhang;Woocheol Kwon;Ho Yun Lee;Sung Min Ko;Sang-Ha Kim;Won-Yeon Lee;Suk Joong Yong;Soon-Hee Jung;Chun Sung Byun;JunHyeok Lee;Honglei Yang;Junhee Han;Jeanne B. Ackma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5호
    • /
    • pp.829-839
    • /
    • 2021
  • Objective: To compar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ontrast-enhanced radial T1-weighted gradient-echo 3-tesla (3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computed tomography (CT) for the detection of visceral pleural surface invasion (VPSI). Visceral pleural invasion by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PL1 (without VPSI), invasion of the elastic layer of the visceral pleura without reaching the visceral pleural surface, and PL2 (with VPSI), full invasion of the visceral pleura.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VPSI by NSCLC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Multidetector CT and contrast-enhanced 3T MRI with a free-breathing radial three-dimensional fat-suppressed 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VIBE) pulse sequence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length of contact, angle of mass margin, and arch distance-to-maximum tumor diameter ratio. Supplemental evaluation of the tumor-pleura interface (smooth versus irregular) could only be performed with MRI (not discernible on CT). Results: At the tumor-pleura interface, radial VIBE MRI revealed a smooth margin in 20 of 21 patients without VPSI and an irregular margin in 10 of 12 patients with VPSI, yielding an accuracy,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F-score for VPSI detection of 91%, 83%, 95%, 91%, 91%, and 87%, respectively. The McNemar test an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agnostic accuracies of CT and MRI for evaluating the contact length, angle of mass margin, or arch distance-to-maximum tumor diameter ratio as predictors of VPSI. Conclusio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ontrast-enhanced radial T1-weighted gradient-echo 3T MRI and CT were equal in terms of the contact length, angle of mass margin, and arch distance-to-maximum tumor diameter ratio. The advantage of MRI is its clear depiction of the tumor-pleura interface margin, facilitating VPSI detectio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PAI-1) A15T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Patients with EGFR Mutation Positive Pulmonary Adenocarcinoma

  • Lim, Ju Eun;Park, Moo Suk;Kim, Eun Young;Jung, Ji Ye;Kang, Young Ae;Kim, Young Sam;Kim, Se Kyu;Shim, Hyo Sup;Cho, Byoung Chul;Chang, Joo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4호
    • /
    • pp.140-149
    • /
    • 2013
  • Backgrou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PAI-1), an important regulator of plasminogen activator system which controls degradation of extracellular membrane and progression of tumor cells, and PAI-1 gene polymorphic variants have been known as the prognostic biomarker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Recently, experimental in vitro study revealed that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initiated PAI-1 transcription through epi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signaling pathway. However, there is little clinical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I-1 A15T gene polymorphism and prognosis of Korean population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and the influence of activating mutation of EGFR kinase domai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and undergone EGFR mutation analysis from 1995 through 2009. Results: In all patients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AI-1 A15T polymorphic variants and prognosis for overall survival. However, further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AG/AA genotype had a shorter 3-year survival time than the group with GG genotype in patients with EGFR mutant-type pulmonary adenocarcinoma (mean survival time, 24.9 months vs. 32.5 months, respectively; p=0.015). In multivariate analysis of 3-year survival for patients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harboring mutant-type EGFR, the AG/AA genotype carriers had poorer prognosis than the GG genotype carriers (hazard ratio, 7.729; 95% confidence interval, 1.414-42.250; p=0.018). Conclusion: According to our study of Korean population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AG/AA genotype of PAI-1 A15T would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or short-term survival in patients with pulmonary adenocarcinoma harboring mutant-type EG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