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small 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931건 처리시간 0.046초

Predictors of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in Patients with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 Lee, Sang Hee;Jo, Eun Jung;Eom, Jung Seop;Mok, Jeong Ha;Kim, Mi Hyun;Lee, Kwangha;Kim, Ki Uk;Park, Hye-Kyung;Lee, Chang Hun;Kim, Yeong Dae;Lee, Min Ki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4호
    • /
    • pp.341-348
    • /
    • 2015
  • Background: There have been various results from studies concerning the predictors of recurrence in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Therefore, an accurate assessment is needed to guide effective adjuvant therapy. We investigated the predictors of a recurrence in patients with resected, early-stage NSCLC an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locoregional or distant recurrence.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patients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1. Patients with pathological stages I or II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based on the seventh edition TNM staging system.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Results: Two hundred and forty-nine patients were included. Among them, 180 patients were stage I, and 69 were stage II. Overall,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a 5-year total recurrence were the presence of visceral pleural invasion (VPI) (p=0.018) and maximal standardized uptake values (SUVs) of tumors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4.5 (p=0.037). The VPI was the only independent risk factor associated with both locoregional and distant recurrence, in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of tumor recurrence and their risk factors. In the subgroup analysis of stage I patients, three variables (male, VPI and resection margin positiv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5-year recurrence. Conclusion: Th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recurrence in early-stage NSCLC were as follows: PET SUV >4.5 and the presence of VPI. For patients with those factors adjuvant therapy should be recommended as a more efficacious treatment.

폐암 조직에서의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in Lung Cancer)

  • 김선영;이경주;홍석철;한표성;이종진;조해정;김주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1호
    • /
    • pp.23-28
    • /
    • 1993
  • 연구배경 : 암화 과정상의 한 요소는 조절되지 않는 세포의 증식인바 그 증식성을 알아볼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었는데 그중 한 방법이 소위 증식표지인 PCNA를 검색해 보는 것이다. PCNA는 36KD의 핵단백질로서 세포의 증식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암세포에선 그 발현성이 잘 조절되지 않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생물학적 성상을 보다 잘 이해하려는 연구들이 시도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암세포에서의 PCNA 발현율은 암세포중 증식세포 비율뿐 아니라 암세포의 분화정도, DNA의 배수성, 항암제에 대한 감수성 등과 관련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그 방법의 단순성 및 신속성과 아울러 통상적 조직 보관법인 파리핀 포매 절편을 이용하므로써 조직형태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조직에서 PCNA 발현양상을 조사 분석하여 그 병태 생물학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 대상은 폐암으로 진단받고 폐절제술로 적출되어 파라핀에 포매된 43예의 폐암조직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으로 PCNA 발현을 조사하여 암세포형, 병기, 병소 종류, 생존율 등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1) 세포형에 따른 구분 : 편평상피암은 89%, 선암은 54%의 양성율을 나타내어 세포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세포암은 1예인데 양성이었다. 2) 병기에 따른 구분 : 병기가 진행할수록 즉 1기에서 보다 2, 3기에서 양성율은 높은 경향을 보이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3) 병소에 따른 구분 : 원발암 부위와 전이 임파절 부위에서의 양성율은 각각 77%와 62%로서 큰 차이가 없었고, 전이 병소를 가진 13예에서 두 부위간의 양성율은 92%와 62%로서 원발부위에서 높으며, 전이 병소를 가진 원발 부위에서의 양성율이(92%) 전이 병소가 없는 원발 부위의 양성율보다(70%) 높았다. 4) 생존 기간에 따른 구분 : 12개월 생존율을 비교할 때 양성율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폐암조직에서의 PCNA의 발현은 편평상피암에서 보다 높으며, 전이병소를 가진 원발 부위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병기 및 생존율 등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므로 향후 더많은 예수에 대한 검증, 여러 다른 치료를 받은 경우에서의 검증, 더 오랜 기간의 생존율 관찰 및 다른 생물학적 지표와의 비교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utational Analysis of Key EGFR Pathway Genes in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 Tong, Lin;Yang, Xue-Xi;Liu, Min-Feng;Yao, Guang-Yu;Dong, Jian-Yu;Ye, Chang-Sheng;Li, M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599-5603
    • /
    • 2012
  • Background: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breast cancer treatment; however, its use does not lead to a marked clinical response. Studi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showed that mutations of genes in the PIK3CA/AKT and RAS/RAF/MEK pathways, two major signalling cascades downstream of EGFR, might predict resistance to EGFR-targeted agents. Therefore, we examined the frequencies of mutations in these key EGFR pathway genes in Chinese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We used a high-throughput mass-spectrometric based cancer gene mutation profiling platform to detect 22 mutations of the PIK3CA, AKT1, BRAF, EGFR, HRAS, and KRAS genes in 120 Chinese women with breast cancer. Results: Thirteen mutations were detected in 12 (10%) of the samples, all of which were invasive ductal carcinomas (two stage I, six stage II, three stage III, and one stage IV). These included one mutation (0.83%) in the EGFR gene (rs121913445-rs121913432), three (2.50%) in the KRAS gene (rs121913530, rs112445441), and nine (7.50%) in the PIK3CA gene (rs121913273, rs104886003, and rs121913279). No mutations were found in the AKT1, BRAF, and HRAS genes. Six (27.27%) of the 22 genotyping assays called mutations in at least one sample and three (50%) of the six assays queried were found to be mutated more than once. Conclusions: Mutations in the EGFR pathway occurred in a small fraction of Chinese breast cancers. However, therapeutics targeting these potential predictive markers should be investigated in depth, especially in Oriental populations.

소세포폐암의 치료전 FDG섭취와 치료반응 및 재발과의 연관성 (Correlation of Pre-treatment FDG Uptake to Therapeutic Response and Relapse in Patients with Small Cell Lung Cancer)

  • 서영순;권성영;정신영;송호천;민정준;김규식;김영철;범희승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6호
    • /
    • pp.538-545
    • /
    • 2007
  • 목적: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치료 전 $^{18}F$-FDG PET/CT에서 $^{18}F$-FDG의 섭취 정도(maxSUV)와 치료에 대한 반응, 그리고 재발과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직학적으로 소세포암으로 진단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병기설정 목적으로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항암 또는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를 위해 정기적으로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여 추적 관찰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18}F$-FDG섭취 정도의 매개변수로 maxSUV 값을 사용하였다. 항암 또는 방사선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흉부 CT를 기준으로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나누었다. 독립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두 환자군간의 maxSUV 값을 비교하였다. 상관 분석을 이용해 FDG 섭취 정도와 재발, 그리고 $^{18}F$-FDG섭취 정도와 재발까지의 기간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ROC곡선을 이용하여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진단적 maxSUV 값을 추정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한 흉부 CT결과를 토대로 하여 총 26명의 환자 중 21명(81%)은 반응군으로 5명(19%)은 비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반응군과 비반응군의 폐병소에서 평균 maxSUV 값은 각각 $14.15{\pm}3.72$$9.17{\pm}2.15$였고, 반응군에서의 maxSU 값이 비반응군에서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반응군과 비반응군 사이의 진단적 maxSUV 값을 구하기 위한 ROC 곡선에서 maxSUV가 8.99일 때 100%의 민감도를 보였다. marSUV 값과 진단에서부터 재발까지의 기간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757). 결론: 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치료 전 $^{18}F$-FDG PET/CT 에서의 $^{18}F$-FDG의 섭취정도가 비반응군에서보다 반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치료 전 $^{18}F$-FDG PET/CT에서 $^{18}F$-FDG의 섭취가 높은 환자에서 더 일찍 재발하였다.

폐암환자의 치료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Therapeutic Compliance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 채상철;박재용;김정석;배문섭;신무철;김건엽;김창호;손상균;감신;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5호
    • /
    • pp.953-961
    • /
    • 1998
  • 연구배경: 폐암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암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많은 의료인들이 현재 폐암치료에 대해 회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폐암치료의 점진적인 발전과 더불어 폐암환자의 생존률도 조금씩 향상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많은 수의 환자들은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적절한 치료를 거부하거나 포기하는 실정이다. 폐암환자에 있어 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고 치료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9년 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된 환자 1141명 가운데 비교적 의무기록이 충실하고 활도도가 ECOG기준으로 grade 0-III인 9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흡연력, 음주력, 종교유무, 배우자유무, 직업과 학력등의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증상유무, 조직형, 병기, 수행상태 등의 병적특성에 따른 치료순응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치료순응률은 1989-1990년 57.3-61.3%에서 1995-1996년 64.2-67.5%로 연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치료순응도는 연령, 교육수준, 직업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별, 배우자유무, 흡연력에 따른 치료순응도의 차이는 없었다. 증상을 가진 경우보다 무증상인 환자의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수행상태가 양호할수록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소세포암에 비해 비소세포암에서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비소세포암가운데 병기 I기와 II기를 제외하였을 경우 조직형에 따른 치료순응도의 차이는 없었다. 소세포암과 비소세포암 모두에서 진행된 병기일수록 치료순응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폐암환자들의 치료순응도는 64%로 매우 낮았으며, 특히 교육수준과 병기가 치료순응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요인들이 있는 환자들의 경우 폐암과 치료과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적 사회경제적 특성과 병적 특성을 중심으로 치료순응도를 조사하였으나 향후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인식도와 치료의 부작용과 같은 치료 특성과 환자-의사관계 풍이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과 순응도가 낮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순응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지에 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Hesa-A on Human Cancer Cells with Different Metastatic Potential

  • Jahanban-Esfahlan, Rana;Abasi, Mozhgan;Sani, Hakimeh Moghaddas;Abbasi, Mehran Mesgari;Akbarzadeh, Abolfaz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963-6966
    • /
    • 2015
  • Background: During the past few years, Hesa-A, a herbal-marine mixture, has been used to treat cancer as an alternative medicine in Iran. Based on a series of studies, it is speculated that Hesa-A possesses special cytotoxic effects on invasive tumors. To test this hypothesis, we investigated the selective anticancer effects of Hesa-A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with different metastatic potential. Materials and Methods: Hesa-A was prepared in normal saline as a stock solution of 10 mg/ml and further diluted to final concentrations of $100{\mu}/ml$, $200{\mu}g/ml$, $300{\mu}g/ml$ and $400{\mu}g/ml$. MTT-based cytotoxicity assays were performed with A549 (lung non small cancer), MCF-7 (breast adenocarcinoma), SKOV3 (ovarian cancer), and PC-3 (prostate adenocarcinoma) cells. Results: All treated cancer cells showed significant (P<0.01) or very significant (P<0.0001) differences in comparison to negative control at almost all of the tested doses ($100-400{\mu}g/ml$). At the lower dose ($100{\mu}g/ml$), Hesa-A reduced cell viability to 66%, 45.3%, 35.5%, 33.2% in SKOV3, A549, PC-3 and MCF-7 cells, respectively. Moreover, at the highest dose ($400{\mu}g/ml$), Hesa-A resulted in 88.5%, 86.6%, 84.9% and 79.3% growth inhibition in A549, MCF-7, PC-3 and SKOV3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s: Hesa-A exert potent cytotoxic effects o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especially those with a high metastatic potential.

항암 면역 치료제에 관한 최근 임상 정보 (Updates to Clinical Information on Anticancer Immunotherapy)

  • 최은주;양재욱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5-75
    • /
    • 2018
  • Objective: Over the last several years, immunotherapy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omising therapeutic options for cancer.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updates on cancer immunotherapy focusing on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such as programmed cell death-1 (PD-1),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 and cytotoxic T-lymphocyte-associated antigen 4 (CTLA-4) inhibitors, which have received attention as new anticancer therapeutic agents. Methods: A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on PubMed to identify high-impact papers on cancer immunotherapy from 2010. The most recent data on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have been included highlight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to recently approved immunotherapeutic agents. Results: In various cancers, immune checkpoints are a means for cancer cells to evade the immune system. Furthermore, CTLA-4 and PD-L1 can be overexpressed, allowing malignant cells to evade T-cells. Numerous clinical trials have been performed to seek appropriate indication of these products in various cancer types. Among them, the most conspicuous types are melanoma,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head and neck cancer. The approval of ipilimumab by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commenced a new era of cancer immunotherapy. This was followed by the approval of nivolumab and pembrolizumab. Currently, combination therapies are being investigated for various cancer type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recently reported scientific and clinical evidence for currently approved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lthough these novel checkpoint inhibitors are ever evolving for cancer therapies, there exist limitations that need to be overcome,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studies aiming to improve their efficacy, toxicity, and cost.

Anti Tumoral Properties of Punica Granatum (Pomegranate) Peel Extract o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 Modaeinama, Sina;Abasi, Mozhgan;Abbasi, Mehran Mesgari;Jahanban-Esfahlan, Ra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4호
    • /
    • pp.5697-5701
    • /
    • 2015
  • Background: Medicinal plants, especially examples rich in polyphenolic compounds, have been suggested to be chemopreventive on account of antioxidative properties. Punica granatum (PG) (pomegranate) is a well known fruit in this context, but its cytotoxicity in cancer cells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properties of a peel extract of PG from Iran i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 methanolic extract of pomegranate peel (PPE) was prepared. Total phenolic content(TPC) and total flavonoid conetnt (TFC) were determined by colorimetric assays. Antioxidant activity was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ytotoxicity of different doses of PPE (0, 5, 20, 100, 250, 500, $1000{\mu}g/ml$) was evaluated by MTT assays with A549 (lung non small cell cancer), MCF-7 (breast adenocarcinoma), SKOV3 (ovarian cancer), and PC-3 (prostate adenocarcinoma) cells. Results: Significant (P<0.01) or very significant (P<0.0001)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omparison with negative controls at all tested doses (5-$1000{\mu}g/ml$). In all studied cancer cells, PPE reduced the cell viability to values below 40%, even at the lowest doses. In all cases, IC50 was determined at doses below $5{\mu}g/ml$. In this regard,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were the most responsive cells to antiprolifreative effects of PPE with a maximum mean growth inhibition of 81.0% vs. 69.4%, 79.3% and 77.5% in SKOV3, PC-3 and A549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s: Low doses of PPE exert potent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different human cancer cells and it seems that MCF-7 breast adenocarcinoma cells are the most cells and SKOV3 ovarian cancer cells the least responsive in this regard. However, the mechanisms of action need to be addressed.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Heme oxygenase-1 발현과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의 치료반응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eme Oxygenase-1 Expression and Response to Cisplatin Containing Chemotherapy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두경;노미숙;이경은;김기남;이기남;최필조;방정희;김보경;서효림;김민지;김슬기;이수걸;손춘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314-320
    • /
    • 2006
  • 연구배경: 항암화학요법은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주요한 치료 방법이지만 전신 부작용 때문에 모든 환자들에게 권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되지 못한다. 만약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면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Heme oxygenase(HO)는 헴을 산화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직 내 HO-1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는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저항성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고, 비소세포폐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HO-1의 발현여부를 평가하고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반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7월에서 2004년 7월까지 동아대학병원에 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cisplatin을 포함한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시행 받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을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 반응 정도 및 다른 임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조직 내 HO-1의 발현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9명의 폐암조직에서 HO-1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43명(72.8%)에서 양성을 보였다. 조직형, 병기, 종양의 크기와 HO-1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으며, HO-1의 치료 전 발현도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효과와의 연관성도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행성비소세포폐암환자의 치료 전 폐암조직에서 HO-1의 발현여부가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는 항암화학치료의 반응을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통계학적 의미는 찾을 수 없었으며 이를 검정하기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비소세포 폐암환자에서 Docetaxel 투여 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 (A Case of Docetaxel Induced Subacute Cutaneous Lupus Erythematosus)

  • 신정아;허철웅;권지은;김형중;안철민;장윤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5호
    • /
    • pp.380-384
    • /
    • 2009
  • 비소세포폐암의 일차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치료제인 docetaxel은 세포주기 정체를 통한 세포자멸을 야기하는 약제로 이로 인한 누클리오좀 유리가 약제유발 홍반루푸스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실제 docetaxel로 야기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의 증례는 지금까지 전세계적으로 4명의 증례 보고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docetaxel과 cisplatin 병합 항암 화학요법 도중 발생한 아급성 피부 홍반루푸스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