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 Point Source

검색결과 717건 처리시간 0.037초

임야지에서 강우사상시 질소거동 모의에 관한 연구 (Simulation of Nitrogen Movement in the Rainfall Event at an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 김상현;김건목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521-532
    • /
    • 2001
  • 강우유출시 발생되는 질소는 그 발생특성과 천이기작의 비정상성과 공간적 불균일성이 극심하다. 분산형 질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GRASS-AGNPS 호환모형을 사용해서 비점오염 현상을 모의했다. 오염물의 거동에 대한 지형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 수치표고도를 구축하였다. 대상유역은 경북 청도군 청도읍의 한재천 유역으로 선정되었다. 모형 보정을 위한 수질자료는 강우시 유역내 15개 지점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하였다. 모형 보정방법은 시행착오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수행을 통해 질소성분 비점오염물의 공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수치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생성된 수치도는 유역의 최적 관리 대책을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화성호 유역의 수질관리를 위한 유역모델링 연구 (Watershed Modeling Research for Receiving Water Quality Management in Hwaseong Reservoir Watershed)

  • 장재호;강형식;정광욱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19-832
    • /
    • 2012
  • HSPF model based on BASINS was applied for the Hwaseong Reservoir watershed (HRW)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watershed was divided into 45 sub-basins considering various watershed environment. Streamflow was calibrated based on the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discharge data of treatment plants and observed streamflow data for 2010 year. Then the model was calibrated against the field measurements of water qualities, including BOD, T-N and T-P. In most cases, there were reasonable agreements between observed and predicted data. The validate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zation of pollutant load from study area. As a result,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during the rainy season was about 66~78% of total loads. In rainy-season, water quality parameters depended on precipitation and pollutant loads patterns, but their concentration were not necessarily high during the rainy season, and showed a decreasing trend with increasing water flow. As another result of evaluation for load duration curves,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ies to the satisfactory level, the watershed managements considering both time-variant and pollution sources must be required in the HRW.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model could be used conveniently to assess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pollutant loads in watershed scale.

표면 전류 모델을 이용한 TCP 장치의 안테나 영역 전기장 계산 (Calculation of the Electric Field in Antenna Region for a Planar-type Inductively Coupled Plasma Source Using Surface Current Model)

  • 정봉삼;윤남식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19-425
    • /
    • 2008
  • 10 mTorr의 이하의 저압조건에서는 비 충돌에 의한 anomalous skin effect 과정이 반드시 고려되어 한다는 것이 선행 연구 결과를 통해 학술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단면적이 0인 필라멘트 타입의 전류 모델을 적용했기 때문에 안테나 중심에서 전기장이 무한대가 되는 비 물리적인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면이 유한한 표면 전류 모델을 적용하여 안테나 영역에서의 전기장을 계산하였으며, 필라멘트 타입의 전류 모델을 적용했을 때와 여러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토양 침식량과 비점오염량을 산정하기 위한 GIS와 범용토양손실공식(USLE) 연계 (Integration of GIS with USLE in Assessment of Soil Erosion and Non point source load)

  • 김병식;홍준범;김형수;심규철;서병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713-718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재해영향평가 제도가 실시된 이후 모든 재해영향평가에서는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고 있다. 유역에서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기 위한 많은 모형들이 있지만, 분포형 모형들은 토양침식의 산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요구한다. 그래서, 가장 널리 실무에서 쓰이고 있는 모형은 범용토양침식공식(USLE, Universal Soil Equation)이다. USLE은 연 토양 침식량 산정을 위한 경험공식으로, 토양침식은 강우강도, 토양의 종류, 토지 피복과 토지이용, 사면경사와 경사길이, 그리고 토양보전을 위한 시설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모든 변수들은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수들을 추정하기 위해 지형정보시스템(GIS)을 사용하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변수들을 산정 할 수 있다. 또한, 유역에 내리는 강우는 토양침식뿐만 아니라 유기물의 흡착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을 발생시킨다. 침식토에 흡착된 유기물의 양은 부유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정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형정보시스템(GIS)과 범용토양손실 공식을 연계하여 태풍루사의 강우에 의한 보청천 유역에서의 토양 침식량과 그와 함께 유출되는 유기질소(Organic N)의 양을 산정 하였다.

  • PDF

GIS를 이용한 유역별 비점오염원 통계자료 재분류 시스템 구축 (Develop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Reclassification System Using GIS)

  • 정한석;조영경;박승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08-2012
    • /
    • 2007
  • 통계청 등의 기관에 구축되어있는 기본적인 비점오염원 자료들은 행정구역별로 나뉘어져 있지만 실제수계에 도달하는 부하량 산정을 위해서는 유역별로 구분을 다시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되는 비점오염원 자료의 전처리 과정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지리정보체계(Geographical Infomation System; GIS)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를 이용하여 통계자료의 전처리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선택한 유역도와 행정구역도를 중첩하여 유역 내 최소행정구역의 점유율을 반영한 통계자료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분류하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의 적용성 확인을 위하여 새만금유역 내 주상천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새만금유역에 포함되는 전라북도 최소행정구역의 토지이용 통계자료만을 기본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시스템은 오염부하량 산정에 있어 요구되는 기본적인 데이터를 얻는 것에 있어서 기존의 장시간에 걸친 단순 반복작업을 대신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며, ArcGIS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간단한 시스템조작만으로도 필요한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향후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고, 기상자료 등과 같은 수문모형으로의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비점원오염 관리지역의 선정 (Selecting Target Sit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신정범;박승우;김학관;최라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6-98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점원오염 관리를 위한 지역선정을 위하여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에 의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어진 유역 내에서의 비점원오염의 중요기여 인자간의 관계를 반영한 것이 본 연구의 특징이다. 주요인자로는 경사도, 유달거리, 유효강우비, 불투수면적비, 토양유실량이다. 각 인자의 가중치는 계층분석적 의사결정기법(AHP)으로 구하였으며 각 인자의 가중값과 속성 값의 단순 부가가중 합으로 표현되는 비점원오염 영향지수를 정의하였다. 높은 영향지수를 가지는 지역을 비점원오염 관리지역으로 제안하였으며, 시험유역으로 발안HP#6유역을 선정하여 적용해보았다. 관리지역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AGNPS 모의를 통한 비점원오염 부하량간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교 및 분석을 위해 Moran's I를 이용하였으며, T-N은 $0.38{\sim}0.45$, T-P는 $0.15{\sim}0.22$의 범위를 보였다. 이는 두 접근 방법이 상이함에도 공간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비점원오염 관리지역 선정에 있어서 적용가능 함을 의미한다.

  • PDF

영산강.섬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논 오염부하 산정 단순회귀모형 적용 (Application of Simple Regression Models for Pollutants Load Estimation of Paddy to Yeongsan and Seomjin River Watersheds)

  • 최우정;곽진협;정재운;윤광식;장남익;허유정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89-97
    • /
    • 2007
  • Simple regression models for pollutants load estimation of paddy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1995 were tested with the data (T-N, T-P, $COD_{Mn}$, and SS) collected from Yeongsan and Seomjin river watershed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Overall, the simulated values showed a great difference from the measured values except for T-P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es (RMSE, root mean square error; RMAE, root mean absolute error; RB, relative bias; EI, efficiency index). Such difference was assumed due to the fact that the models use only hydrologic factors (quantity factor) associated with precipitation and run-off as input parameters, but do not consider other factors which are likely to affect pollutant concentration (quality factor) including days after fertiliz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accessibility of the models, some parameters in the models such as run-off depth and run-off amount which can not be obtained from the weather database but should be collected by on-site measurements need to be replaced with other variables.

시나리오별 논에서의 molinate 노출위험도 분석: (2) 노출위험도 평가 (Scenario-Base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Molinate in a Paddy Plot ; (2) Exposure Risk Assessment)

  • 박기중;정상옥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4호
    • /
    • pp.17-24
    • /
    • 2008
  • Exposure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molinate using the RICEWQ model in a rice paddy plot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s of various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scenarios. Several scenarios were developed to represent the specific water and pesticide management practices of rice cultiv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cenario analysis using the RICEWQ model simula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sed. The molinate risk for aquatic organisms is evaluated by the ratio of the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PEC) and the 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PNE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effect periods for aquatic organisms for the deep, shallow and very shallow irrigation conditions were 33.3, 28.9 and 25.6 DATs for the lable rate application and 36.4, 33.7 and 30.8 DATs for the double lable rate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higher application rate showed greater exposure risk to the aquatic organisms. Based on this study, the withholding period of molinate practiced in Korea, that is 3 to 4 DATs, must be much long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and environmental policy making regarding pesticides.

배관-유체 연성진동을 이용한 누수지점 탐지 알고리듬 개발 연구 (An Algorithm for Leak Locating using Coupled Vibration of Pipe-Fluid)

  • 이영섭;윤동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98-803
    • /
    • 2004
  • Leak noise is a good source to identify the exact location of a leak point of underground water pipelines. Water leak generates broadband sound from a leak location and this sound propagation due to leak in water pipelines is not a non-dispersive wave any more because of the surrounding pipes and soil. However, the necessity of long-range detection of this leak location makes to identify low-frequency acoustic waves rather than high frequency ones. Acoustic wave propagation coupled with surrounding boundaries including cast iron pipes is theoretically analyzed and the wave velocity was confirmed with experiment. The leak locations were identified both by the acoustic emission (AE) method and the cross-correlation method. In a short-range distance, both the AE method and cross-correlation method are effective to detect leak position. However, the detection for a long-range distance required a lower frequency range accelerometers only because higher frequency waves were attenuated very quickly with the increase of propagation paths. Two algorithms for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were suggested, and a long-range detection has been achieved at real underground water pipelines longer than 300m.

  • PDF

Landscape Structure and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Land Use Pattern in the Watershed of the Wangsuk River in Gyunggi-do Korea

  • Lee, Chang-Seok;Lee, An-Na;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4호
    • /
    • pp.253-258
    • /
    • 2001
  • Land use pattern in the Wangsuk river watershed was investigated on the bases of physiognomic vegetation maps made from the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and field check. Landscape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a GIS program supported by ArcView. Landscape structure depended on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river, such as the upper, middle and lower river. Watersheds of the upper and middle rivers were dominated by forests composed of secondary forest and plantation. But agricultural fields dominated that of the middle and lower river. Urban area and agricultural fields increased in from the upper toward the lower river watersheds. In addition to, a transformation of agricultural pattern into an institutional agriculture was characteristic in the middle and lower river basins. Water qualities of the Wangsuk river were usually better in the order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river, but they were fluctuated according to the site. Such fluctuation would due to self-purification of the river and land use pattern of the watershed as the non-point source. In this viewpoint, a strategy to manage the water quality in the level of watershed is urgently required.

  • PDF